KR200218113Y1 - Display Unit for the Differential Angle of Center of Gravity on the Crane - Google Patents

Display Unit for the Differential Angle of Center of Gravity on the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113Y1
KR200218113Y1 KR2020000025517U KR20000025517U KR200218113Y1 KR 200218113 Y1 KR200218113 Y1 KR 200218113Y1 KR 2020000025517 U KR2020000025517 U KR 2020000025517U KR 20000025517 U KR20000025517 U KR 20000025517U KR 200218113 Y1 KR200218113 Y1 KR 200218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gravity
case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51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5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1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113Y1/en

Link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에 운반물체를 매달아 권상작업을 할 때 크레인의 무게중심과 운반물체의 무게중심의 위치의 불일치 정도를 표시해 주는 크레인의 무게중심 이탈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center of gravity deviation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the degree of inconsistency of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e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rrying object when hoisting the lifting object to the crane.

본 고안은 역학적 표시장치, 변환장치 및 전기적 표시장치로 구성하되,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echanical display, a converter and an electrical display,

상기 역학적 표시장치는 지시침(14), 무게추(8) 및 케이스(2)로 구성하는데,The mechanical display device comprises an indicator hand 14, a weight 8 and a case 2,

상기 케이스(2)에는 중심선과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The case 2 has a center line and a through hole,

상기 지시침(14)은 일측단에 첨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회전축(13)이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13)은 상기 케이스(2)의 관통 구멍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시침(14)의 타단부에는 충분한 중량을 가지는 상기 무게추(8)가 자유롭게 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The indicator needle 14 has a tip portion formed at one side end, and the rotating shaft 13 is integrally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and coupled, and the rotating shaft 1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case 2. To the other end of the indicator needle 14, the weight 8 having a sufficient weight is coupled to be free to move,

상기 변환장치(15)는 역학적 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3)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The converter 15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13 so as to convert the mechanical mo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display it,

상기 전기적 표시장치(20)는 상기 변환장치(15)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서 표시하도록The electrical display device 2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display a signal output from the converter 15.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본 고안에 의하면 크레인의 무게중심의 이탈각을 객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경험이나 작업장의 조업 환경에 관계없이 이탈 정도에 따라 적정한 판단을 도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의 속도를 조절하고 안전한 무게중심을 찾아 다시 권상하여 운반물체(37)를 이동시킴으로써 안전사고의 예방과 설비 파손을 방지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viation angl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e can be displayed objectively, an appropriate judgment can be deriv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arture regardless of the operator's experience or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Find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re-elevating to move the carrying object 37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facility to improve productivity as well as to minimize the damage to life has a very practical effect.

Description

크레인의 무게중심 이탈각 표시장치{Display Unit for the Differential Angle of Center of Gravity on the Crane}Display Unit for the Differential Angle of Center of Gravity on the Crane}

본 고안은 크레인에 운반물체를 매달아 권상작업을 할 때 크레인의 무게중심과 운반물체의 무게중심의 위치의 불일치 정도를 표시해 주는 크레인의 무게중심 이탈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center of gravity deviation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the degree of inconsistency of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e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rrying object when hoisting the lifting object to the crane.

도1은 종래의 크레인 권상작업시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blem in the conventional hoisting work.

