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803Y1 - a bridge apparatus of trailer - Google Patents

a bridge apparatus of tra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803Y1
KR200217803Y1 KR2020000022590U KR20000022590U KR200217803Y1 KR 200217803 Y1 KR200217803 Y1 KR 200217803Y1 KR 2020000022590 U KR2020000022590 U KR 2020000022590U KR 20000022590 U KR20000022590 U KR 20000022590U KR 200217803 Y1 KR200217803 Y1 KR 200217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ailer
fixed
ladd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5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철
Original Assignee
서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철 filed Critical 서정철
Priority to KR2020000022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8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803Y1/en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레일러용 가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의 적재함으로 필요에 따라 인출 가능한 가교부를 설치하여 이앙기, 콤바인 등과 같은 다른 농기계를 안정되고 편리하게 탑재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그 구성을 전방으로 견인부가, 후방 양측에는 구름바퀴가 설치되며, 중간으로 덤핑부가 설치된 차체프레임과, 상기 차체프레임의 상부로 덤핑부에 의해 덤핑되는 적재함이 설치된 통상의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후방 밑면에 양단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의 내측 적재함의 밑면에는 슬라이딩 인출되어 상기 걸고리로 걸려질 수 있는 각각의 가교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가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linking device for a tra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cross-linkable part that can be pulled out as needed by loading a trailer so that its construction can be loaded and unloaded with other farming machines such as rice transplanters, combines, etc. In the tow portion, the rear wheel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wheel, the body frame frame is provided with a dumping portion in the middle, and the loading box dumped by the dumping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in a conventional trailer, both ends at the rear bottom of the storage box Hook is fixed to be forme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loading box of the hook relates to a cross-linking device for a trail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cross-linking portion that can be slid out and hooked to the hook is installed.

Description

트레일러용 가교장치{a bridge apparatus of trailer}Bridge apparatus of trailer {a bridge apparatus of trailer}

본 고안은 트레일러용 가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의 적재함으로 필요에 따라 인출 가능한 가교부를 설치하여 이앙기, 콤바인 등과 같은 다른 농기계를 안정되고 편리하게 탑재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한 트레일러용 가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linking device for a trail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trailer bridge that allows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other farming machines such as rice transplanters, combines, etc. by installing a trailer that can be pulled out as needed.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트레일러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에 의해 견인되면서 농작물이나 퇴비 등을 이송할 때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농기계인 이앙기, 콤바인 등과 같은 여러 기계를 탑재하여 이송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그 활용도가 상당히 큰 농기계 중의 하나이다.In general, a trailer used for farming is used for transporting crops or compost while being towed by a cultivator or a tractor, or used for transporting various machines such as rice transplanters, combines, etc., if necessary. It is one of the agricultural machines with great utilization.

그 중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농기계 등을 탑재하여 이송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트레일러의 적재함 후문을 개방시킨 후 그 후단 양측으로 상기 농기계 등을 탑재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금속재의 사다리나 판넬 등을 지면과 맞닿도록 경사지게 재치시킨다.In particular, when carrying and transporting other farm machinery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rear door of the loading box of the trailer is opened, and then a ladder or panel made of metal materi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farm machinery and the like can be loaded and unloaded on both sides of the trailer. So that it is inclined so that it

그런 다음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함으로 놓여진 사다리나 판넬 등을 이용하여 다른 농기계인 이앙기나 콤바인 등을 탑재한 다음 이송시킨 후 다시 사다리나 판넬 등을 적재함으로 재치시킨 다음 하차시켰다.Then, using a ladder or a panel, such as a trailer of the trailer loaded with other agricultural machinery rice transplanters, combines, etc. and then transported again to the loading of the ladder or panel, etc. and get off.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항시 트레일러의 적재함으로 농기계 등을 탑재 및 하차하기 위한 별도의 사다리나 판넬 등을 구비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과, 그 적재된 사다리나 판넬 등으로 인하여 이동에 따른 탑재된 농기계와 마찰이 발생하여 농기계의 파손은 물론 때론 적재함으로 부터 이탈되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 등도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cumbersome problem of having to carry a separate ladder or panel for loading and unloading agricultural machinery and the like by loading the trailer at all times, and the movement due to the loaded ladder or panel, etc. As a result of friction with the mounted farm machinery, the farm machinery was not only damaged, but also sometimes separated from the loading, causing a dangerous situation.

