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100Y1 - 무릎관절 보호밴드 - Google Patents

무릎관절 보호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100Y1
KR200216100Y1 KR2020000024265U KR20000024265U KR200216100Y1 KR 200216100 Y1 KR200216100 Y1 KR 200216100Y1 KR 2020000024265 U KR2020000024265 U KR 2020000024265U KR 20000024265 U KR20000024265 U KR 20000024265U KR 200216100 Y1 KR200216100 Y1 KR 200216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joint
knee
band
bead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충현
Original Assignee
조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충현 filed Critical 조충현
Priority to KR2020000024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100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탄력이 우수한 섬유를 사용하여 이중구조로 직조한 밴드의 내부에 신소재 (바이오 세라믹볼·옥구슬·쇠구슬등) 를 넣을 수 있는 수납고가 특징으로, 밀삽된 신소재 물질로 인한 원적외선 방사효능으로 무릎관절의 혈액순환증진, 통증완화, 무릎관절 근육 인대 보호, 무릎관절 충격흡수, 강화운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무릎관절 보호밴드 {Knee Joint Support Band}
본 고안은 무릎관절 보호밴드 에 관한 것으로서, 고탄력을 유지 하면서 수납고가 특징으로 직조된 밴드로, 무릎을 단순하게 보호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최첨단의 신물질 신소재 를 수납할 수 있게 이중직조된 수납고가 특징으로, 고안된 무릎관절 보호밴드 이다.
또한, 고탄력으로 직조된 수납고 내부에 신소재 직경 1mm∼5mm볼 (바이오세라믹볼·옥구슬·쇠구슬등)이 밀삽되어, 밀삽된 세라믹볼등 물질로 인한 원적외선 방사효능으로 무릎관절의 혈액순환 증진, 통증완화, 무릎관절 근육인대 보호, 무릎관절 충격흡수, 무릎관절 강화운동을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슬관절은 골구조로 보아 매우 불안정한 관절이다. 장골중 가장 크고 긴 대퇴골과 경골, 그리고 슬개골이 이루는 이 관절에는 하지에 가해진 모든 외력이 전후·좌우·회전등 여러 가지 방향으로 전달되고 있으며 이 외력을 이겨내기 위해서 강력한 연부조직의 지지를 받고 있다.
슬관절 내측의 안정성은 내측 측부인대가 주로 담당하고 있으나, 이 밖에도 내지대, 반박양근, 봉공근, 박근, 반건양근 등이 보조하고 있다.
슬관절 외측의 안정성은 외측인대 그밖에 장경대, 대퇴 이두건, 슬와건등이 있다. 그리고 전십자인대, 후십자인대가 있다.
이렇게 큰 인대가 무릎을 잘 보호하고 있지만 일평생 직립자세에서 무거운 체중에 중력을 받으며 걷고, 뛰고, 격렬한 스포츠로 인하여 근육과 건의 탄력이 약화 되여 무릎에 부상이 자주 발생 한다. 또한 생명 연장으로 인한 노인인구 증가, 영양상태 호조로 인한 체중 증가로 인하여 무릎관절에 부상과 퇴행성 관절통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도 무릎을 보호 하기 위한 밴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그러한 밴드의 구성을 보면 단순한 직물로 제조한 것이다. 그리하여 장기간 착용하면 무릎관절 근육군에 운동을 제한시켜 오히려 근육을 위축시키는 문제를 발생하였다. 또한 신축성의 약화로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본래의 기능 무릎보호지지 기능도 잃어 버리는 변형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릎관절 보호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기간 착용하여도 일정한 탄력을 유지하고, 근육과 인대를 완벽하게 보호지지할 수 있는 이중 고탄력 섬유밴드 안에는 신소재 직경 1mm-5mm (바이오세라믹볼, 옥구슬, 쇠구슬등) 을 넣을 수 있게 직조된 수납고가 특징으로, 신소재 물질의 효능으로 인한 무릎관절의 혈액순환증진, 통증완화, 무릎관절 보호와 관절 충격흡수에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 무릎 보호대와 비교하여, 수납고가 있도록 직조된 이중 특수밴드안에 삽입된 물질로 인하여, 무릎관절을 보호 하는 근육인대 조직에 탁월한 등척성 수축운동을 일으켜서, 장시간 착용하여도 근육을 위축시키지 않고 완벽하게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무릎관절 주위 근육을 자극시켜 단련 시켜 주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탄력이 우수한 섬유를 사용하여 신소재를 넣을 수 있도록 제조한 밴드의 내부에 무게와 자유로운 굴곡을 갖도록 미립자 형태의 쇠구슬을 수납 할수 있는 다수의 수납부로 나누어져 있고, 무릎전면 부위만 수납고가 있는 이중직조 탄력 밴드로 직조 되었으며, 무릎 종골이 압박 되지 않도록 원을 내어 공간을 두었으며, 양측면에는 무릎 내측 외측 측부인대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가죽 보조대가 부착되었으며, 무릎 뒷면부는 구슬 수납고 가 없는 탄력 밴드가 대각선으로 부착된 원통형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보호밴드에 의해 달성 되었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부분 중앙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무릎관절 보호밴드
2a, 2b, 2c, …; 구슬수납부
3 ; 구슬
4 ; 간극부
5, 6 ; 탄력밴드
7 ; 가죽보조대
8 ; 원(공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하였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로서 소정의 넓이를 갖고 무릎 전면부는 다수의 구슬 수납고 2a, 2b, 2c …가 있는 이중 탄력밴드로 직조 되었으며, (8)는 무릎 종골이 압박 되지 않도록 원을 내어 공간을 두었으며, 양측면 (7)은 내측, 외측 측부인대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가죽 보조대가 부착 되었으며, 뒷면부(5)(6)는 구슬 수납부가 없는 단순 탄력밴드가 대각선으로 감싸는 원통형 무릎관절 보호밴드 이다.
상기 무릎관절 보호밴드(1)의 각 원통형 수납고 2a, 2b, 2c …까지를 일체로 직조하여 형성하며, 각 수납부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탄성 섬유로된 간극부(4)를 형성하고, 구슬 수납부 2a, 2b, 2c … 내부에 1mm∼5mm의 쇠구슬(3)을 다량 밀삽하여 소정의 무게를 갖도록 하였다.
도2 는 본 고안의 중앙을 절단하여 구조를 표현한 단면도로서 탄력있는 섬유를 이용하여 구슬 수납부 2a, 2b, 2c …를 일체로 직조하여 형성하며, 각 구슬 수납부 2a, 2b, 2c … 사이 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탄성 섬유로된 간극부(4)를 형성하고, 구슬 수납부 내부에 1mm∼5mm의 쇠구슬(3)을 다량 밀삽하여 밀봉한 것임을 나타 내고 있다.
도3 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로서 본고안의 무릎관절 보호밴드 구슬수납부 2a, 2b, 3c …내에 다수의 구슬(3)이 밀삽되어 있어 일정한 무게를 갖고 있으며, 최첨단 신소재 개발로 신물질 삽입으로 인한 효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고탄력 밴드이지만 미립자 구슬삽입으로 인하여 외부 충격시, 무릎주위 인대 관절을 완벽하게 보호 하는 힘이 뛰어 날 뿐만 아니라, 관절기능을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밀삽된 구슬(3) 로 인하여 무릎관절에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며, 관절근육을 단련 강화시켜 주는데 가장 효과적인 무릎관절 보호밴드 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설명 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중 특수 고탄력 섬유밴드안에 신물질 신소재 직경1mm∼5mm (바이오세라믹볼, 옥구슬, ,쇠구슬 등)을 넣을수 있는 수납고가 특징으로 신소재 물질로 인한 무릎관절의 혈액순환증진, 통증완화, 무릎관절 보호, 무릎관절주위 근육강화 운동 효과에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 무릎관절 보호밴드에 비교하여, 본 고안의 밴드는 구슬 수납고 안에 삽입된 물질(바이오세라믹볼, 옥구슬, ,쇠구슬 등)로 인하여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근육 인대 조직에 등척성 수축운동을 일으켜서 장시간 착용하여도 근육을 위축 시키지 않고,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충격흡수, 단련강화 시켜 주는 데 특징이 있다.

