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986Y1 - 유압식 텐던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텐던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986Y1
KR200215986Y1 KR2020000029553U KR20000029553U KR200215986Y1 KR 200215986 Y1 KR200215986 Y1 KR 200215986Y1 KR 2020000029553 U KR2020000029553 U KR 2020000029553U KR 20000029553 U KR20000029553 U KR 20000029553U KR 200215986 Y1 KR200215986 Y1 KR 200215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don
piston
cylinder
fixing device
lock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수
Original Assignee
임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수 filed Critical 임채수
Priority to KR2020000029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9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986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미 정착된 텐던의 재긴장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유압식 텐던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는 텐던이 관통 삽입되어 텐던의 단부가 정착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가 공급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실린더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내의 유압에 의하여 진출하여 몸체에 정착되어 있는 텐던을 재긴장하는 중공형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부에 장착되어 피스톤의 진출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에 의하면, 텐던이 정착된 후에도 실린더에 유압을 가하여 피스톤을 진출시킨 후 잠금너트를 이동시켜 피스톤을 지지하여 피스톤의 진출상태를 유지하므로써 텐던을 재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압식 텐던정착장치{HYDRAULIC TENDON ANCHORING APPARATUS}
본 고안은 텐던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이미 정착된 텐던의 재긴장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유압식 텐던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건설에는 텐던(tendon)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여 보강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prestressed concrete beam) 구조물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긴장된 텐던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텐던정착앵커조립체(200)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정착앵커(201)는 콘크리트 빔 구조물의 단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원형의 텐던정착판(203)이 정착앵커(201)의 고정판(202) 중앙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판(202)의 중앙에는 텐던(205)이 통과되는 중앙홀(2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홀(206)보다 큰 직경의 원형 텐던정착판(203)에는 다수개의 콘(cone) 형상의 웨지홀(wedge hole)(204)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구조물 내부에 배치된 텐던(205)은 고정판(202)의 중앙홀(206)을 통하여 텐던정착판(203)의 웨지홀(204)로 각각 삽입된다.
긴장된 텐던(205)의 단부를 텐던정착판(203)의 웨지홀(204) 밖으로 돌출시킨 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웨지(207)가 텐던(205)의 단부를 물게 하면, 텐던(205)의 긴장력에 의하여 당겨져 웨지(207)가 텐던(205)의 단부를 물고 있는 상태에서 웨지홀(204)로 삽입되고, 웨지(207)와 웨지홀(204)의 콘 형상에 의하여 텐던(205)의 단부가 더 이상 당겨지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정착된다(도 1b).
통상 이러한 텐던의 정착과정에서 슬립(slip)에 의하여 텐던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량에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구조물의 사용 중에는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텐던의 프리스트레스 량에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종래의 텐던정착장치에서는 텐던이 한번 정착된 후에는 텐던을 재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구조물의 설계시에 미리 텐던 정착시 발생하게 되는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예상하여 설계 프리스트레스 량을 계산하게 되며, 그 결과 실제 필요한 프리스트레스 량 이상으로 텐던을 긴장하게 되고 그에 따라 텐던 긴장시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종래의 텐던정착장치의 경우, 구조물의 사용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텐던의 재긴장이 불가능하므로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외부에 별도의 텐던을 장착하는 등 또다른 보강 구조를 추가로 설치해야만 하며, 이러한 보강구조의 추가 설치로 인한 비용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텐던의 정착시 발생하는 초기의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간편하게 보상할 수 있으며, 구조물 사용시에 발생하게 되는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별도의 보강 설비 없이도 용이하게 보상하여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는 유압식 텐던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텐던이 관통 삽입되어 텐던의 단부가 정착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가 공급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실린더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 내의 유압에 의하여 진출하여 몸체에 정착되어 있는 텐던을 재긴장하는 중공형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부에 장착되어 피스톤의 진출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정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부에 삽입되어 실린더의 하단과 