또한, 트레일러의 적재함으로 농기계를 탑재시 작업자가 일일이 사다리나 판넬 등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함과 아울러 농기계가 적재함으로 탑재 및 하차시에 지면과 맞닿아 있던 사다리나 판넬의 끝단이 그 타단으로 탑재되는 농기계의 무게로 인하여 급격하게 부상됨에 따라 작업자에게 위험한 상황을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that the worker should support the ladder or panel not to flow when loading the agricultural machinery with the trailer loading, and also the ladder or panel contacted with the ground when loading and unloading the agricultural machinery As the tip is rapidly injured due to the weight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mounted on the other end, a problem that causes a dangerous situation to workers has also been caused.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레일러의 적재함으로 필요에 따라 인출 가능한 가교부를 설치하여 이앙기, 콤바인 등과 같은 다른 농기계를 안정되고 편리하게 탑재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install and take off other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rice transplanters, combines, etc. by loading the trailer as needed to load and unload, and unloading To make it possible.

또한, 상기한 가교부의 사다리 부재를 절첩되도록 하여 설치 길이는 최소화하면서 농기계의 탑재 및 하차시에는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to be able to fold the ladder member of the cross-linking portion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length and to be used more stably when loading and unloading agricultural machine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으로 견인부가, 후방 양측에는 구름바퀴가 설치되며, 중간으로 덤핑부가 설치된 차체프레임과, 상기 차체프레임의 상부로 덤핑부에 의해 덤핑되는 적재함이 설치된 통상의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후방 밑면에 양단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의 내측 적재함의 밑면에는 슬라이딩 인출되어 상기 걸고리로 걸려질 수 있는 각각의 가교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generally provided with a traction unit in the front, the rear wheel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the body frame frame is installed with a dumping portion in the middle, and the loading box is dumped by the dumping portion to the top of the body frame A trailer, comprising: a hook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bottom of the loading box and fixed at both ends; The underside of the inner stack of the hook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ross-linking portion that can be slid out and hooked to the hook is installed.

상기 가교부는 일단으로 지지대가, 타단의 밑면에는 걸림대가 설치되어 양측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내장되며 일측 끝단으로 걸림편이 형성된 한쌍의 지지간에 수개의 가로대가 설치된 사다리부재가 회전되도록 끝단으로 지지부재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uide rail member having one end of the bridge and one end of the cross-linking portion fixed to both sides by a hang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ther end; It is built in the guide rail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to the end so that the ladder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between the pair of the support is formed with a hook piece on one end.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부재 가이드홈의 높이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차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guide rail member guid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gradually form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관통되게 고정된 고정봉의 양측으로 일면에 상기 걸림대로 걸려지는 스토퍼가 형성된 각각의 지지브라켓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일측 지지브라켓에는 상기 사다리부재의 일측 지지간으로 형성되는 지지핀이 재치되도록 재치홈이 형성된 재치리이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브라켓에는 상기 사다리부재 타측 지지간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링에서 회전자재케 체결된 회전축이 상기 고정봉으로 결합링에 의해 체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upport member is installed to be fixed to each support bracket formed with a stopper to be caught by the hook on one side to both sides of the fixed rod that is fixed to be penetrated, the one support bracket is a support formed by one side support of the ladder member A mounting groove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is formed integrally so that the pins are mounted, and a rotating shaft fastened by a coupling ring to the fixing rod is fixed to the other bracket by a fixing ring fixed inside the ladder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또, 상기 사다리부재의 일단에는 핀결합되어 그 지지간의 내측으로 한쌍의 보조지지간에 수개의 보조가로대가 설치된 보조사다리가 절첩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ne end of the ladd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ladd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xiliary rails are folded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supports inwardly between the support is folded.

