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997Y1 - 안마 의자 - Google Patents

안마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997Y1
KR200216997Y1 KR2020000027502U KR20000027502U KR200216997Y1 KR 200216997 Y1 KR200216997 Y1 KR 200216997Y1 KR 2020000027502 U KR2020000027502 U KR 2020000027502U KR 20000027502 U KR20000027502 U KR 20000027502U KR 200216997 Y1 KR200216997 Y1 KR 200216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assage
backrest
case
massag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빈
Original Assignee
박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빈 filed Critical 박의빈
Priority to KR2020000027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997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석자의 척추와 둔부측에 반복적으로 지압 및 안마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의자 사용에 따른 피로감을 풀어주도록 하고 요통 등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안마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등받이부와 좌석부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좌석부를 중심으로 등받이부를 일측으로 회동시키는 경사조절수단과, 등받이부 및 좌석부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 일측에 설치되며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전기적으로 배선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스 중앙측에 복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 설치되며 일단이 구동모터의 출력단에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며 일측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편심유동자와, 상기 각 편심유동자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됨으로써 착석자의 신체 일부를 일정주기로 가압하는 안마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안마 의자{Massage chair}
본 고안은 안마를 통해 인체의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는 안마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마구가 반복적으로 신체의 척추 및 둔부를 가압함으로써 지압과 안마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안마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또는 장시간 공부를 해야하는 수험생들에게는 업무 및 학습의 능률성이나 건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근래에 들어와서는 의자에 앉은 자세로 장시간 동안 업무를 하는 사람들 특히, 수험생이나 사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또는 운수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안락함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춘 의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와서 자주 발생하는 질병중의 하나가 디스크로 인한 요통(腰痛)과, 어깨와 팔등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한 견비통(肩臂痛)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통 및 견비통은 장시간 동안 앉은 자세로 업무를 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나타나고 있으며, 현대인의 운동부족과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무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0)는 크게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부(110)와, 이 좌석부(110)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이부(1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의자(100)는 대부분이 좌석부(110)의 저부측에 상기 좌석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130)가 구비되며, 이 다리(130)에는 의자(10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여러개의 바퀴(13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좌석부(110)와 등받이부(120)는 통상 착석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쿠션이 좋은 커버로 씌워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자(100)는 단순히 착석자에게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므로 어느 정도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장시간 의자(100)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누적되는 피로를 풀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장시간 동안 의자(100)에 앉아서 생활하게 되면 신체에서 사용하지 않는 근육이 경직되어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피로감이 쌓이게 되며, 또한 척추 부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요통 등의 발병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석자의 척추와 둔부측에 반복적으로 지압 및 안마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의자 사용에 따른 피로감을 풀어주도록 하고 요통 등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안마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무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마 의자에서 경사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 의자에서 안마수단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마 의자에서 안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안마 의자에서 안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마 의자 2 : 좌석부
3 : 등받이부 4 : 다리
10 : 경사조절수단 11 : 고정기어
15 : 걸림장치 16 : 걸림편
17 : 손잡이 18 : 탄성부재
20 : 안마수단 21 : 케이스
22 : 구동모터 23 : 샤프트
24 : 편심유동자 25 : 안마구
26 : 발열부 27 : 헤드
28 : 돌기 29 : 가이드 프레임
