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103Y1 - 식모침 교환 식모기 - Google Patents

식모침 교환 식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103Y1
KR200216103Y1 KR2020000024387U KR20000024387U KR200216103Y1 KR 200216103 Y1 KR200216103 Y1 KR 200216103Y1 KR 2020000024387 U KR2020000024387 U KR 2020000024387U KR 20000024387 U KR20000024387 U KR 20000024387U KR 200216103 Y1 KR200216103 Y1 KR 200216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fixing device
main body
cas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을
Original Assignee
허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을 filed Critical 허을
Priority to KR2020000024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103Y1/ko
Priority to JP2001005613U priority patent/JP3084282U/ja

Links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부 조직에 구멍을 뚫음과 동시에, 모근을 필요한 부위에 식모하는 데 사용하는 의료용 천자 식모기에 관한 것으로서, 첫째 식모침에 대한 분리·결합의 편리성, 둘째 심축을 고정지지하는 심축고정장치의 기능강화, 셋째 시술시 손으로 잡는 케이스 부분에 대한 효율성 제고를 위한 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일반 식모기의 경우 스킨가드가 심축지지대와 연결되어 있고 심축고정장치 또한 식모침에 부착된 상태에서 본체내부에 장착되어, 식모침 교환시 본체를 모두 분해하여야 가능하였으나, 본 고안은 심축지지대와 삽입부 스킨가드를 나사로 결합될 수 있도록 분리 제작하고, 심축고정장치 또한 식모침에서 분리하여 본체케이스에 고정하고, 식모침에는 침분리나사를 부착하여 심축고정장치와 식모침이 서로 분리·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체의 분해 없이 삽입부의 분리만으로 식모침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고, 식모침에서 분리되어 본체에 고정된 심축고정장치는 보다 안정적인 심축의 수직운동을 유지하며, 또한 심축고정장치에 별도의 스프링지지관을 부착하여 스프링의 흔들거림을 최소화 하도록 하였고, 3번케이스를 안쪽으로 오목하게 제작하여 이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고안되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식모침의 교체가 용이토록 제작하여 수술비용절감과 자원낭비를 줄이고, 스프링지관이 부착된 심축고정장치는 본체에 고정되어 보다 안정적인 심축의 수직운동 유지와 스프링의 흔들거림을 방지하고, 또한 케이스부분이 손으로 잡기 편리하여 식모시술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모침 교환 식모기{Hair Transplanter}
본 고안은 첫째 피부조직에 구멍을 뚫는 식모침에 대한 분리·결합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둘째 식모침에 의해 형성된 구멍으로 모근을 피부조직속으로 밀어 넣는 기구인 심축을 고정지지하는 심축고정장치의 기능을 강화하고, 셋째 시술시 손으로 잡는 케이스 부분에 대한 효율성 제고를 위한 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식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술도중 식모침의 손상과 마모로 인한 식모침 교환과 심축의 안정적인 수직운동, 스프링 고정을 위한 방법과 손으로 잡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식모침(1) 교환기술은 도 1에 도시한 식모기의 심축지지대(10)와 스킨가드(2)부분이 연결되어 있고, 심축고정장치(8)가 식모침(1)에 부착되어 있어어, 식모침(1)을 교환할 경우 첫째 식모기 본체의 4번케이스(7)를 왼쪽으로 돌려 풀고, 둘째 누름버튼(14)을 돌려 분해 하고, 셋째 본체의 1번케이스(4),2번케이스(5, 3번케이스(6를 본체로부터 분리해내고, 넷째 심축(11)과 스프링(13)을 빼내고, 마지막으로 심축지지대(10)사이 구멍으로부터 심축고정장치(8)를 옆으로 밀어 낸 뒤 식모침(1)을 약간 휘도록 당겨서 빼내야 하므로 식모침(1) 교환을 위해서 식모기 전체를 분해 조립해야 한다.
이러한 식모침(1) 교환기술은 일본에서 이미 특허공개 62-2779484 (1987.12.2)됨으로서 거절된 특허공개 10-1991-002894호 (1992.9.24/발명의 명칭:식모기)에서 발전한 것이다. 당초 공개된 상기기술은 도2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에 침고정나사못(10)을 부착하여, 침고정나사못(15)을 돌려 식모침(1)을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심축의 안정적인 수직운동을 위한 심축고정장치(8)의 경우는 식모침(1)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모근을 이식하기 위하여 누름버튼(14)을 눌러 심축(11)이 식모침(1) 슬릿드에 장착된 모근을 피부조직 속으로 밀어 넣기 위해 하강할 때, 심축지지대(10) 속에 나있는 구멍을 따라 식모침(1)과 함께 심축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인 식모기 상단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작되어 있다. 심축 복귀를 위한 압력을 생성하는 스프링(13)은 별도의 지지장치 없이 심축지지대(10)내의 중공속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를 보호하는 케이스의 경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으로 잡는 부위인 3번케이스가 단지 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평면상태로 제작 되어 있다.
식모침교환을 위한 기술은 도2의 C에 도시한바와 같이 침고정나사못(15)을 본체에 부착하여 식모침을 교환하는 특허공개기술은 침고정나사못(15)이 외부로 돌출되어 외장상 좋지 않고, 무엇보다도 침고정나사못(15)으로 식모침(1)을 교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현재의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일반 식모기 또한 식모침(1)을 교환할 경우 본체 전체를 완전히 분해한후에 식모침(1)을 교환할수 있어, 일반의료종사들게 식모침(1) 교환을 위한 식모기 분해조립이 상당히 불편하고 복잡한 작업으로 인식되어, 수술도중 식모침(1)이 마모되거나 손상된 경우 식모침(1)을 교환하여 사용하기보다는 그대로 폐기하는 현실이다.
