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411Y1 - 착,탈식 주화케이스 - Google Patents

착,탈식 주화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411Y1
KR200217411Y1 KR2020000026112U KR20000026112U KR200217411Y1 KR 200217411 Y1 KR200217411 Y1 KR 200217411Y1 KR 2020000026112 U KR2020000026112 U KR 2020000026112U KR 20000026112 U KR20000026112 U KR 20000026112U KR 200217411 Y1 KR200217411 Y1 KR 200217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detachable
case
assembly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주 filed Critical 김영주
Priority to KR2020000026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4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41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식 주화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분해 조립이 가능한 탈,부착 캡슐구조로서 필요에 따른 주화의 교환수용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와같은 주화의 선택적인 교환수용구조로서 영구적인 재사용 관계를 갖도록 한 탈,착식 주화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탈,부착 가능한 캡슐구조로에 따라 단순 판상체 구조를 취하는 장식판으로 부터 고급화된 포장케이스에 이르기 까지 그적용범위를 범용화 되도록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부여되도록 한 탈,착식 주화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뚜껑과 하부수용판 결합에 의해 주화를 수용토록하는 투명캡슐을 형성시키고, 상기 투명캡슐이 탈,부착되는 조립대상물로서 탄성편과 안착편을 갖는 체결공 외측둘레로 조립판을 일체로 형성한 조립구를 구비토록 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착,탈식 주화케이스{COINAGE CASE}
본 고안은 착,탈식 주화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가에서 통용되고 있는 주화 내지 각종 행사를 기념하기위해 발행되는 주화(또는 매달 등)등을 그 종류에 따라 단일화된 세트구조로 포장 구성하여 대외적인 홍보용으로 이용되도록 한 착,탈식 주화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화(화폐)라 함은 경제적인 가치의 척도, 지불의 방편, 축적의 목적물 등으로 유통되는 재물의 일종으로, 이러한 주화(화폐)는 통상 시장경제에 있어 상품교환의 매개물로 이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같은 주화는 각 국가에 따라 그 종류 및 단위를 달리하여 발행되고, 또한 국가 내지 일부 지역 등에 특징적인 행사가 있을시 이를 기념하기위해 새로운 형태의 주화등을 발행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국내에서 새로운 통용 주화 내지 기념주화등이 발행될 시에는 이를 하나의 샘플로서 국내의 각 지역 내지 세계 각 국가에 제공하여 이를 홍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같이 새롭게 발행된 통용주화 내지 기념주화등을 샘플로 제공하는 종래의 주화 홍보방법을 살펴보면, 통상 발행되는 주화를 그 단위에 따라 종류별로 선택, 이를 단순구조의 포대 등에 무작위로 수용되게 하거나 혹은 수용형태를 갖지 않는 개별(낱개)적인 형태로 각 국가 내지 지역의 통화 담당기관에 제공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주화 홍보방법은 무작위로 수용되는 체계화되지 못한 제공방법으로 인해 그 보관 및 운반과정에 있어 항상 분실의 위험성을 갖게 되는 것이었 으며, 또한 제공된 주화를 지역 및 국가의 불특적 다수 사용자에게 홍보하기 위하여는 별도 전시목적을 위해 새로운 보관형태를 취하게 해야 하는 등, 주화의 홍보과정을 매우 번잡하고 난해하게 하는 상당한 방법상의 문제점을 갖게하는 것이었 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주화 홍보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 고안자에 의해 선출원(출원번호 2000-17136호)된 주화세트 케이스가 창안된 바 있다.