종래에 있어서 크레인에 운반물체(37)를 매달아 권상작업을 할 때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체(37)에 후크(34)를 걸고 권상하게 되는데, 이때 크레인 무게중심(33)의 위치와 운반물체 무게중심(36)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권상작업 중에 운반물체(37)가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리는 소위 스윙(Swing) 현상이 발생한다. 그런데 이러한 스윙이 발생하면 그 주변의 설비나 작업자 등과 운반물체(37)가 충돌하여 설비파손이나 인명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특히 운반물체(37)에 후크걸이(35)가 없는 경우에는 스윙 도중에 운반물체(37)의 낙하사고가 발생하여 대형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스윙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권상작업 전에 운전실(26) 또는 조종기(27)의 조작자는 반드시 크레인 무게중심(33)의 위치와 운반물체 무게중심(36)의 위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In the related art, when hoisting work by hanging the transport object 37 on a crane, the hook 34 is hooked on the transport object 37 as shown in FIG. 1, wherein the position of the crane center of gravity 33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conveying object center of gravity 36 does not coincide, a so-called sw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conveying object 37 shakes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during hoisting. However, when such a swing occurs, the carrying object 37 collides with the surrounding equipment, worker, and the like, causing damage to the facility or a human accident. Particularly, when the carrying object 37 does not have the hook hanger 35, it is transported during the swing. There is a high risk that a fall accident of the object 37 may occur and cause a large accident.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swing phenomenon, the operator of the cab 26 or the manipulator 27 must check whether the position of the crane center of gravity 33 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center of gravity 36 match before hoisting. .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위치확인 작업을 작업자의 경험에 의한 눈대중에만 의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눈대중은 작업장의 조명 상태나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의 차이에 따라 결론이 매우 다양할 수 있으므로 결국 중대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크레인 무게중심(33)과 운반물체 무게중심(36)의 평면거리상의 차이(L) 또는 크레인 무게중심(33)으로부터 운반물체 무게중심(36) 사이에 벌어진 각도(α)에 대한 정보를 계량화 또는 디지털화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매우 큰 상황이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positioning operation was only dependent on the eyes of the operator. In addition, since the conclusions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lighting conditions of the workplace or the subjective judgments of the workers, there was a risk of causing a serious accident. Therefore, the information on the difference (L) in the plan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e 33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veying object 36 or the angle α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veying object 36 from the crane center of gravity 33 is quantified. Or the need for a device that can be digitized and displayed was a very big situa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레인 무게중심(33)으로부터 운반물체 무게중심(36)까지의 이탈각(α)을 역학적 및 전기적 표현으로 동시에 객관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evice that can objectively display the departure angle (α) from the crane center of gravity (33)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veying object (36) at the same time by mechanical and electrical expression Is to provide.

도1은 종래의 크레인 권상작업시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blem in the conventional hoisting work,

도2는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설치위치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측면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sid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각도표시를 증대시키는 실시예의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increasing the angl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반응속도를 제어시키는 실시예의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controlling the reaction rate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덮개 2 : 케이스1: cover 2: case

5 : 투명판 6 : 저항날개5: transparent plate 6: resistance wing

7 : 날개 조절기 8 : 무게추7: wing adjuster 8: weight

10 : 링크판 13 : 회전축10 link plate 13 rotation axis

14 : 지시침 15 : 변환장치14: indicator hand 15: inverter

17 : 개스킷 20 : 전기적 표시장치17: gasket 20: electrical display device

26 : 운전실 27 : 조종기26: Cab 27: Remote Controller

29 : 쉬브 33 : 크레인 무게중심29: Sheave 33: Center of gravity of crane

34 : 후크 35 : 후크걸이34: hook 35: hook hook

36 : 운반물체 무게중심 37 : 운반물체36: center of gravity of the carrier object 37: carrier object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표시장치는 크게 역학적 표시장치, 변환장치 및 전기적 표시장치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mechanical display device, a conversion device and an electrical display device.

먼저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설치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2는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설치위치 설명도이다.2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표시장치, 특히 역학적 표시장치는 이탈각의 크기가 가장 정확히 나타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적절한 설치장소로서는 쉬브(29)의 외측벽을 들 수 있다. 즉, 크레인이 운반물체(37)에 걸린 상태에서 장력을 가하여 로프가 긴장되어 운반물체(37)가 움직이기 직전에 이탈각(α)이 가장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mechanical display device, should be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size of the disengagement angle can be most accurately represented. Such a suitable installation place may be an outer wall of the sheave 29. That is, the deviation angle α can be most accurately measured just before the rope is tensioned and the carrier object 37 moves by applying tension while the crane is in the carrier object 37.

다음으로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3은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정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측면 분해 사시도이다.3 is a front view of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역학적 표시장치는 크게 지시침(14), 무게추(8) 및 케이스(2)로 구성된다.The mechanical display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n indicator hand 14, a weight 8, and a case 2.

상기 케이스(2)에는 중심선과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데, 상기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매겨진 눈금 또는 각도영역 표시(안전, 위험 등으로 구분된 색채 표시를 포함한다) 등이 표현되어 있고, 그 중앙부위의 연장선상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The case 2 is provided with a center line and a through hole, and a scale or an angular area mark (including color marks classified as safety and danger), etc., which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around the center line, is represented, and the center thereof is represented. The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extension line of a site | part.