도 1은 본 고안이 트레일러의 적재함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ject innovation is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of the trailer.

도 2는 본 고안의 가교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link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고안 가교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Figure 3a, Figure 3b and Figure 3c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ross-linke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가교부의 사다리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Figure 3a is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member withdrawal of the bridge portion.

도 3b는 도 3a에 따른 사다리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Figure 3b is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member according to Figure 3a is rotated.

도 3c는 도 3b에 따른 사다리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Figure 3c is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member according to Figure 3b is installed.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4a and 4b shows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state.

도 4b는 도 4a에 따른 요부 측면도.4b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FIG. 4a;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고안 사다리부재의 다른 제1 실시예로,5a, 5b and 5c is another first embodiment of the ladd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5A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5b는 도 5a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보조사다리부재가 펼쳐진 요부도.Figure 5b is a main portion of the auxiliary ladder member unfolded in accordance with Figure 5a unfolded.

도 5c는 도 5b에 따른 보조사다리부재가 접혀진 요부도.Figure 5c is a main portion of the auxiliary ladder member folded in accordance with Figure 5b.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트레일러1: Trailer

10 : 걸고리10: hook

20 : 가교부20: crosslinking part

21 : 지지대 22 : 걸림대21: support 22: hanger

24 : 기이드레일부재 25 : 지지간24: gui rail member 25: support

25' : 보조지지간 25a : 지지간25 ': support support 25a: support support

25b : 걸림편 25c : 지지핀25b: locking piece 25c: support pin

250 : 고정링 255 : 회전축250: retaining ring 255: rotating shaft

256 : 결합링 26 : 가로대256: coupling ring 26: crossbar

26' : 보조가로대 28 : 사다리부재26 ': auxiliary rail 28: ladder member

28' : 보조사다리 29 : 지지부재28 ': auxiliary ladder 29: support member

290,290a : 브라켓 292 : 고정봉290,290a: Bracket 292: Fixed rod

295 : 재치리이브 295a : 재치홈295: Wit Live 295a: Wit Home

200 : 적재함200: loading box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이 트레일러의 적재함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ject innovation is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of the trailer.

전방으로 견인부가, 후방 양측에는 구름바퀴가 설치되며, 중간으로 덤핑부가 설치된 차체프레임(100)과, 상기 차체프레임(100)의 상부로 덤핑부에 의해 덤핑되는 적재함(200)이 설치된 통상의 트레일러(1)에 있어,Tow forward, the rear wheel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the vehicle body frame 100 is installed with a dumping portion in the middle, the normal trailer is installed a loading box 200 that is dumped by the dumping portion to the top of the body frame 100 In (1),

본 고안은 상기 적재함(200)의 후방 밑면에 양단으로 일반적인 고정방식인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걸고리(10)와;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ok (10) formed on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stacking box 200 i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fixed to both ends;

상기 걸고리(10)의 내측 적재함(200)의 밑면에는 슬라이딩 인출되어 상기 걸고리(10)로 걸려질 수 있는 각각의 가교부(20)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가교부(20)를 인출하여 상기 적재함(200)으로 다른 농기계인 이앙기나 콤바인 등을 탑재 및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At the bottom of the inner stacker 200 of the hook 10, each cross-linking portion 20 which is slid out and hooked to the hook 10 is installed, and withdraws the cross-linking portion 20 as necessary. The loading box 200 is shown to be able to load and unload other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rice transplanters or combines.

