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591Y1 -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591Y1
KR200216591Y1 KR2019960046507U KR19960046507U KR200216591Y1 KR 200216591 Y1 KR200216591 Y1 KR 200216591Y1 KR 2019960046507 U KR2019960046507 U KR 2019960046507U KR 19960046507 U KR19960046507 U KR 19960046507U KR 200216591 Y1 KR200216591 Y1 KR 200216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intake
burner
combustion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583U (ko
Inventor
강덕홍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46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591Y1/ko
Publication of KR19980033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591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Suppl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관의 면적 보다 배기관의 면적을 크게하여 연소실에서 팽창된 연소 가스의 배기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소실의 상부 양측에 흡·배기를 수행하는 흡·배기부가 각각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부의 내부에 설치된 버너타일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버너타일에 형성된 통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갯수의 이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 개폐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와 배기되는 가스에 의해서 입·배기되는 경로의 면적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배기불량으로 인한 연소실 내부의 압력 증가와 연소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버너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
본 고안은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관의 면적 보다 배기관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하여 연소실에서 팽창된 연소 가스의 배기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제강 공장에서 전로로 부터 취련된 용강을 연주 공장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래들을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래들은 용강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축열식 버너로 예비 가열을 하게 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0)의 상부 양측에는 흡입 및 배기를 교대로 수행하는 흡·배기부(20)(20a)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배기부(20)(20a)의 일측에는 공기 입출관(21)(21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입출관(21)(21a)을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경로상에는 축열재(31)(31a)가 내장된 축열기(30)(30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배기부(20)(20a)의 일측은 연소실(11)에 연결되어 있고, 이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41)(41a)을 갖는 버너타일(40)(40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의 중앙에는 연료 분사노즐(50)(50a)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공기 입출관(21)으로 연소용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연소용 공기는 축열기(30)를 지나면서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버너타일(40)에 형성된 통공(41)을 통해 연소실(11)로 유입되어 연료 분사노즐(50)에서 분사되는 연료와 혼합된다.
상기 연소실(11)내부에서 흡입된 연소용 공기와 연료가 연소되는데, 이때 발생된 배기가스는 타측 버너타일(40a)에 형성된 통공(41a)을 통해서 축열기(30a)로 이동되어 상기 축열기(30a)에서 열교환을 거친 후 공기 입출관(2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1행정을 마친다.
이후 2 행정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1행정의 역순으로 공기 입출관(21a)으로 연소용 공기가 유입되며 연소실(11)에서 연소된 배기 가스는 타측 공기 입출관(21)으로 배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행정을 반복하면서 래들을 승온 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버너용 흡·배기 장치는 흡입측의 면적과 배기측의 면적이 동일 하므로 연소시 팽창된 연소가스의 일부는 배기되지 못하고 연소실의 내부에 잔존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의 적체로 인하여 상기 연소실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었음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연소 불량으로 인하여 버너의 가동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공기의 흡입량에 비해 배기가스의 배출을 상대적으로 크게하여 배기가스를 효과적으로 배기 시킬수 있는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는 연소실의 상부 양측에 흡·배기를 수행하는 흡·배기부가 각각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부의 내부에 설치된 버너타일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버너타일에 형성된 통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갯수의 이동공이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 개폐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래들 승온 버너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래들 승온 버너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제4a도, 제4b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계폐관의 개폐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제5a도, 제5b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계폐관의 개폐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연소실 20,20a : 흡·배기부
40,40a : 버너타일 41,41a : 통공
60,60a : 개폐판 61,61a : 이동공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래들 승온 버너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의 평면도로서, 종래 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연소실(1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흡·배기부(20)(20a)에 구비된 버너타일(40)(40a)의 상부에 상호 상반되게 개폐되는 반원형 개폐판(60)(60a)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60)(60a)에는 버너타일(40)(40a)에 형성된 통공(41)(41a)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갯수의 이동공(61)(6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공(61)(61a)은 개폐판(60)(60a)이 버너타일(40)(40a)의 상면에 접촉될 때 통공(41)(41a)과 일치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흡·배기부(20)에 구비된 공기 입출관(21)으로 연소용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연소용 공기는 축열기(30)에서 열교환을 하여 예열된 상태로 버너타일(40)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연소용 공기는 버너타일(4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반원형 개폐판(60)을 버너타일(40)측으로 밀착시키면서 개폐판(60)에 형성된 이동공(61)과 버너타일(40)의 통공(41)을 통해서 연소실(11)로 유입되고 연료 분사노즐(50)에서 분사되는 연료와 혼합된다.