하지만, 본 고안자에 의해 선출원된 상기 주화세트케이스는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각 단위별로 발행된 주화(10)를 투명 필름지(20)에 의해 고주파 융착하여 정보문자가 인쇄된 장식판(30)에 일체로 접착구성되게 한 것으로, 이는 무작위로 취급되는 주화를 세트구조화 시켜 운반에 따른 주화의 분실 또는 변색등의 우려를 예방되도록 한 것이기는 하나, 주화가 세트구조로 형성됨에 있어 필름지에 의한 고주파 융착방법에 의해 장식판과 일체로 형성되어지므로 인해, 한번 제작된 주화세트케이스는 재사용을 불가하게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일뿐 아니라, 세트구조화된 주화케이스로 부터 필요에 따라 주화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주화세트 자체를 파손시켜 폐기처분토록 해야 하는 등 사용상에 있어 해결하지 못한 새로운 문제점을 발생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선출원된 종래 주화세트 케이스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해 조립이 가능한 탈,부착 캡슐구조로서 필요에 따른 주화의 교환수용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와같은 주화의 선택적인 교환수용구조로서 영구적인 재사용 관계를 갖도록 한 탈,착식 주화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또 다른 목적으로는 탈,부착 가능한 캡슐구조로에 따라 단순 판상체 구조를 취하는 장식판으로 부터 고급화된 포장케이스에 이르기 까지 그적용범위를 범용화 되도록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부여되도록 한 탈,착식 주화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뚜껑과 하부수용판 결합에 의해 주화를 수용토록하는 투명캡슐을 형성시키고, 상기 투명캡슐이 탈,부착되는 조립대상물로서 탄성편과 안착편을 갖는 체결공 외측둘레로 조립판을 일체로 형성한 조립구를 구비토록 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주화세트 케이스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화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화케이스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케이스의 또 다른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화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캡슐 2 : 조립구 3 : 주화
4 : 장식판 5 : 포장케이스 11 : 상부뚜껑
12 : 하부수용판 21: 체결공 22 : 조립판
41,51 : 체결홈 121 : 체결돌기 211 : 탄성편
212 : 안착편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화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화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화케이스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케이스의 또 다른 결합상태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원통형의 투명캡슐(1)과, 이 투명캡슐(1)을 탈,부착 결합되게 하는 조립대상물로서 조립구(2)를 형성토록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투명캡슐(1)은 투명재질을 갖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몰딩형성되는 용기구조를 취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투명캡슐(1)은 상,하 탈,부착되는 결합구조로서, 먼저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상부뚜껑(11)을 형성하고, 이 상부뚜껑(11) 하부에 주화(3)를 수용안착되게하는 구조로서 체결돌기(121)를 갖는 하부수용판(12)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뚜껑(11)과 하부수용판 (12)을 상호 결합구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구(2)는 외부응력에 대해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인바, 이와같은 조립구(2)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부에 원통형으로 돌출 개방된 체결공(21)을 형성하고, 이 체결공(21)의 외측 하단둘레로 원판형을 취하는 조립판(22)을 일체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때, 상기 체결공(21) 내측면 둘레로는 도 2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는 탄성편(211)을 형성하고, 이러한 탄성편(211) 하단부에 소정길이로 직교 연장되는 안착편(212)을 일체화 구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착,탈식 주화케이스의 상호 결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발행된 기념주화를 장식적인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 별도 제작된 판상체의 장식판(4)에 도 2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조립판(22)을 접착,고정되도록하여 상기 장식판(4)과 조립구(2)를 일체화 구성시킨 상태하에, 상부뚜껑(11)과 하부수용판(12)내로 주화(3)를 수용결합시킨 투명캡슐(1)을 상기 조립구(2)의 체결공(21)내에 삽입, 결합시키므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화케이스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공(21)내로 투명캡슐(1)이 삽입고정됨에 있어서는 도 3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캡슐(1) 삽입에 따른 탄력작용에 의해 탄성편(211)은 삽입된 투명캡슐(1)에 탄성압박력을 작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정된 고정상태로서 상기 투명캡슐(1)은 체결공(21)과 착,탈식 결합관계를 갖게 됨과 동시에 안착편(212)에 의해 투명캡슐(1)이 체결공 저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또 다르게 상기 투명캡슐(1)은 상부뚜껑(11)과 하부수용판(12)으로 분리되는 구성형태에 따라 다수종류의 주화를 선택적으로 교환 수용되게하는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화케이스는 조립구(2)를 배제하고 투명캡슐(1)만을 이용하여 그 사용관계를 갖게 할수 있는 것인바, 그 일예로서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개별 