잠금너트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잠금너트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의 진출상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피스톤과 잠금너트를 서로 체결하는 로크와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정착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한 텐던장착장치에 구비되는 로크와셔의 내측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와셔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걸림편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의 외부면에는 로크와셔가 피스톤의 하부를 통하여 끼워질 때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너트의 외부면에는 상기 걸림편에 대응되는 크기와 깊이의 오목부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잠금너트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의 진출상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걸림편이 절곡되어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므로써 상기 잠금너트와 피스톤이 로크와셔에 의하여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정착장치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텐던정착앵커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 1a는 텐던이 정착되기 전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텐던이 정착된 후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텐던정착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고안에 의한 텐던정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에 의한 텐던정착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한 텐던정착장치를 이용한 텐던정착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에 의한 텐던정착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관통공
3 : 웨지삽입부 4 : 실린더
5 : 유로 6 : 니플
7 : 실린더 내벽 8 : 실린더 외벽
10 : 피스톤 11 : 밀봉부재
12 : 나사부 13 : 잠금너트
14 : 끼움홈 15 : 오목부
20 : 로크와셔 21 : 끼움돌기
22 : 걸림편 30 : 텐던
100 : 텐던정착장치 200 : 텐던정착 앵커조립체
201 : 정착 앵커 202 : 고정판
207 : 웨지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텐던정착장치(100)의 일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텐던정착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텐던정착장치(1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텐던정착장치(100)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텐던정착장치(100)의 몸체(1)는, 원형의 강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는 텐던(30)이 관통 삽입되는 다수개의 관통공(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1)의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콘(cone) 형상의 웨지삽입부(3)와 일정 직경을 가지는 관통부(9)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체(1)의 외부면과 내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의 개수는 정착하고자 하는 텐던(30)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몸체(1)에는, 몸체(1)와 동심 방향으로 실린더(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4)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에는 상기 몸체(1)의 외부로부터 상기 실린더(4)에 이르는 유로(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5)의 입구에는 유압식 니플(6)이 연통되어 결합되며, 외부의 유체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니플(6)과 유로(5)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4)로 공급된다.
상기 몸체(1)에 형성된 실린더(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 방향으로 형성된 강재로 이루어진 중공형 피스톤(10)이 삽입된다. 실린더(4)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10)의 상부에는 고무 링과 같은 밀봉부재(11)가 장착되어 실린더(4) 내의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린더(4)에 삽입되지 아니한 상기 피스톤(10)의 하부에는 그 외부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부(12)에는 피스톤(1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잠금너트(13)가 결합된다. 실린더(4)에 가압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의 압력에 따라 상기 피스톤(10)은 실린더(4)를 따라 전후진 운동하게 된다. 상기 잠금너트(13)는 상기 나사부(12)에서 전후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10)의 위치를 고정시키므로써, 피스톤(10)이 진출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텐던정착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100)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구조물의 텐던(30)을 콘크리트 빔 구조물의 단부에 설치된 종래의 텐던정착앵커조립체의 고정판(202)에 정착하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위와 같은 텐던정착앵커조립체는 콘크리트 빔 구조물의 단부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100)는 상기 고정판(202)의 외부면에 설치되는데, 콘크리트 빔 구조물의 내부를 관통한 텐던(30)은 고정판(202)의 중앙홀(206)을 통하여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100)에 형성된 관통공(2)으로 삽입된 후, 텐던(30)의 단부는 텐던정착장치(100)의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다.
노출된 텐던(30)의 단부에는 종래의 텐던정착장치에 사용되던 한쌍의 웨지(wedge)(207)를 맞물린다. 텐던(30)을 긴장한 후 텐던 단부에 웨지(207)를 맞물린 상태에서 텐던(30)의 단부를 놓으면, 텐던(30) 당겨지면서 텐던(30)의 단부를 물고 있는 웨지(207)가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100)에 형성된 관통공(2)의 웨지삽입부(3)에 끼워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던(30)이 견고하게 정착하게 된다.