도 2는 본 고안의 가교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link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가교부(20)는 일단으로 지지대(21)가, 타단의 밑면에는 걸림대(22)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밑면 양측으로 일반적인 고정방식인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부재(24)와;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ross-linking part 20 is installed such that the support 21 is fixed at one end and the catch 22 is fixed at the bottom of the other end by welding, an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by welding, which is a general fixing method. A guide rail member 24;

상기 가이드레일부재(24)에 내장되며 일측 끝단으로 상기한 걸고리(10)로 걸려질 수 있도록 일측으로 걸림편(25b)이 형성된 한쌍의 지지간(25)에 수개의 가로대(26)가 설치된 사다리부재(28)가 회전되도록 끝단으로 지지부재(29)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Ladder 26 is provided in the guide rail member 24 and a plurality of crossbars 26 are installed in a pair of support bars 25 formed with a hook piece 25b to one side so as to be hooked to the hook 10 at one end. It is shown that the member 28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9 to the end to rotate.

또한, 상기 사다리부재(28)가 내장되어 슬라이딩되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24) 가이드홈의 높이(h)(H)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차 높게 형성되어, 적재함으로 탑재된 중량체인 이앙기나 콤바인 등으로 인해 바닥면이 약간 함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재(24)가 불균일하게 함몰되더라도 그 내장된 사다리부재(28)의 인출에는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ight h (H) of the guide rail member 24, the guide groove in which the ladder member 28 is built and slides is gradually form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uch as a rice chain rice transplanter or a combine that is mounted in a loading box. Therefore, even if the bottom surface is slightly recessed so that the guide rail member 24 is recessed uneven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out of the built-in ladder member 28 is prevented.

상기에서, 지지부재(29)는 관통되게 고정된 고정봉(292)의 양측으로 일면에 상기 걸림대(22)로 걸려지는 스토퍼(294)가 형성된 각각의 지지브라켓(290)(290a)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일측 지지브라켓(290)에는 상기 사다리부재(28)의 일측 지지간(25)으로 형성되는 지지핀(25a)이 재치되도록 재치홈(295a)이 형성된 재치리이브(29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브라켓(290a)에는 상기 사다리부재(28) 타측 지지간(25)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링(250)에서 회전자재케 체결된 회전축(250)이 상기 고정봉(292)으로 결합링(256)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support member 29 is fixed to each side of the fixing rod 292 fixed to penetrate so that each support bracket 290 (290a) formed with a stopper 294 is fastened to the hanger 22 on one surface Although installed, the one-side support bracket 290 has a mounting groove (295)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295a) so that the support pin (25a) formed by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25 of the ladder member 28 is integrated Is formed, the other side bracket (290a) is a rotating shaft 250 is fastened in a fixed ring 250 fixed to the inside of the ladder member 28,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interval 25, the fixing rod 29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ring 256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고안 가교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가교부의 사다리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Figure 3a, Figure 3b and Figure 3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ross-link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mai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member of the cross-linked portion is drawn out.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적재함으로 밑면으로 고정된 가교부(20)의 가이드레일부재(24)로 부터 사다리부재(28)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인출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사다리부재(28)의 끝단으로 설치된 지지부재(29)의 브라켓(290a) 일면으로 설치된 스토퍼(294)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24)의 일단으로 설치된 걸림대(22)로 걸려지면서 더이상 인출되지 않는 것이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adder member 28 is drawn out from the guide rail member 24 of the bridge portion 20 fixed to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t this time, the stopper 294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racket 290a of the support member 29 installed as the end of the ladder member 28 is caught by the hook 22 installed as one end of the guide rail member 24 and no longer pulled out. It doesn't work.

도 3b는 도 3a에 따른 사다리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Figure 3b is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member according to Figure 3a is rotated.

전술한 도 3a의 상태에서 상기 사다리부재(28)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시키게 되면, 즉 일측 지지간(25) 내의 고정링으로 회전자재케 지지되어 지고, 그 대응되는 브라켓(290a)의 고정봉(292)으로 결합링에 의해 고정된 회전축으로 인하여 상기 사다리부재(28)가 회전되어 지면서 타측 지지간(25)의 끝단으로 형성된 걸림편(25b)이 적재함의 후방 밑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고리(10)로 걸려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When the ladder member 28 is rotated in the above-described state of FIG. 3A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the support rod 2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xing ring in the one support rod 25, and the fixing rod of the corresponding bracket 290a is supported. Due to the rotating shaft fixed by the coupling ring at 292, the hook member 25b, which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ther support interval 25 while the ladder member 28 is rotated, is formed by the hook bottom 10 of the loading box. It is shown as hanging.