30 : 스위치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안마 의자는 등받이부와 좌석부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좌석부를 중심으로 등받이부를 일측으로 회동시키는 경사조절수단과; 등받이부 및 좌석부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 일측에 설치되며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전기적으로 배선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스 중앙측에 복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 설치되며 일단이 구동모터의 출력단에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며 일측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편심유동자와; 상기 각 편심유동자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됨으로써 착석자의 신체 일부를 일정주기로 가압하는 안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수평으로 배치된 좌석부와 수직으로 배치된 등받이부의 일측을 상호 회전축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된 좌석부의 일측에는 고정결합된 고정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부 내에는 고정기어의 기어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걸림편과, 이 걸림편에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와, 걸림편을 고정기어측으로 진행하도록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걸림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안마구는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전열선이 내설되며 일측면이 케이스의 일측면에 탄성스프링으로 연결된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성체가 구비된 지압돌기가 다수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상기 각 편심유동자는 샤프트의 회전시 각각의 안마구가 서로 시간차를 두고 유동되도록 샤프트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구동모터의 출력단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이 구동기어와 교합되며 샤프트에 끼움결합되는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각 안마구의 네 모서리 부분에 삼각편상의 가이드 프레임이 설치되며, 이 가이드 프레임은 중간부분에 안마구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방지턱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후면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완충작용을 하는 탄성부재로 연결되는 베이스패널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샤프트는 일단부가 반복적으로 굽힘가공된 크랭크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마 의자에서 경사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좌석부(2)와 등받이부(3) 및 다리(4)로 구성되는 통상의 의자에 상기 좌석부(2)를 중심으로 등받이부(3)를 임의의 각도만큼 회동시키는 회동부(2a),(3a) 및 경사조절수단(10)과, 구동원을 내장하며 착석자의 척추 및 둔부측에 반복적인 안마 및 지압작용을 수행하는 안마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부(2a),(3a)는 좌석부(2)를 중심으로 등받이부(3)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회동부(2a),(3a)는 좌석부(2)와 등받이부(3)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등받이부(3)의 회동부(3a)는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돌출부가 돌출되며, 이 돌출부는 횡방향으로 상호 일치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좌석부(2)의 회동부(2a)는 등받이부(3)에 형성된 한상의 돌출부 사이에 일측부가 맞물리도록 돌출되며, 이 돌출된 돌출부 역시 상기 등받이부(3)의 관통구멍에 연결되는 동일 크기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3)와 좌석부(2)는 상호 회동부(2a),(3a)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축(s)이 각 관통구멍을 일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등받이부(3)가 좌석부(2)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3)는 경사조절수단(10)에 의해 좌석부(2)에서 회동될 때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경사조절수단(10)은 착석자가 안마를 받을 때 등받이부(3)를 후방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동시킨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에서 안마 및 지압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좌석부(2)측에 마련되는 고정기어(11)와 등받이부(3)측에 마련되는 걸림장치(15)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기어(11)는 좌석부(2)의 회동부(2a)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등받이부(3)가 180°내에서 경사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반달형의 기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장치(15)는 등받이부(3)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상기 고정기어(11)에 작용하는 고정력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걸림장치(15)는 크게 고정기어(11)의 기어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걸림편(16)과, 이 걸림편(16)에 연결되며 등받이부(3)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는 손잡이(17)와, 상기 걸림편(16)을 하측으로 항상 진행하도록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16)은 그 선단부가 고정기어(11)이 사이에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고정기어(11)의 기어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8)는 통상의 탄성스프링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걸림장치(15)는 등받이부(3)내에 걸림편(16)의 일단이 관통되는 하우징(h)을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부재(18)의 일단을 하우징(h) 내부에 위치된 걸림편(16)의 일단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하우징(h)의 내부 상측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편(16)이 항상 하측으로 즉, 고정기어(11)측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경사조절수단(10)은 착석자가 걸림장치(15)의 손잡이(17) 부분을 잡고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손잡이(17)에 일체로 연결된 걸림편(16)이 고정기어(11)의 기어이 사이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등받이가 좌석부(2)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회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등받이부(3)의 위치조정이 끝난 뒤에는 상기 잡고 있던 손잡이(17)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18)에 의하여 걸림편(16)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그 선단부가 고정기어(11)의 기어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생하게 되므로 등받이부(3)의 경사조절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4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마 의자에서 안마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3)와 좌석부(2)에 각각 안마수단(20)이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등받이부(3)에 구성된 안마수단(20)을 기준으로 작도되었다.
안마수단(20)은 각종 구성품이 내장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에 구성되며 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23) 및 편심유동자(24)와, 상기 편심유동자(24)에 연동하여 수직 왕복운동을 하는 안마구(25)로 구성된다.