그리고 심축(11)의 안정적인 수직운동을 위한 기술 또한 심축고정장치(8)가 식모침(1)에 부착되어 있어, 심축(11)이 하강할때 함께 움직임으로 인하여 심축(11)의 수직운동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본체케이스에 부딪혀 덜거덕거리는 소리를 내는 원인이 되었다. 스프링(13)의 경우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어 심축지지대(10)속의 중공속에서 흔들거리는 등 미세한 소음의 원인이 되었다. 케이스의 경우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술시 엄지와 중지로 잡는 3번케이스의 경우 나머지 케이스와 동일하게 평면상태로 제작되어 시술시 손이 미끄러지는등 사용자들이 잡기에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식모침(1) 교환을 위한 이러한 기술적 문제의 해결과 심축(11)의안정적인 수직운동 유지와 스프링(13)고정, 케이스를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의료종사자들이 본체의 분해 없이 삽입부 분해만으로 간단하게 식모침(1)을 교환하고, 동시에 심축고정장치(8)가 본체에 고정되어 심축(11)의 안정적인 수직운동을 유지하고, 스프링의 흔들거림과 소음을 방지 하고, 식모시술시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고안에 따른 침분리나사와 심축고정장치를 장착한 식모기 전체 평면도
도 2는 (A)는 본고안에 따라 침분리나사와 심축고정장치가 본체에 장착된 내부구조도
(B)는 본고안에 따라 식모침과 심축고정장치과 본체 3번케이스에 장착되는 예시도
(C)는 일본에서 특허공개된 침고정나사못 부착 삽입부 단면도
도 3은 시술시 기존의 식모기를 손으로 잡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모침 (2) 스킨가드
(3) 침분리나사 (4) 1번케이스
(5) 2번케이스 (6) 3번케이스
(7) 4번케이스 (8) 심축고정장치
(9) 스프링지지관 (10) 심축지지대
(11) 심축 (12) 심축켑
(13) 스프링 (14) 누름버튼
(15) 침고정나사못
본 고안에 따르면 식모침(1) 교환과 심축의 안정적인 수직운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식모기의 심축지지대(10)와 스킨가드(2)가 아세탈봉을 재질로 한부분으로 제작되어 있는 반면에,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축지지대(10)와 스킨가드(2) 부분을 나사로 결합될 수 있도록 분리 제작한다. 심축(11)을 고정지지하는 심축고정장치(8) 또한 식모침(1)에 부착되어있는 것과 달리, 도2의 (A) 심축고정장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축고정장치(8) 바깥쪽으로 별도의 수나사를 만들고,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번케이스(6) 안쪽에 만들어 놓은 암나사와 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식모침과 분리된 심축고정장치(8)는 도2의 (A) 심축고정장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축고정장치(8) 캡부분에 조그만 암나사를 만들어, 도2의 (A) 식모침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모침(1) 상단 침분리나사(3)를 별도록 제작하여 식모침(1)에 접착제로 고정시켜 보울트와 너트를 결합하듯이 심축고정장치(8)와 식모침(1)이 분리·결합된다.
그리고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식모침(1)과 분리된 심축고정장치 상단에 도2의 (A) 심축고정장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지지관(9)을 만들어 부착하고 마지막으로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와 중지로 잡는 3번케이스를 안쪽으로 오목하게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라 심축고정장치(8)가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A)심축고정장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축고정장치(8) 캡쪽에 암나사를 만들어 도2의 (A) 식모침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모침(1)에 장착된 침분리나사와 결합토록 한다. 따라서 식모침(1)을 교환할 경우 도1의 스킨가드(2)를 돌려 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심축고정장치(8)에 연결된 식모침(1)을 일반 나사를 푸는 방법으로 왼쪽으로 돌려 심축고정장치(8)로부터 분리만 하면 되어 식모기 전체를 분리하여야만 식모침(1)을 교환할 수 있는 종래의 식모기보다는 쉽고 빠르게 식모침(1)을 교환할 수 있다.
이때 심축고정장치(8)는 동시에 도2의 (A) 심축고정장치 확대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심축고정장치(8)에 바깥쪽에도 수나사를 만들어 도2의 (B) 본체 3번케이스(6) 안쪽에 나있는 암나사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심축의 수직운동시 따라 움직이지 않고, 본체에 고정됨으로서 소음방지와 안정적인 수직운동을 유지한다.
또한 도 도2의 (A) 심축고정장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축고정장치(8) 하단부위에 조그만 스프링지지관(9)을 별도로 제작함으로서 스프링이 좌우로 벗어나는 각도를 최소화한다.
식모시술시 사용자가 엄지와 중지로 잡는 부위인 3번케이스를 도2의 (B)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만들어 주어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체에 장착된 심축고정장치(8)와 식모침(1)에 장착된 침분리나사(3) 부착 식모기는 수술도중 식모침(1)이 마모될 경우 간단하게 삽입부만을 분해하여 손으로 식모침(1)을 나사를 돌리듯이 풀어 식모침(1)을 교체할수 있어, 수술비용과 자원낭비를 줄일수 있다. 또한 심축고정장치(8)가 나사로 본체에 고정됨으로 심축의 안정적인 수직운동이 유지되어 식모시술의 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고, 심축고정장치(8) 하단에 장착된 스프링지지관(9)은 스프링이 좌우로 흔들거리는 것을 최소화 하고, 3번케이스를 안쪽으로 오목하게 만들어 사용자가 시술시 손이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를 최소화 하였다.