도 3c는 도 3b에 따른 사다리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이다.Figure 3c is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member according to Figure 3b is installed.

전술한 도 3b의 상태에서 상기 고정봉(292)으로 결합링에 의해 감싸진 회전축과 상기 걸고리(10)로 걸림편(25b)이 걸려짐으로써, 그 사다리부재(28)의 자중에 의하여 타단이 지면으로 경사지게 놓여진 것을 나타낸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state of FIG. 3B, the locking rod 252 is caught by the fixing shaft 292 by the coupling ring and the hook 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aused by the weight of the ladder member 28. It shows that it is inclined to the ground.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따른 요부 측면도이다.4A and 4B show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FIG. 4A.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1)의 적재함(200) 밑면으로 설치되는 가교부(20)인 사다리부재(28)를 상기한 도 3a, 도 3b 및 도 3c 과정을 거쳐 인출하여 일단이 지면과 경사지도록 설치됨에 따라 다른 이앙기나 콤바인 등과 같은 농기계 등을 상기 사다리부재(28)를 통하여 상기 적재함(200)으로 탑재 및 하차시킬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adder member 28, which is the bridge portion 2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200 of the trailer 1, is taken o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of FIGS. 3A, 3B, and 3C so that one end is inclined with the ground. As it is installed, the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other rice transplanters, combines, etc. will be provided with the conditions for loading and unloading into the loading box 200 through the ladder member 28.

한편, 상기와 같이 트레일러(1)의 적재함(200)으로 농기계를 탑재하거나 하차시킨 후에는 전술한 작동순서를 역순으로, 다시말해서 지면과 맞닿아 있는 사다리부재(28)를 다시 가이드레일부재와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작업자가 밀어 넣게 되면 간단하게 인입되어 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fter loading or unloading the agricultural machinery to the stacking box 200 of the trailer 1 as described above,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sequence is reversed, that is, the ladder member 28 in contact with the ground again corresponds to the guide rail member When it is rotated to the desired position and the operator pushes it in, it is simply pulled in.

이때, 상기 인입된 사다리부재(28)는 별도의 와이어나 아니면 일반적인 스크류 등을 인입부에 공지의 방법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견인되는 트레일러(1)의 이동 중에도 인출되어 지지 않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drawn ladder member 28 is fixed by a separate wire or a general screw or the like by the known method, it is not drawn out even during the movement of the towing trailer (1).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고안 사다리부재의 다른 제1 실시예로, 도 5a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5a, 5b and 5c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ladd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적재함의 밑면으로 설치되는 가교부의 설치 길이를 전체적으로 짧게 하면서 그 지면으로 설치되는 사다리부재의 길이는 길게 할 수 있도록 사다리부재를 절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adder member is configured to be folded so that the length of the ladder member installed to the ground is made short while the installation length of the crosslinking portion provided to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is shortened as a whole.

즉, 전술한 구성인 상기 사다리부재(28)의 지지간(25) 끝부분인 일면을 개방하여 그 끝단으로 핀결합되어 내측으로 한쌍의 보조지지간(25')에 수개의 보조가로대(26')가 설치된 보조사다리(28')가 절첩되게 체결되어 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That is, one side of the support section 25 of the ladder member 28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opened and pin-coupled to the end thereof, so that several auxiliary rail stands 26 'are provided in the pair of auxiliary support sections 25' inward. ) Shows that the auxiliary ladder (28 ') is installed to be folded.

따라서, 적재함의 밑면으로 최소한의 설치길이를 가지면서 농기계 등을 탑재 및 하차시키고자 설치되는 사다리부재(28)를 최대한 길게 설치하여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it has a condition that can be used stably by installing the ladder member 28, which is installed to mount and unload agricultural machinery, etc. with a minimum installation length to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as long as possible.