상기 지시침(14)은 일측단에 첨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회전축(13)이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13)은 상기 케이스(2)의 관통 구멍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의 관통 구멍의 내부에는 베어링 등을 설치함으로써 회전축(13)의 자유로운 회전을 도울 수 있다.The indicator needle 14 has a tip portion formed at one side end, and a rotation shaft 13 is integrally fixed to and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and the rotation shaft 13 is freely rotatable in the through hole of the case 2. Combined. At this time, by installing a bearing or the like in the through hole of the case 2 can help fre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3).

그리고 상기 지시침(14)의 타단부에는 상기 무게추(8)가 자유롭게 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무게추(8)는 상기 지시침(14)의 회전관성 및 상기 변환장치의 회전관성을 모두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중량을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And the other end of the indicator needle 14 is coupled so that the weight (8) is free to move. In this case, the weight 8 should have a weight sufficient to overcome both the rotational inertia of the indicator needle 14 and the rotational inertia of the converter.

한편 본 고안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변환장치(15)는 역학적 또는 기계적 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인데, 상기 회전축(13)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시침(14)이 회전하면 그 각도가 상기 변환장치(15)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전기적 신호가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시침(14)의 회전에 의한 힘을 변환장치(15)에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적절한 기어 변환을 통하여 전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rsion device 15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an play a role of converting mechanical or mechanical mo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displayed,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13). Therefore, when the indicator needle 14 rotates, the angle is directly reflected by the converter 15, so that the electrical signal is changed. In this case, in order to reflect the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indicator needle 14 to the converter 15 as much as possible, the transmission force may be maximized through proper gear conversion.

이러한 기전 변환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매우 다양하며, 본 고안의 경우에 그 중 어느 하나에 특정하지는 않으나, 간단한 것으로 예를 들면 가변저항 또는 포텐시오미터 등이 이에 사용될 수 있고, 조금 복잡한 것으로는 천공 구멍을 가진 휠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레이저 장치나 광 간섭 장치 등이 이에 사용될 수 있다.Conventional techniques related to such an electromechanical converter are very diverse, 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specific to any of them, but a simple one may be used, for example, a variable resistor or a potentiometer. A laser device, an optical interference device, or the like, which counts the rotational speed of a wheel having a perforation hole and measures the rotational angle, may be used therein.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전기적 표시장치(20)는 상기 변환장치(15)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서 이를 작업자에게 숫자 등 유익한 정보로서 표시해주는 장치인데, 종래의 기술 중에서 이러한 전기적 표시장치(20)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예를 들면 7-세그먼트나 액정 표시기를 포함하여 컴퓨터의 모니터 등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표시장치(20)는 신호선의 길이와 잡음의 배제만 가능하다면 어느 곳에든지 설치할 수 있는데, 특히 융용한 설치장소로는 쉬브(29), 운전실(26) 또는 조종기(27) 등이다.Finally, the electrical display device 20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verter 15 and displays it as useful information such as numbers to the operator, such electrical display in the prior art What can be used as the apparatus 20 can be variously used, for example, the monitor of a computer including a 7-segment or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electrical display device 20 can be installed anywhere as long as the signal line length and noise can be eliminated. Particularly, the electrical display device 20 is a sheave 29, a cab 26, or a remote controller 27.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고안의 표시장치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한 후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에서 수직으로 늘어뜨려 영점을 조정한다. 이때 지시침(14)은 무게추(8)의 중량에 의하여 항상 똑바로 서게 되므로 역학적 표시장치는 눈금의 정중앙을 가리키게 되고, 전기적 표시장치(20)는 수치 0 또는 기타 정중앙임을 나타내는 상징을 표시하여야 한다.First,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2, and then zeroed by vertically hanging from the crane as shown in FIG. 3A. In this case, since the indicator hand 14 always stands upright by the weight of the weight 8, the mechanical display device indicates the center of the scale, and the electrical display unit 20 should display a symbol indicating that the value is 0 or other center. .