Claims (2)

  1. 고탄력 있는 섬유를 이용하여 직조된 무릎관절 보호밴드에 있어서, 미립자 형태의 구슬(3)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구슬 수납부 2a, 2b, 3c…로 나누어져 직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은 직경 1mm∼5mm크기의 바이오 세라믹볼, 자석볼, 쇠구슬 등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밀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 보호밴드.
KR2020000024265U 2000-08-26 2000-08-26 무릎관절 보호밴드 KR200216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265U KR200216100Y1 (ko) 2000-08-26 2000-08-26 무릎관절 보호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265U KR200216100Y1 (ko) 2000-08-26 2000-08-26 무릎관절 보호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100Y1 true KR200216100Y1 (ko) 2001-03-15

Family

ID=7308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265U KR200216100Y1 (ko) 2000-08-26 2000-08-26 무릎관절 보호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1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95B1 (ko) * 2011-09-22 2013-01-25 염영철 에어볼을 이용한 관절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95B1 (ko) * 2011-09-22 2013-01-25 염영철 에어볼을 이용한 관절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528B1 (ko) 인대손상 방지를 위한 인공 슬관절
CN1143631C (zh) 保护套管
KR100904087B1 (ko) 베어링 부재에 곡률부가 형성된 인공 슬관절
KR101997789B1 (ko) 통증 완화용 손목 밴드
US5491840A (en) Buffer structure for shin protection and ankle sleeve mat
KR200216100Y1 (ko) 무릎관절 보호밴드
SE9300656D0 (sv) Skyddsanordning foer ett knae eller armbaage
KR200484245Y1 (ko) 신체용 관절 보호대
US6374410B2 (en) Knee pad for figure skating
WO2005039466A3 (de) Bandagen-einlagen/passteil-verbund
KR200474247Y1 (ko) 관절 보호대
WO2006120498A3 (en) Knee immobilizer
KR102028675B1 (ko) 무릎 보호대
WO2021171228A1 (en) Means of protection from direct trauma in contact sports
KR20220054064A (ko) 무릎 보호대
KR200465342Y1 (ko) 무릎보호대
CN219920355U (zh) 一种运动护具
KR200279900Y1 (ko) 퇴행성 무릎관절염 환자용 슬관절 보호대
EP4129248A1 (en) Tibial stabilization and protection orthosis
KR200361974Y1 (ko) 무릎 통증치료를 위한 무릎 보호대
US20050165339A1 (en) Article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hin splits
JPH01268551A (ja) 膝装具
KR20210098241A (ko) 둔부 보정용 압박의류
KR20230001597U (ko) 무릎 지지대
KR101526535B1 (ko) 무릎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