도 5b는 도 5a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보조사다리부재가 펼쳐진 요부도이다.FIG. 5B is a main view of the auxiliary ladder member in a coupled state according to FIG. 5A.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사다리부재(28)의 지지간(25) 일단으로 핀결합되어 있는 보조사다리(28')를 핀결합에 따른 힌지작용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과 같이 펼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uxiliary ladder 28 ', which is pin-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ort bar 25 of the ladder member 28,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it is un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a hinge action according to the pin coupling.

이로써, 상기 사다리부재(28)를 보다 길게 설치할 수 있어,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by, the said ladder member 28 can be installed longer, and it can use stably.

도 5c는 도 5b에 따른 보조사다리부재가 접혀진 요부도이다.Figure 5c is a main portion of the auxiliary ladder member according to Figure 5b is folded.

상기한 도 5b 상태에서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사다리부재(28)의 지지간(25) 일단으로 핀결합된 보조사다리(28')를 핀결합에 따른 힌지작용에 의하여 상기 지지간(25) 내측으로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상기와 같이 보조사다리(28')가 절첩되어 지면 다시 상기 사다리부재(28)를 도 3b의 화살표 방향의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한 가이드레일부재로 인입시키므로서,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끝단으로 설치된 걸림대로 상기 보조사다리(28')가 재치되어 하강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When the use is completed in the state of FIG. 5B, the auxiliary ladder 28 ′ pinned to one end of the support bar 25 of the ladder member 28 is moved into the support bar 25 by a hinge action according to pin coupling. When the auxiliary ladder 28 'is folded as described above, the ladder member 28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3B and introduced into the guide rail member. The auxiliary ladder (28 ') is placed on the hang as it is installed to the end of the will not fall.

따라서, 미사용시에는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적재함의 밑면으로 상기 사다리부재(28)와 같이 슬라이딩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Thus, when not in use, it is possible to slide into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such as the ladder member 28 while having a shorter leng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레일러의 적재함으로 필요에 따라 인출 가능한 가교부를 형성시킴으로서, 별도의 기구없이 이앙기, 콤바인 등과 같은 다른 농기계를 안정되고 편리하게 탑재 및 하차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ably and conveniently loading and unloading other agricultural machinery such as rice transplanters, combines, etc. without a separate mechanism by forming a cross-linkable portion that can be pulled out as needed by loading a trailer.

또한, 가교부의 사다리부재를 절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적재함의 밑면으로의 설치 길이는 최소화하면서 지면으로 설치하여 농기계를 탑재 및 하차시에는 최대한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ladder member to be folded so as to be folded, the installation length to the underside of the loading box is minimized, so that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on the ground while loading and unloading agricultural machinery to have the most stable use.

Claims (5)