상기 연소실(11)의 내부에서 공기와 혼합된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된 배기가스는 타측 흡·배기부(20a)를 통하여 배기 되는데, 상기 배기가스는 버너타일(40a)의 통공(41a)을 통하여 일차로 배출이 이루어지며, 이어서 통공(41a)을 통과하는 순간 가스의 배기압력에 의해 그 상부에 밀착된 반원형 개폐판(60a)을 힌지점을 축으로 개방 시키게 되므로 배기 경로의 면적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즉, 흡입되는 공기는 버너타일(40)의 통공(41a)을 막고 있는 일측 개폐관(60)의 이동공(61)을 통해 유입되는 반면, 배기가스는 버너타일(40a)에 형성된 통공(41a) 전체를 통해 배기되므로 공기흡입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배기경로가 증가됨으로써, 배기가스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기된 배기가스는 축열기(30a)를 거치면서 열교환을 하고 공기 입출관(2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1행정을 마친다.
이후, 2 행정 수행시는 상기 공기 입출관(21a)을 통해 연소용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 입출관(21)을 통해서 연소용 공기가 배기되는 것으로, 상기 1행정과 1행정의 반복으로 래들을 승온 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같이 본 고안은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와 배기되는 가스에 의해서 흡·배기되는 경로의 면적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배기불량으로 인한 연소실 내부의 압력 증가와 연소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버너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연소실(11)의 상부 양측에 흡·배기를 수행하는 흡·배기부(20)(20a)가 각각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부(20)(20a)의 내부에 설치된 버너타일(40)(40a)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버너타일(40)(40a)에 형성된 통공(41)(41a)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갯수의 이동공(61)(61a)이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 개폐판(60)(60a)을 양측에서 상호 상반되게 개폐토록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장치.
KR2019960046507U 1996-12-09 1996-12-09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 KR200216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507U KR200216591Y1 (ko) 1996-12-09 1996-12-09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507U KR200216591Y1 (ko) 1996-12-09 1996-12-09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583U KR19980033583U (ko) 1998-09-05
KR200216591Y1 true KR200216591Y1 (ko) 2001-05-02

Family

ID=5398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507U KR200216591Y1 (ko) 1996-12-09 1996-12-09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59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43B1 (ko) * 2015-07-01 2017-03-27 정길 갱 폼 일체형 커버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583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19101A (en) Turbine moving blade
KR200216591Y1 (ko) 래들 승온 버너용 흡.배기 장치
JPH0658224A (ja) 2サイクルエンジン
KR100757190B1 (ko) 코크스오븐용 리버싱장치
KR100424812B1 (ko) 열손실 방지를 위한 턴디쉬 가열장치
JPS6215619Y2 (ko)
KR200254429Y1 (ko) 축열식 버너의 연소용 공기 온도균일화장치
KR100494093B1 (ko) 질소산화물 저감용 버너장치
KR101742282B1 (ko) 풀타임 축열연소식 단일 라디안트 튜브 버너
CN117803924B (zh) 一种应用于燃气灶内的鼓风轮换预混装置
CN218710204U (zh) 一种带水冷式冷渣器的气化炉
KR200276851Y1 (ko) 축열식버너용배기가스순환장치
CN216073683U (zh) 一种用于调节液体排放的活塞装置
JPH0979524A (ja) シングルエンド型蓄熱式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
CN113375164B (zh) 一种易于布置的焚烧系统
CN216343922U (zh) 一种适用于蓄热式焚烧炉的密封结构及蓄热式焚烧炉
CN215062011U (zh) 一种新型节能锅炉
CN216273925U (zh) 氨水管路系统及包含该系统的荒煤气压力调节装置
CN211345353U (zh) 一种基于卧式蓄热氧化炉提升阀原理的旋转蓄热氧化炉
KR200191915Y1 (ko) 보일러
CN213746789U (zh) 一种高效rco蓄热型催化氧化设备
JP4248738B2 (ja) 無酸化還元燃焼方法並びにバーナ装置
CN216639557U (zh) 一种两段式顶燃热风炉
CN116064056A (zh) 一种用于调节液体排放的活塞装置
KR200276858Y1 (ko) 축열식 버너용 소재 온도균일화 장치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