이러한 텐던의 정착과정에서는 통상 슬립이 발생하여 텐던(30)의 프리스트레스 도입량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텐던정착장치에서는 텐던의 재긴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단 텐던(30)의 단부를 웨지(207)와 함께 텐던정착장치에 정착한 이후에는 정착시 발생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량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다. 그러나,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면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작동을 통하여 간단하게 이러한 정착시 슬립에 의하여 발생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량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웨지(207)에 단부가 물려진 텐던(30)이 몸체(1)의 웨지삽입구(3)에 삽입되어 정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몸체(1)의 외부에 결합되는 유압식 니플(6)을 통하여 소정 압력으로 유압오일과 같은 가압 유체를 실린더(4)에 공급한다. 유로(5)를 따라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실린더(4) 내의 중공형 피스톤(10)이 진출하게 된다. 도 5b에는 유체의 가압에 의하여 피스톤(10)이 진출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피스톤(10)의 상부가 내벽(7)과 외벽(8)을 가진 실린더(4) 내에 끼워진 상태로 진출하게 되므로, 피스톤(10)이 진출할 때, 비틀림이 일어나거나 그 중심이 이동되는 것 없이 안정되게 피스톤(10)이 진출하게 된다.
유압에 의하여 피스톤(10)이 진출함에 따라 웨지(207)에 의하여 단부가 텐던정착장치(100)의 웨지삽입부(3)에 견고하게 정착된 텐던(30)은 다시 긴장되어 텐던(30)에 추가적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상기 피스톤(10)이 소정 스트로크로 진출하게 되어 슬립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보상할 정도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면, 피스톤(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던 잠금너트(13)를 회전시켜 소정 위치로 상승시킨다. 즉, 예를 들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너트(13)가 몸체(1)의 실린더 외벽(8) 하단과 접촉할 때까지 잠금너트(13)를 상승시킨다. 잠금너트(13)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잠금너트(13)에 의하여 몸체(1)가 지지되므로, 실린더(4)에 가해졌던 유압을 제거하더라도 피스톤(10)이 다시 후퇴하는 것이 방지되며 피스톤(10)의 진출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텐던(30)은 재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추가적으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손실량을 보충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텐던정착장치(100)에서는, 피스톤(10)의 단부가 실린더(4)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진출/후퇴하게 되므로, 피스톤(10)의 진출/후퇴에 대한 안정성이 크며, 피스톤(10)의 진출 길이를 50mm 이상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100)는 이와 같이 텐던 정착시의 초기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사용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량이 손실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를 보상할 수 있다.
요컨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크리프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초기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량이 손실된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별도의 보강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면 별도의 보강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텐던(30)의 정착이 완료된 상태(도 5c)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이 발생한 경우, 다시 몸체(1) 외부의 유압식 니플(6)을 통하여 유체를 도입하여 실린더(4) 내부에 다시 유압을 가하여 피스톤(10)을 진출시킨다. 피스톤(10)의 진출에 의하여 텐던(30)이 재긴장되어 추가적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므로써 구조물의 사용 중에 손실된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보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텐던(30)의 재긴장시 간단한 수동펌프를 이용하여 1인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재긴장에 따른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피스톤(10)이 진출하여 몸체(1)의 실린더 외벽(8)의 하단과 잠금너트(13)가 접촉하지 않게 되면 잠금너트(13)를 회전하여 다시 상승시켜 몸체(1)의 실린더 외벽(8) 하단과 잠금너트(13)가 접촉하도록 한 후 유압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100)에서는 텐던(30)의 정착이 모두 완료되어 구조물을 사용하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텐던(30)을 재긴장시켜 추가적인 프리스트레스를 텐던(30)에 도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보강을 위하여 추가적인 보강 장치 또는 설비가 전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에서는 유압을 가하게 되므로, 유압을 가하는 장치에 구비된 유압계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텐던(30)의 긴장력을 측정할 수도 있으며, 텐던의 재긴장시에도 유압에 의하여 