그 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운반물체(37)를 운반할 때는 크레인이 운반물체(37)에 걸린 상태에서 장력을 가한다. 그러면 로프가 긴장되어 운반물체(37)가 움직이기 직전인 상태가 된다. 이때 이탈각(α)이 가장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이때에도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침(14)은 무게추(8)의 중량에 의하여 항상 똑바로 서게 되는데, 무게중심이 이탈된 상태라면 쉬브(29)가 기울어질 것이고, 이에 따라 케이스(2)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도 기울어지므로 눈금의 중심선과 지시침(14) 사이에도 그 이탈 상태가 그대로 반영된다. 따라서 역학적 표시장치에 의하여 무게중심의 이탈 정도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2, when the conveying object 37 is actually transported, tension is applied while the crane is caught by the conveying object 37. Then, the rope is tensioned, and the transport object 37 is in a state just before moving. At this time, the departure angle (α) can be measured most accurately, an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B, the indicator hand 14 always stands upright by the weight of the weight 8, if the center of gravity is separated The sheave 29 will be inclined, and accordingly, the scale displayed on the case 2 is also inclined, so that the deviation state is also reflected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scale and the indicator needle 14. 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degree of departure of the center of gravity by the mechanical display device.

한편 상기 변환장치(15)는 몸체부가 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고, 축 부분은 지시침(14)의 회전축(1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3)이 케이스(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탈하는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저항의 감소나 기타 전기적 변화를 발생시켜서 그 정도를 전기적 표시장치(20)에 반영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적 표시장치(20)에 의하여 무게중심의 이탈 정도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verter 15 has a body part fixed to the case 2, and the shaft part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13 of the indicator needle 14, so that the rotation shaft 13 is relatively separated from the case 2. It rotates by an angle. Therefore,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reduced or other electrical changes are generated to reflect the degree to the electrical display device 20. 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degree of departure of the center of gravity by the electrical display device (20).

여기서 상기 이탈 정도가 작으면 급격히 권상작업을 해도 무방할 수 있지만, 이탈 정도가 크면 스윙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천천히 권상과 권하작업을 반복하여 이탈 정도를 완화시킨 후에 완전한 권상작업을 하게 된다.Here, if the degree of departure is small, it may be fine to perform a sudden hoisting operation, but if the degree of departure is large, the hoisting and hoisting operations are repeated slowly to prevent the swing phenomenon, and then the complete degree of hoisting is performed.

한편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대하여 역학적 표시장치의 표시각도가 커지면 작업자의 가독력이 증가되고, 변환장치(15)를 통한 전기적 표시장치(20)의 표시 내용도 더욱 세분화할 수 있으므로 지시침(14)의 회전 각도의 증대 방안을 고려하는 것도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fo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the display angle of the mechanical display device increases, the readability of the operator increases, and the display content of the electrical display device 20 through the converter 15 can be further subdivided. It is also desirable to consider a method of increasing the rotation angle of 14).

도5는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각도표시를 증대시키는 실시예의 설명도이다.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increasing the angl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시침(14)은 첨단부 반대측에 긴 홈이 형성된 채로 케이스(2)의 관통 구멍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케이스(2)의 중앙 연장선상의 또다른 관통 구멍에는 링크판(10)이 역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2)의 관통 구멍의 내부에는 역시 베어링 등을 설치함으로써 링크판(10)의 자유로운 회전을 도울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dicator needle 1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case 2 with a long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portion, and the link plate is connected to another through hole on the center extension line of the case 2. 10 is also coupled to be freely rotatable, in which case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of the case 2 can also help the free rotation of the link plate 10 by installing a bearing or the like.

상기 링크판(10)의 일측에는 긴 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무게추(8)가 자유롭게 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시침(14)의 긴 홈과 상기 링크판(10)의 긴 홈은 둘 중의 어느 한 쪽 홈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슬리브에 의하여 다른 쪽 홈을 미끄러져 활주할 수 있는 구조로 체결된다.One side of the link plate 10 is formed with a long groove,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weight (8) freely movable. In addition, the long groove of the indicator needle 14 and the long groove of the link plate 10 are fasten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by sliding the other groove by a sleeve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f one of the two grooves.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이탈각이 없는 상태에서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8)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하여 링크판(10)이 똑바로 서게 되고, 이에 따라 지시침(14)의 첨단부는 정중앙을 가리키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the link plate 10 is standing upright by the gravity acting on the weight (8) in the absence of the departure angle first, as shown in Figure 5a, accordingly The tip will point to the center.