케이스(21)는 등받이부(3) 및 좌석부(2)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 일측에 구동모터(22)가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21)는 착석자가 앉을 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 및 완충시키기 위해 후면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판재형의 베이스패널(21a)을 구비시키고, 이 베이스패널(21a)과 케이스(21)를 다수개의 탄성부재(21b)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2)는 전기적으로 배선됨으로써 전원공급에 의해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게되며, 통상 출력단에는 회전비를 일정비율로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미도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동모터(22)는 등받이부(3)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30)에 연결됨으로서, 스위치(30)로 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21)의 중앙측에는 구동모터(2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샤프트(23)가 설치된다.
샤프트(23)는 회전 가능하게 양단부가 베어링(23a)에 의해 지지 설치되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구동모터(2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구동모터(22)에서 생성된 구동력을 샤프트(23)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풀리와 벨트 또는 스프로킷과 체인을 이용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구동모터(22)의 출력단에 끼움 결합된 구동기어(22a)와, 샤프트(23)의 일측단에 끼움결합된 종동기어(23b)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기어(22a)와 종동기어(23b)는 상호간에 기어물림이 되어 있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을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전달받는 샤프트(23)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편심유동자(24)가 끼움 결합된다.
편심유동자(24)는 캠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일측 끝단부에 상기 샤프트(23)가 억지 끼움되는 크기를 갖는 소정크기의 축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편심유동자(24)는 구동모터(2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23)와 일체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다수개의 편심유동자(24)는 전체적으로 나선형을 이루도록 샤프트(23) 상에 배치됨으로써, 후술할 안마구(25)가 시간차를 두고 유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안마구(25)는 실질적으로 착석자의 신체에 안마 및 지압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편심유동자(24)의 일측으로 즉 케이스(21)의 개방된 쪽에 위치되어 후면부에 접촉되는 편심유동자(24)에 연동하게 된다.
이러한 안마구(25)는 온열작용을 하는 발열부(26)와, 지압돌기(28)가 다수 형성된 헤드(27)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부(26)는 통상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내부에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전열선(26a)이 내장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열부(26)는 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에 다수개의 탄성스프링(26b)으로 연결되어 탄력적이 복원력을 작용받으며, 상기 탄성스프링(26b)은 발열부(26)를 포함한 안마구(25)를 케이스(21)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 복원력을 작용한다.
한편, 상기 발열부(26)의 상면에는 헤드(27)가 결합되며, 이 헤드(27)는 통상 유연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성형된다.
이러한 헤드(27)는 그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지압돌기(28)가 형성되며, 이 지압돌기(28)는 지압 및 안마효과를 높이기 위해 내부에 소정의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성체(28a)가 내설된다.
한편, 상기 헤드(27)는 등받이부(3)에 구성되는 경우 중앙부분이 완만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착석자의 척추 부분을 좀더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안마구(25)는 단순히 탄성스프링(26b)에 의해 케이스(21)의 일측면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전,후 왕복 이동시 안정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네 모서리 부분에 삼각편상의 가이드 프레임(29)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29)은 중간부분에는 탄성스프링(26b)에 의해 케이스(21) 내측으로 이동되려는 안마구(25)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방지턱(29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술한 안마수단(20)에서 샤프트(23)는 도 4에서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도 8에서와 같이 일단부가 굽힘 가공된 크랭크 샤프트(23)가 사용됨으로써 안마구(25)의 이동거리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2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크랭크 샤프트(23)의 굽힘가공된 부분에 편심유동자(24)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편심유동자(24)의 타단부는 안마부의 후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안마수단(20)은 크랭크 샤프트(23)의 굽힘된 부분이 갖는 회전반경에 대하여 편심유동자(24)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 편심유동자(24)의 일단과 연결된 안마구(25)가 일체로 연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 의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마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가 