Claims (1)

  1. 식모침(1)을 장착하여 모근을 이식하는 식모기에 있어서, 본체를 분해하지 않고 삽입부만을 분해하여 식모침(1)을 쉽게 교체할수 있도록 식모침(1)에 부착된 침분리나사(9), 식모침(1)과 결합할수 있도록 켑쪽으로 암나사가 있고, 바깥쪽으로는 본체 3번케이스에(6)에 부착된 스프링지지관(9), 3번케이스(6)를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안쪽으로 오목하게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근이식용 식모기
KR2020000024387U 2000-08-28 2000-08-28 식모침 교환 식모기 KR200216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87U KR200216103Y1 (ko) 2000-08-28 2000-08-28 식모침 교환 식모기
JP2001005613U JP3084282U (ja) 2000-08-28 2001-08-24 植毛針交換植毛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87U KR200216103Y1 (ko) 2000-08-28 2000-08-28 식모침 교환 식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103Y1 true KR200216103Y1 (ko) 2001-03-15

Family

ID=4323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387U KR200216103Y1 (ko) 2000-08-28 2000-08-28 식모침 교환 식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84282U (ko)
KR (1) KR2002161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395A (ko) * 2001-01-20 2002-07-26 (주) 마이크로앤슈퍼피니싱 식모기
KR20030064132A (ko) * 2002-01-26 2003-07-31 김정철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0397195B1 (ko) * 2001-04-03 2003-09-17 김창효 식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395A (ko) * 2001-01-20 2002-07-26 (주) 마이크로앤슈퍼피니싱 식모기
KR100397195B1 (ko) * 2001-04-03 2003-09-17 김창효 식모기
KR20030064132A (ko) * 2002-01-26 2003-07-31 김정철 모발이식용 식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4282U (ja) 200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5417S1 (en) Slip-fit handle for hand held surgical instruments
USD581536S1 (en) Prosthetic joint collar
CA2446096A1 (en) Biopsy device handle assembly
USD504178S1 (en) Combined soaking basin and disposable liner
USD482700S1 (en) Lawn mower blade
US5857981A (en) Biopsy instrument with tissue specimen retaining and retrieval device
KR200216103Y1 (ko) 식모침 교환 식모기
JP4406365B2 (ja) 手動搾乳器
USD507934S1 (en) Cup
USD473154S1 (en) Bracelet for watch
USD516426S1 (en) Fluted crown cap
USD439052S1 (en) Hand-held cleaning device
USD532111S1 (en) Hearing aid
USD485358S1 (en) Dilator
USD503800S1 (en) Surgical blade
USD507833S1 (en) Needle stick shield
EP1342449A3 (en) Blood collecting needle
USD473649S1 (en) Disposable scalpel
USD997354S1 (en) Two-piece surgical blade handle adapter
USD438013S1 (en) Hand-held cleaning device
ATE319392T1 (de) Fingerprothese
USD502259S1 (en) Obstetric suction cup extractor
USD445899S1 (en) Disposable medical instrument for performing retropubic urethropexy
USD460555S1 (en) Helix dental tip
USD472632S1 (en) Bone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