그러나, 이탈각이 있는 상태에서는 링크판(10)은 역시 무게추(8)의 중력에 의해 똑바로 서게 되나, 지시침(14)의 첨단부의 이동 각도는 지시침(14) 및 링크판(10) 양측의 긴 홈끼리의 결합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판(10)의 긴 홈의 하단부에 슬리브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가 상기 지시침(14)의 긴 홈 내부를 활주할 수 있도록 결합한 경우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시침(14)의 첨단부는 비교적 이동 각도가 적어지지만, 이에 반하여 상기 링크판(10)의 긴 홈의 상단부에 슬리브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가 상기 지시침(14)의 긴 홈 내부를 활주할 수 있도록 결합한 경우에는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시침(14)의 첨단부는 비교적 이동 각도가 커지게 된다.However, the link plate 10 is also standing upright by the gravity of the weight (8) in the state of the departure angle, the movement angle of the tip of the indicator needle 14 is the opposite of the indicator needle 14 and the link plate 10 It depends on where the long grooves fit. For example, when the fixing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elongated groove of the link plate 10 and the sleeve is coupled to slide the elongated groove of the indicator needle 14 as shown in Figure 5b The tip portion of 14 is relatively less moved, but on the contrary is fixed to the sleeve at the upper end of the elongated groove of the link plate 10, the sleeve is coupled to slide the inside of the elongated groove of the indicator needle 14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C, the tip of the indicator needle 14 has a relatively large moving angle.

한편 이탈각 측정시 로프가 긴장상태가 되면 지시침(14)이 회전하는데, 그 후 정상상태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과도적으로 지시침(14)의 좌우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며, 이는 지시침(14)의 반응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지시침(14)의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pe is in tension when the deviation angle is measured, the indicator hand 14 rotates, and until the steady state is reached, the left and right shaking of the indicator hand 14 occurs excessively. It is necessary to find a color, which can realize stable operation of the indicator needle 14 by controlling the reaction speed of the indicator needle 14.

도6은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반응속도를 제어시키는 실시예의 설명도이다.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controlling the reaction speed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반응속도의 제어를 위해서는 역학적 표시장치의 지시침(14)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공기보다 저항률이 높은 액체 속에서 지시침(14)이 운동하도록 하면 된다. 이를 위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학적 표시장치의 내부를 액체로 채우고, 투명판(5)이 구비된 덮개(1)로 개스킷(17)을 이용하여 밀봉한다.First, in order to control the reaction speed, the speed of the indicator needle 14 of the mechanical display device should be reduced, and for this purpose, the indicator needle 14 may be moved in a liquid having a higher resistivity than air. 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inside of the mechanical display is filled with a liquid, and the cover 1 provided with the transparent plate 5 is sealed using the gasket 17.

그리고 원래의 무게추(8) 하단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날개(6)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저항날개(6)는 평형의 양날개를 가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 하단에는 돌기 형태의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날개(6)는 상기 무게추(8)의 구멍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할 경우에는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무게추(8)의 구멍 내부에 적절히 밀착되어 설치된다.And the resistance wing 6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riginal weight 8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resistance wing (6) is composed of a shape having both wings of the equilibrium, and a protrusion-like structur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enter. In addition, the resistance blade 6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ole of the weight (8) so as to be rotated when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weight (8).