등받이부(3)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우선, 등받이부(3) 일측에 구비된 경사조절수단(10)의 손잡이(17)를 잡은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소정높이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17)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걸림편(16)의 선단부가 고정기어(11)의 기어이 사이에 형성된 기어홈에서 이탈되므로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착석자는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등받이부(3)를 뒤로 젖힐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착석자가 등받이부(3)의 위치선정을 끝낸 뒤에는 잡고 있던 손잡이(17)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18)에 의해 걸림편(16)이 위치 복귀를 이루게 되므로 걸림편(16)의 선단부가 고정기어(11)의 기어이 사이에 삽입되어 걸림 작용되어 등받이부(3)가 고정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등받이부(3)의 위치 선정이 끝난 뒤 착석자가 안마를 받기 위해서는 먼저 등받이부(3)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30)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스위치(30)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2)가 구동을 시작하게 되며, 이 구동모터(22)의 출력단에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된 샤프트(23)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23)는 원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선형을 배치된 다수개의 편심유동자(24)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편심유동자(24) 역시 샤프트(23)의 회전에 일체로 연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편심유동자(24)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길이재이므로 샤프트(23)의 회전에 비례하여 일측에 배치된 안마구(25)의 후면에 접촉하게 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마구(25)는 편심유동자(24)가 접촉하는 경우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착석자의 척추 또는 둔부측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안마구(25)는 편심유동자(24)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구간에서 일측에 연결된 탄성스프링(26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스(21) 내측으로 이동되므로 결과적으로 착석자의 척추 또는 둔부측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안마구(25)는 편심유동자(24)의 회전에 의해 일정주기 마다 안마구(25)가 반복적으로 착석자의 척추 또는 둔부측을 가압하여 안마 및 지압작용을 하게 되며, 상기 안마구(25)는 내부에 전열선(26a)을 구비하고 있어 온열작용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부 표면측에는 인체에 유익한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성체(28a)를 내설한 다수개의 지압돌기(28)가 형성되어 있어 보다 효율적인 지압을 병행하게 된다.
특히, 등받이부(3)에 설치된 안마수단(20)은 자기장을 방사하는 지압돌기(28)가 형성된 안마구(25)가 척추를 반복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척추의 양쪽에 있는 경락이 가압되므로서 피로물질로 인해 굳어져 있는 척추를 싸고 있는 인대에 압전효과로 인한 활동전위가 발생, 세포내외의 물질대사가 촉진되고 인대가 유연해지는 등 척추 보호기능이 강화되며 척추의 손상 및 이탈된 부분의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마구(25)는 편심유동자(24)에 의해 반복적으로 착석자를 가압하게 되므로 일정한 진동특성을 유도하여, 인체의 긴장을 완화시키면서 근육의 고통을 경감시키고 유포전달을 원활하게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전술한 안마 의자(1)는 지압과 안마작용으로 착석자의 척추 및 둔부 주변의 근육과 신경을 자극하게되므로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면서, 자기장 방출에 의한 원활한 혈액순환을 도모하고 신진대사를 강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안마 의자는 다수개의 편심유동자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안마구가 반복적으로 왕복이동을 하면서 착석자의 척추와 둔부 주위를 일정하게 가압하여 안마와 지압을 하게 됨에 따라 경직된 근육이 풀어지면서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고, 세포의 활성화에 의해 신진대사가 촉진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안마구에 내설된 전열선의 온열작용에 의하여 착석자의 몸 전체가 따뜻해지면서 근육이 이완되므로 안마구의 지압 및 안마작용이 더욱 향상되며, 특히 자성체를 구비한 지압돌기에서 인체에 유익한 다량의 자기장을 방사하므로 착석자의 신진대사가 활성화됨과 동시에 인체의 자기 방어능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등받이부와 좌석부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좌석부를 중심으로 등받이부를 일측으로 회동시키는 경사조절수단과;
    등받이부 및 좌석부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 일측에 설치되며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전기적으로 배선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스 중앙측에 복수개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 설치되며 일단이 구동모터의 출력단에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며 일측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편심유동자와;