추가되는 텐던의 프리스트레스 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프리스트레스 량의 추가 도입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텐던정착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a는 로크와셔(lock washer)를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텐던정착장치(100)의 또다른 실시예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텐던을 재긴장한 상태에서 로크와셔(20)와 잠금너트(13)를 체결하지 아니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c는 텐던을 재긴장한 상태에서 로크와셔(20)와 잠금너트(13)를 체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한 텐던정착장치(100)에는 피스톤(10)과 잠금너트(13)를 체결하는 로크와셔(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로크와셔(20)는 피스톤(10)의 외부에 삽입되어 실린더 외벽(8)의 하단과 잠금너트(13) 사이에 끼워진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와셔(2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10)의 외부면에 형성된 끼움홈(14)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와셔(20)의 외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걸림편(22)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와셔(20)가 피스톤(10)의 하부를 통하여 끼워질 때 로크와셔(20)의 끼움돌기(21)가 끼워지도록 피스톤(10)의 외부면에는 끼움홈(14)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와셔(20)가 피스톤(10)의 하부를 통하여 끼워지면 끼움돌기(21)가 끼움홈(14)에 끼워져 로크와셔(20)와 피스톤(10)이 서로 체결되므로써 로크와셔(20)의 회전이 제한되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피스톤(10)과 결합하는 잠금너트(13)의 외부면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와셔(20)의 걸림편(22)에 대응되는 크기와 깊이의 오목부(15)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로크와셔(20)를 구비한 본 실시예의 작동과정은 앞서 살펴본 로크와셔를 구비하지 아니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던(30)을 정착한 후에 실린더(4)의 유압에 의하여 피스톤(10)이 진출한 상태에서 잠금너트(13)를 상승시켜 피스톤(10)의 진출위치를 고정시킨다. 로크와셔(20)를 구비한 본 실시예의 경우, 피스톤(10)의 진출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로크와셔(20)의 걸림편(22)과 잠금너트(13) 외부의 오목부(15)의 위치가 일치하는 로크와셔(20)의 걸림편(22)을 하향으로 절곡하여 잠금너트(13)의 외부에 형성된 오목부(15)에 끼워 넣게 된다(도 6c). 걸림편(22)과 오목부(15)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잠금너트(13)의 회전을 다소 조정하면 걸림편(22)과 오목부(15)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가 적어도 하나 이상 생기게 된다. 오목부(15)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걸림편(22)은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을 위하여 하향으로 절곡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곡된 걸림편(22)이 오목부(15)에 끼워진 상태가 되면 로크와셔(20)에 의하여 잠금너트(13)의 위치가 피스톤(10)에 대하여 고정된다. 즉, 로크와셔(20)의 끼움돌기(21)가 피스톤(10)의 끼움홈(33)에 끼워진 상태에서 로크와셔(20)의 걸림편(22)이 잠금너트(13)의 오목부(41)에 끼워지므로 로크와셔(20)와 잠금너트(13)가 서로 체결되어 잠금너트(13)가 피스톤(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텐던정착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면, 텐던을 재긴장한 상태에서 피스톤(10)과 잠금너트(13)가 로크와셔(20)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므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진동이 발생하여도 그 진동에 의하여 잠금너트(13)가 회전하여 풀리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를 사용하면 텐던 정착시의 초기 프리스트레스 손실량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사용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량이 손실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보강 장치 없이 간편한 방법으로 텐던을 재긴장하므로써 손실된 프리스트레스 량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에서는 텐던이 정착된 이후에 유압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게 되므로, 가해지는 유압을 측정하므로써 추가적으로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 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텐던정착 직후에 텐던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량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로크와셔를 사용하는 본 고안의 텐던정착장치의 경우에는 로크와셔의 로크 작용에 의하여 잠금너트의 체결 위치가 피스톤에 대하여 고정되므로, 진동에 의하여 잠금너트가 풀리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3)

  1. 텐던(30)이 관통 삽입되어 텐던(30)의 단부가 정착되는 다수개의 관통공(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가 공급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실린더(4)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실린더(4)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4) 내의 유압에 의하여 진출하는 중공형 피스톤(10)과;