제작되는 장식판(4)을 소정의 두께를 갖는 탄력수지재로 형성하고, 그 장식판(4)상에 투명캡슐(1)이 삽입되는 체결홈(41)을 형성하여, 이 체결홈(41)상에 투명캡슐(1)을 직접 삽입수용되게 하는 것이며, 또 다르게 고급화된 주화수용구조로서 박스형상을 취하는 포장케이스(5) 내측에 체결홈(51)을 형성하여 주화(3)가 수용된 투명캡슐(1)을 상기 포장케이스 (5)내측 체결홈(51)에 직접 내설보관되게 할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에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또 다르게 기념주화로 발행되는 주화는 그 형상이 통용주화와 같이 원형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주화의 형상변형(사각, 육각, 팔각등)에 따라 이를 탄력적으로 수용보관 가능하도록 도 6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캡슐(1)과, 체결공(21)과 조립구(2)의 형상을 다각형 구조로 변형할수도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화케이스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탈,부착 캡슐구조로서 필요에 따른 주화의 교환수용을 가능케 하고, 또한 이와같은 주화의 선택적인 교환수용구조로서 영구적인 재사용 관계를 갖도록 한 것일뿐만 아니라;
또 다르게, 탈,부착 가능한 캡슐구조에 따라 단순 판상체 구조를 취하는 장식판으로 부터 고급화된 포장케이스에 이르기 까지 그 적용범위를 확대되록 하여 사용의 범용성과 함께 편리성을 부여되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상부뚜껑(11)과 하부수용판(12) 결합에 의해 주화(3)를 수용토록하는 투명캡슐(1)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캡슐(1)이 탈,부착되는 조립대상물로서 탄성편(211)과 안착편(212)을 갖는 체결공(21) 외측둘레로 조립판(22)을 일체로 형성한 조립구(2)를 구비되도록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주화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슐(1)은 원통형 구조를 취하며, 체결홈(41) (51)을 갖는 장식판(4)과 포장케이스(5)내에 독립적인 개별형태로 조립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주화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슐(1)과, 체결공(21)과, 조립구(2)의 형상이 다각형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주화케이스.
KR2020000026112U 2000-09-18 2000-09-18 착,탈식 주화케이스 KR200217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112U KR200217411Y1 (ko) 2000-09-18 2000-09-18 착,탈식 주화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112U KR200217411Y1 (ko) 2000-09-18 2000-09-18 착,탈식 주화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411Y1 true KR200217411Y1 (ko) 2001-03-15

Family

ID=7305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112U KR200217411Y1 (ko) 2000-09-18 2000-09-18 착,탈식 주화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4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23B1 (ko) * 2020-10-22 2021-08-17 김영주 장식형 기념주화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00935U (ko) * 2021-11-01 2023-05-09 정종철 화폐 보관케이스를 구비한 장식용 액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23B1 (ko) * 2020-10-22 2021-08-17 김영주 장식형 기념주화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00935U (ko) * 2021-11-01 2023-05-09 정종철 화폐 보관케이스를 구비한 장식용 액자
KR200497642Y1 (ko) * 2021-11-01 2024-01-12 정종철 화폐 보관케이스를 구비한 장식용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4194A (en) Gemstone gift card with video or audio device carrier
US20060278539A1 (en) Coin container and display device
US4103774A (en) Capsule
KR101190029B1 (ko) 몰딩된 패키지
CA2765783C (fr) Ensemble de protection d&#39;un article contre le vol
US8069983B2 (en) Package for a saw blade
US5133451A (en) Protective coin holder
JP2005529807A (ja) カードホルダを一体に備えた容器
AU765852B2 (en) Housing for a disc-shaped information carrier
KR200217411Y1 (ko) 착,탈식 주화케이스
US7172094B2 (en) Packaged goods delivering device
KR200235222Y1 (ko) 몰딩성형구조를 갖는 주화케이스
US20070151986A1 (en) Combination dispenser and frame
US6357584B1 (en) Item and product sample card with video or audio device carrier
KR200242314Y1 (ko) 홍보용 주화 수납케이스
WO2004094254A1 (en) Combined toy/bottlecap system
JP2001160169A (ja) 展開可能な棒金輸送箱
KR200349504Y1 (ko) 휴대용 알약 케이스
US6273249B1 (en) Novelty item and product sample card with video or audio device carrier
US6622866B2 (en) Jewel case packaging system for recording media
EP1614116B1 (en) Housing for a disc-shaped information carrier
KR200456105Y1 (ko) 화장품 샵의 화장 테스터바
NL1011414C2 (nl) Inrichting voor het bewaren van platte voorwerpen zoals munten en dergelijke.
EP0245367A1 (en) DEVICE FOR STORING COMPACT DISC CASES.
KR20020072605A (ko) 몰딩성형구조를 갖는 주화케이스 및 그 주화케이스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