그리고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의 하단 중앙에는 채워진 액체의 기밀을 유지하면서도 힘을 가하여 돌리면 저항날개(6)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 형태의 구조물과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저항날개(6)를 90˚내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힘을 제거하면 내부의 스프링의 작용으로 후퇴하도록 구성된 날개 조절기(7)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 조절기(7)의 실시예를 들면 날개 조절기(7)의 전체를 하나의 기둥모양의 몸체로 형성하되, 하단부에는 손잡이를 설치하고, 선단부 돌기부분 아랫단에 스토퍼를 설치하며, 케이스(2)의 외주면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케이스(2)의 관통구멍과 날개 조절기(7)의 몸체 외주에는 밀폐용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6c, while maintaining the airtight of the liquid filled in the bottom center of the case (2) by applying a force to turn the resistance wing while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like structur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resistance wing (6) 6) can be rotated at an angle within 90 degrees, and when the force is removed, a wing adjuster 7 configured to retreat under the action of an internal spring is installed. Here, the embodiment of the wing adjuster 7, for example, the whole of the wing adjuster 7 is formed in a single pillar-shaped body, the handle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the stopper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the case (2) The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case 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of the wing adjuster 7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installing a sealing structure.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유체 속에서의 무게추(8)의 동작은 공기 중에서보다 원활하지 못하므로 자연스럽게 지시침(14)의 좌우 요동을 어느정도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게추(8) 하부에 저항날개(6)가 설치된 경우이더라도 도6a와 같이 운동방향에 평행하게 저항날개(6)가 배열된 경우에는 감속 효과는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도6c에 도시된 날개 조절기(7)에 힘을 가하여 전진시켜 회전시키면 그 선단에 있는 돌기부분이 케이스(2)의 내부에 있는 저항날개(6)의 하부의 돌기부분에 맞닿아 함께 회전하여 저항날개(6)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데, 만일 도6b와 같이 운동방향에 수직하게 저항날개(6)가 배열된 경우에는 액체 내에서의 운동 저항이 극대가 되므로 지시침(14)의 요동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weight 8 in the fluid is basically not smoother than in the air can naturally prevent the left and right swing of the indicator needle 14 to some extent. In the case where the resistance blades 6 are provided below the weight 8, the deceleration effect is almost the same when the resistance blades 6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movement direction as shown in FIG. 6A. However,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wing adjuster 7 shown in Figure 6c to move forward to rotate the projection portion at its tip abuts against the proj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esistance wing 6 in the case 2 rotates together The angle of the resistance wing 6 can be adjusted. If the resistance wing 6 is arrange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as shown in Fig. 6B, the movement resistance in the liquid is maximized, so that the swing of the indicator needle 14 is reduced. It can further reduce.

상기 본 고안의 표시장치의 각도표시를 증대시키는 실시예와 반응속도를 제어시키는 실시예는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므로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increasing the angl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reaction speed are not mutually exclusive, and thus may be independently coupled to the bas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작업장의 조업 환경에 따라 지시침(14)에 야광 도료를 입힘으로써 가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readability by applying a luminous paint to the indicator needle 14 in accordance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크레인의 무게중심의 이탈각을 객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경험이나 작업장의 조업 환경에 관계없이 이탈 정도에 따라 적정한 판단을 도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의 속도를 조절하고 안전한 무게중심을 찾아 다시 권상하여 운반물체(37)를 이동시킴으로써 안전사고의 예방과 설비 파손을 방지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deviation angl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e can be displayed objectively,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appropriate judg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arture regardless of the operator's experience or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By adjusting and finding a safe center of gravity and lifting again, the carrying object 37 is mov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to prevent equipment damag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s well as minimizing damage to life.

Claims (1)