    상기 피스톤(10)의 외부에 장착되어 피스톤(10)의 진출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너트(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정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0)의 외부에 삽입되어 실린더(4)의 하단과 잠금너트(13)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잠금너트(13)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10)의 진출상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피스톤(10)과 잠금너트(13)를 서로 체결하는 로크와셔(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정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와셔(20)의 내측에는 끼움돌기(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다수개의 걸림편(22)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10)의 외부면에는 로크와셔(20)가 피스톤(10)의 하부를 통하여 끼워질 때 상기 끼움돌기(21)기 끼워지도록 끼움홈(14)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너트(13)의 외부면에는 상기 걸림편(22)에 대응되는 크기와 깊이의 오목부(15)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잠금너트(13)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10)의 진출상태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걸림편(22)이 절곡되어 상기 오목부(15)에 끼워지므로써 상기 잠금너트(13)와 피스톤(10)이 로크와셔(20)에 의하여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던정착장치.
KR2020000029553U 2000-10-24 2000-10-24 유압식 텐던정착장치 KR200215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553U KR200215986Y1 (ko) 2000-10-24 2000-10-24 유압식 텐던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553U KR200215986Y1 (ko) 2000-10-24 2000-10-24 유압식 텐던정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778A Division KR100380193B1 (ko) 2000-10-20 2000-10-20 유압식 텐던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986Y1 true KR200215986Y1 (ko) 2001-03-15

Family

ID=7305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553U KR200215986Y1 (ko) 2000-10-24 2000-10-24 유압식 텐던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9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614B1 (ko) * 2000-11-21 2003-12-18 유성권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 메쉬용 견인장치
KR100434685B1 (ko) * 2001-05-25 2004-06-07 이창남 유압쐐기압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614B1 (ko) * 2000-11-21 2003-12-18 유성권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 메쉬용 견인장치
KR100434685B1 (ko) * 2001-05-25 2004-06-07 이창남 유압쐐기압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9003A (en) Rock anchors
KR1006536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JP6083702B2 (ja) Pc鋼材の接続方法及び橋梁の拡幅方法
KR102079720B1 (ko) 앵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U2015306189A1 (en) Anchor device of a concrete wall form, form element, and method for mounting an anchor device
KR200215986Y1 (ko) 유압식 텐던정착장치
EP0577421B1 (en) Removable ground anchor
KR100380193B1 (ko) 유압식 텐던정착장치
KR102149489B1 (ko) 인장장치용 웨지 압착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01154B1 (ko) 기어식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그 방법
JP4311748B2 (ja) 緊張材定着具及び緊張材定着方法
KR20160017007A (ko) 다목적 재긴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867414B1 (ko) 인장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101082528B1 (ko) 지수패커 및 이를 채용한 강연선 홀딩장치
JP2001193064A (ja) グランドアンカーの定着方法
KR102115342B1 (ko) 케미컬 앵커 장착용 고정장치
KR102118120B1 (ko) 재긴장이 가능한 정착장치 및 정착방법
KR200222509Y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용 약액 주입기구의 벽면 접착부재
KR20160041673A (ko) 재인장이 용이한 영구 앵커 및 영구 앵커의 재인장 방법
KR101052233B1 (ko) 케이블 인장장치
KR100704642B1 (ko) 지반보강재 인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시험방법
KR100462925B1 (ko) 외부 강선을 이용한 교량의 보강 공법 및 그에 적용되는강재정착물
CN220100699U (zh) 一种内嵌预应力碳纤维筋体外张拉装置
FI91913B (fi) Kiinnityselin betoniraudasta muodostetun kalliopultin kiinnittämiseksi porareikään
KR20050010706A (ko) 교량빔의 외부긴장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