    상기 각 편심유동자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됨으로써 착석자의 신체 일부를 일정주기로 가압하는 안마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수평으로 배치된 좌석부와 수직으로 배치된 등받이부의 일측을 상호 회전축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전축이 삽입된 좌석부의 일측에는 고정결합된 고정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부 내에는 고정기어의 기어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는 걸림편과, 이 걸림편에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와, 걸림편을 고정기어측으로 진행하도록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걸림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구는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전열선이 내설되며 일측면이 케이스의 일측면에 탄성스프링으로 연결된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자기장을 방사하는 자성체가 구비된 지압돌기가 다수 형성된 헤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편심유동자는 샤프트의 회전시 각각의 안마구가 서로 시간차를 두고 유동되도록 샤프트 상에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구동모터의 출력단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이 구동기어와 교합되며 샤프트에 끼움결합되는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각 안마구의 네 모서리 부분에 삼각편상의 가이드 프레임이 설치되며, 이 가이드 프레임은 중간부분에 안마구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방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후면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완충작용을 하는 탄성부재로 연결되는 베이스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일단부가 반복적으로 굽힘가공된 크랭크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KR2020000027502U 2000-10-02 2000-10-02 안마 의자 KR200216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02U KR200216997Y1 (ko) 2000-10-02 2000-10-02 안마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02U KR200216997Y1 (ko) 2000-10-02 2000-10-02 안마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997Y1 true KR200216997Y1 (ko) 2001-03-15

Family

ID=7305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502U KR200216997Y1 (ko) 2000-10-02 2000-10-02 안마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99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19A (ko) * 2018-11-14 2020-05-22 박성하 교정 의자 및 그의 체형 교정 방법
CN111754108A (zh) * 2020-06-23 2020-10-09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基于三维建模的机房资源管理系统
KR20210105758A (ko) 2020-02-19 2021-08-27 케이엠에이치씨 주식회사 자기치료 기능이 구비된 안마장치
CN114126565A (zh) * 2019-07-10 2022-03-01 保迪弗兰德有限公司 包括能够提供温热感的按摩单元的按摩装置
CN114983719A (zh) * 2022-05-10 2022-09-02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一种具有安抚功能的高危儿早期干预训练辅助装置
CN111754108B (zh) * 2020-06-23 2024-05-28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基于三维建模的机房资源管理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19A (ko) * 2018-11-14 2020-05-22 박성하 교정 의자 및 그의 체형 교정 방법
KR102209492B1 (ko) * 2018-11-14 2021-01-28 박성하 교정 의자 및 그의 체형 교정 방법
CN114126565A (zh) * 2019-07-10 2022-03-01 保迪弗兰德有限公司 包括能够提供温热感的按摩单元的按摩装置
KR20210105758A (ko) 2020-02-19 2021-08-27 케이엠에이치씨 주식회사 자기치료 기능이 구비된 안마장치
CN111754108A (zh) * 2020-06-23 2020-10-09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基于三维建模的机房资源管理系统
CN111754108B (zh) * 2020-06-23 2024-05-28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基于三维建模的机房资源管理系统
CN114983719A (zh) * 2022-05-10 2022-09-02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一种具有安抚功能的高危儿早期干预训练辅助装置
CN114983719B (zh) * 2022-05-10 2024-05-07 四川大学华西第二医院 一种具有安抚功能的高危儿早期干预训练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9095A (en) Split seat pelvic mobilizing chair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CN112056860B (zh) 一种坐姿拟合机构
KR101135873B1 (ko)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 통증 완화 마사지 장치
KR101885432B1 (ko) 기능성 침대
CN112690599B (zh) 一种浮动式动态调节表面形态的支撑装置
KR200451663Y1 (ko) 다리마사지장치
KR20220083139A (ko) 마사지 모듈 및 이를 갖는 안마의자
KR200216997Y1 (ko) 안마 의자
KR20080001082A (ko) 안마 의자
US7377889B2 (en) Chair providing dynamic thrust to exercise lumbar area of spine
US20200222273A1 (en) Topical massage device, and chair and mat provided with topical massage device
JPH10328262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01079055A (ja) 脚部の浮腫・静脈瘤軽減装置
KR100352631B1 (ko) 의자에 구비된 완충식 진동 안마기
KR200252232Y1 (ko) 안마기
JP7089725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377430Y1 (ko) 건강 증진용 의자
KR200345288Y1 (ko) 경혈 지압과 자극을 겸하는 시트용 진동장치
US3088457A (en) Therapeutic device
KR200261409Y1 (ko) 지압 시트
JPS6352902B2 (ko)
RU1006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кресло-качалка
KR102485939B1 (ko) 듀얼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사무용 안마의자
CN220158699U (zh) 一种按摩枕及具有其的套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