역학적 표시장치, 변환장치 및 전기적 표시장치로 구성하되,Consisting of mechanical display, inverter and electrical display, 상기 역학적 표시장치는 지시침(14), 무게추(8) 및 케이스(2)로 구성하고,The mechanical display device comprises an indicator hand 14, a weight 8 and a case 2, 상기 케이스(2)에는 중심선과 관통 구멍을 구비하며,The case 2 has a center line and a through hole, 상기 지시침(14)은 첨단부 반대측에 긴 홈이 형성된 채로 지시침(14)에 고정되어 형성된 회전축(13)에 의해 케이스(2)의 관통 구멍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케이스(2)의 중앙 연장선상의 또다른 관통 구멍에는 링크판(10)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링크판(10)의 일측에는 긴 홈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무게추(8)가 자유롭게 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시침(14)의 긴 홈과 상기 링크판(10)의 긴 홈은 둘 중의 어느 한 쪽 홈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슬리브에 의하여 다른 쪽 홈을 미끄러져 활주할 수 있는 구조로 체결되고,The indicator needle 14 is freely rotatab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case 2 by a rotation shaft 13 fixedly fixed to the indicator needle 14 with a long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ip portion, and the case 2. Another through hole on the central extension line of the link plate 10 is rotatably coupled, one side of the link plate 10 is formed with a long groove,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weight (8) freely movable. The long groove of the indicator needle 14 and the long groove of the link plate 10 are fastened to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by sliding the other groove by a sleeve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f one of the two grooves, 상기 역학적 표시장치의 내부는 액체로 채워지고, 투명판(5)이 구비된 덮개(1)로 개스킷(17)을 이용하여 밀봉하며, 무게추(8) 하단의 구멍 내부에는 중심 하단에 돌기 형태의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는 저항날개(6)를 밀착 삽입 설치하여,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할 경우에는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하고,The inside of the mechanical display is filled with a liquid, sealed with a gasket (17) with a cover (1)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late (5), and in the hole at the bottom of the weight (8) in the form of a projection at the bottom of the center Resistant wing 6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is formed, and installed to be configured to rotate when applying a certain force or more, 케이스(2)의 하단 중앙에는 액체의 기밀을 유지하면서도 힘을 가하여 돌리면 저항날개(6)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 형태의 구조물과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저항날개(6)를 90˚내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힘을 제거하면 내부의 스프링의 작용으로 후퇴하도록 구성된 날개 조절기(7)가 설치되며,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case (2), while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liquid while applying a force to turn the resistance wing 6 while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like structur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resistance wing (6) at an angle within 90 ° Can be removed, and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 wing adjuster 7 is configured to retreat under the action of an internal spring, 상기 변환장치(15)는 상기 지시침(14)의 역학적 운동 각도를 그에 상당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13)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The converter 15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13 to convert the mechanical movement angle of the indicator needle 14 into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전기적 표시장치(20)는 상기 변환장치(15)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지시침(14)의 역학적 운동 각도에 상당하는 숫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무게중심 이탈각 표시장치.The electrical display device 20 is configured to display a number or symbol corresponding to the mechanical movement angle of the indicator hand 14 by receiv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verter 15,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Each display.
KR2020000025517U 2000-09-07 2000-09-07 Display Unit for the Differential Angle of Center of Gravity on the Crane KR2002181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17U KR200218113Y1 (en) 2000-09-07 2000-09-07 Display Unit for the Differential Angle of Center of Gravity on the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17U KR200218113Y1 (en) 2000-09-07 2000-09-07 Display Unit for the Differential Angle of Center of Gravity on the Cr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113Y1 true KR200218113Y1 (en) 2001-03-15

Family

ID=7305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517U KR200218113Y1 (en) 2000-09-07 2000-09-07 Display Unit for the Differential Angle of Center of Gravity on the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11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65B1 (en) * 2002-07-08 2008-12-31 주식회사 포스코 Magnet beam shifter of overhead cra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65B1 (en) * 2002-07-08 2008-12-31 주식회사 포스코 Magnet beam shifter of overhead cra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6637A (en) Robot with balancing mechanism having a variable counterbalance force
JP2709412B2 (en) Remote control
CN101659379B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deviation of hanging hook
US7395609B2 (en) 3-dimensional cable guide and cable based position transducer
JP6639731B2 (en) Hook assembly to install hook posture detection carrier
CA3074585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positioning against a wall
CN108502726A (en) A kind of beat calibrates the beat calibration method of derrick crane and its suspension hook
CN109176497A (en) A kind of main hand of rope drive Three Degree Of Freedom remote operating
US20180272531A1 (en) Center-of-gravity-of-load position calculator for robot and method thereof
CN101419764A (en) Automatic experiment system for bridge type crane
KR200218113Y1 (en) Display Unit for the Differential Angle of Center of Gravity on the Crane
US4659278A (en) Manipulator based on the pantograph principle
WO2015113400A1 (en) Apparatus for steel wire rope swing detection, and hoisting machinery
FR3096899B1 (en) DOUBLE PULLEY
CN85107312A (en) Make the device of a people or a weight landing with a rope
CN111891902A (en) Safety object hanging device for subway construction
CN109366451A (en) A kind of rope drive Three Degree Of Freedom force feedback equipment
US4155463A (en) Hoisting assembly
WO2019041994A1 (en) Self-compensating joint and lifting device
SE453974B (en) INDUSTRIAL ROBOT WITH TWO KARDANICALLY ORGANIZING TURNING SHAFT
CN206848086U (en) A kind of balance weight impact testing machine
CN113104734A (en) Visual operation overhead hois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JPH09272082A (en) Master arm device for remote control
CN208284129U (en) A kind of Moire fringe principle displaying device
CN106500655B (en) Deflection angle measurement device and han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