전방으로 견인부가, 후방 양측에는 구름바퀴가 설치되며, 중간으로 덤핑부가 설치된 차체프레임과, 상기 차체프레임의 상부로 덤핑부에 의해 덤핑되는 적재함이 설치된 통상의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00)의 후방 밑면에 양단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걸고리(10)와; 상기 걸고리(10)의 내측 적재함(200)의 밑면에는 슬라이딩 인출되어 상기 걸고리(10)로 걸려질 수 있는 각각의 가교부(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가교장치.In a conventional trailer provided with a towing portion forward, the rear wheels on both sides, the vehicle frame frame is installed with a dumping portion in the middle, and a loading box that is dumped by a dumping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Hook 10 is formed fixed to both ends at the rear bottom; The cross-linking device for a trail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ross-linking portion 20 that can be slid out and hooked to the hook (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stacking box 200 of the hook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20)는 일단으로 지지대(21)가, 타단의 밑면에는 걸림대(22)가 설치되어 양측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부재(24)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24)에 내장되며 일측 끝단으로 걸림편(25b)이 형성된 한쌍의 지지간(25)에 수개의 가로대(26)가 설치된 사다리부재(28)가 회전되도록 끝단으로 지지부재(29)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가교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linking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member 24 fix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21) at one end, the lower end of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catch (22); The support member 29 is embedded in the guide rail member 24 and the ladder member 28 having several crossbars 26 installed therein is rotated in a pair of support rods 25 having a locking piece 25b formed at one end thereof. Crosslinking device for a trail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nnect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재(24) 가이드홈의 높이(h)(H)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점차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가교장치.3. The bridge constr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eight (H) of the guide rail member (24) guide groov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9)는 관통되게 고정된 고정봉(292)의 양측으로 일면에 상기 걸림대(22)로 걸려지는 스토퍼(294)가 형성된 각각의 지지브라켓(290)(290a)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일측 지지브라켓(290)에는 상기 사다리부재(28)의 일측 지지간(25)으로 형성되는 지지핀(25a)이 재치되도록 재치홈(295a)이 형성된 재치리이브(29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지지브라켓(290a)에는 상기 사다리부재(28) 타측 지지간(25)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링(250)에서 회전자재케 체결된 회전축(255)이 상기 고정봉(292)으로 결합링(256)에 의해 체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가교장치.The support member 29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members 29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rod 292 fixed to penetrate, respectively. ) Is installed to be fixed, the mounting support (295a) has a mounting groove (295a) is mounted so that the support pin (25a) formed on the one side support bracket 25 of the ladder member 28 in the one side support bracket (290) 295 is formed integrally,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290a) is a rotating shaft 255 fastened in a fixed ring 250 fixed to the inside of the ladder member 28,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25) Crosslinking device for a trail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astened by a coupling ring (256) to a fixed rod (292).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재(28)의 지지간(25) 일단에는 핀결합되어 그 지지간(25)의 내측으로 한쌍의 보조지지간(25')에 수개의 보조가로대(26')가 설치된 보조사다리(28')가 절첩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가교장치.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25 of the ladder member 28 is pin-bonded to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25, a plurality of auxiliary rail stand (25) 26 ') is a secondary bridge (28') is installed, the bridge brid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KR2020000022590U 2000-08-08 2000-08-08 a bridge apparatus of trailer KR2002178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90U KR200217803Y1 (en) 2000-08-08 2000-08-08 a bridge apparatus of tra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90U KR200217803Y1 (en) 2000-08-08 2000-08-08 a bridge apparatus of trai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803Y1 true KR200217803Y1 (en) 2001-03-15

Family

ID=7308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590U KR200217803Y1 (en) 2000-08-08 2000-08-08 a bridge apparatus of tra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80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78A (en)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Self loader for small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78A (en)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Self loader for small vehicle
KR102015420B1 (en) * 2017-06-13 2019-08-29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Self loader for small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6637A (en) Truck cargo space extension bed
US20020051703A1 (en) Motorcycl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US4685855A (en) Universal trailer
US6308874B1 (en) Roof rack assembly
US6834903B2 (en) Tailgate ramp system
US2703658A (en) Vehicle convoy or carrier with adjustable ramp
US4995537A (en) Removable gun rack
US6213053B1 (en) Bale feeder
US20080292435A1 (en) Atv loading device
US20050254925A1 (en) Lift apparatus for an all-terrain vehicle
US5360259A (en) Containing and dumping apparatus
US4389067A (en) Tailgate protecting device
US2992750A (en) Automatic unloading trailer
KR200217803Y1 (en) a bridge apparatus of trailer
US4228766A (en) Truck mounted cattle control box
US8998285B2 (en) Dump truck tailgate debris bin
RU2708873C2 (en) Piece cargo vehicle
US6382898B2 (en) Boat loading and carrying apparatus for vehicles
US3780894A (en) Trailer
KR200216331Y1 (en) a bridge apparatus of trailer
US4033599A (en) Foldable mudflap assembly
KR102145865B1 (en) A loading device provided in the loading vehicle
US2405114A (en) Loading machine
US4494797A (en) Tilt trailer
US3556325A (en) Spare tire carrie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