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744Y1 -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744Y1
KR200215744Y1 KR2019990000073U KR19990000073U KR200215744Y1 KR 200215744 Y1 KR200215744 Y1 KR 200215744Y1 KR 2019990000073 U KR2019990000073 U KR 2019990000073U KR 19990000073 U KR19990000073 U KR 19990000073U KR 200215744 Y1 KR200215744 Y1 KR 200215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dy
container
lid
vacuum
doub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536U (ko
Inventor
조상구
Original Assignee
조상구
주식회사세종이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구, 주식회사세종이솔리 filed Critical 조상구
Priority to KR201999000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744Y1/ko
Priority to JP11027862A priority patent/JP2000201833A/ja
Priority to CN99104511A priority patent/CN1259330A/zh
Publication of KR20000015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7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진공보온용기에 있어서, 이 진공보온용기의 기울어짐에 따라 멜로디가 자동적으로 울리도록 하고 상기 진공보온용기의 뚜껑을 거꾸로 놓을 경우 상기 멜로디가 울리도록하여 뚜껑의 개방상태나 진공보온용기의 기울어짐을 알릴수 있도록 한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외통의 이중용기(1)로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진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중용기(1)의 상부에는 컵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뚜껑(2)이 설치되도록 한 진공보온용기에 있어서, 멜로디수단의 본체(3)에 돌출턱(4)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내에는 멜로디회로가 형성된 기판(5)과 스피커(6)를 설치하며 상기 기판(5)의 저면 돌출턱(4) 중앙부에는 한쌍의 접지편(7)을 설치하되, 이들의 중앙부는 절곡시켜 스위치부(8)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에 볼스위치(9)를 설치한 멜로디수단을 상기 진공보온용기의 뚜껑 또는 저면부 및 손잡이에 설치하여 상기 진공보온용기를 기울이거나, 뚜껑을 열어 거꾸로 놓을 경우 멜로디가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MELODY GENERATOR OF VACUUM THERMOS}
본 고안은 휴대용 진공보온용기에 있어서, 이 진공보온용기의 기울어짐에 따라 멜로디가 자동적으로 울리도록 하고 상기 진공보온용기의 뚜껑을 거꾸로 놓을 경우 상기 멜로디가 울리도록하여 뚜껑의 개방상태나 진공보온용기의 기울어짐을 알릴수 있도록 한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차나 승용차 등을 이용하거나 외출을 할 경우, 음용수를 수시로 음용하기 위하여 용기 등에 물을 담아 휴대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의 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보존하면서 휴대하기 위하여 용기를 진공의 보온용기로 형성하고 이에 상기 음용수를 담아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를 음용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부에 뚜껑을 구비하고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보온용기는 단순히 음용수 등의 내용물을 적정한 온도로 보관하여 휴대하고 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뚜껑을 단순히 컵 대용으로만 사용하고 있었으며, 상기 보온용기를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상기 보온용기가 기울어져 있을 경우 보온용기의 밀폐상태 불량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폐단이 있었고 상기 내용물의 유출을 발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내용물의 소실은 물론, 상기 보온용기를 담은 가방 등을 오염시키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온용기의 내용물인 음용수를 인출하여 음용함에 있어서도 단순히 인출동작과 음용동작만을 하기 때문에 별다른 감흥이 없었으며 보온용기 이외의 기능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과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휴대용 진공보온용기에 있어서, 이 진공보온용기의 기울어짐에 따라 멜로디가 자동적으로 울리도록 하고 상기 진공보온용기의 뚜껑을 거꾸로 놓을 경우 상기 멜로디가 울리도록하여 뚜껑의 개방상태나 진공보온용기의 기울어짐을 알릴 수 있도록 한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멜로디수단이 설치된 진공보온용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멜로디수단 설치구조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멜로디수단을 용기뚜껑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멜로디수단을 용기의 저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멜로디수단을 손잡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중용기 2 : 뚜껑
3 : 멜로디수단의 본체 4 : 돌출턱
5 : 기판 6 : 스피커
7 : 접지편 8 : 스위치부
9 : 볼스위치 10 : 외부캡
11 : 내부캡 12 : 안착홈
13 : 바닥재 14 : 요부
15 : 손잡이 16 : 요홈부
본 고안의 멜로디수단이 설치되는 진공보온용기는 도 1에서와 같이 내,외통의 이중용기(1)로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진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중용기(1)의 상부에는 컵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뚜껑(2)이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멜로디수단은 이의 본체(3)에 돌출턱(4)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내에는 멜로디회로가 형성된 기판(5)과 스피커(6)를 설치하며 상기 기판(5)의 저면 돌출턱(4) 중앙부에는 한쌍의 접지편(7)을 설치하되, 이들의 중앙부는 절곡시켜 스위치부(8)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에 볼스위치(9)를 설치하여 멜로디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멜로디수단은 상기 이중용기(1)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2)에 내장설치하며 상기 멜로디수단의 본체(3)는 상기 뚜껑(2)의 외부캡(10) 안쪽에 고정설치하고, 뚜껑(2)의 내부캡(11) 상면에는 상기 멜로디수단의 볼스위치(9)가 안착되는 안착홈(12)을 형성하도록하여 상기 멜로디수단을 상기 뚜껑(2)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멜로디수단은 이중용기(1)의 저면에 설치하되 상기 멜로디수단의 본체(3)는 이중용기(1)의 내측 상부에 설치하고 이중용기(1)의 바닥재(13)에는 볼스위치(9)가 안착되는 요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이중용기(1)의 하부에 상기 멜로디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중용기(1)의 측면에는 이중용기(1)의 손잡이(15)를 설치하고 이 손잡이(15)내에 상기 멜로디수단의 본체(3)를 하향설치하고 상기 본체(3)의 하부에는 요홈부(16)를 형성하여 상기 볼스위치(9)가 설치되도록하여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멜로디수단은, 이의 본체(3)에 돌출턱(4)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내에는 여러 가지 음향이 기록된 멜로디회로가 형성된 기판(5)과 스피커(6)를 설치하며 상기 기판(5)의 저면 돌출턱(4) 중앙부에는 한쌍의 접지편(7)을 설치하되, 이들의 중앙부는 절곡시켜 스위치부(8)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에 볼스위치(9)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볼스위치(9)가 스위치부(8)에 접지하여 접지편(7)들을 접지시키게 되면, 상기 가판(5)의 멜로디회로가 구동되어 설정된 음향이나 멜로디가 발생하게 되며 이 멜로디수단을 상기 이중용기(1)의 저면부나 뚜껑(2) 또는 손잡이(15)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 상기 멜로디수단을 상기 이중용기(1)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2)에 내장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멜로디수단의 본체(3)는 상기 뚜껑(2)의 외부캡(10) 안쪽에 고정설치하고, 뚜껑(2)의 내부캡(11) 상면에는 상기 멜로디수단의 볼스위치(9)가 안착되는 안착홈(12)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멜로디수단이 설치된 상기 뚜껑(2)을 열어 거꾸로 놓았을 경우, 상기 볼스위치(9)가 안착홈(12)에서 상기 스위치부(8)로 이동하면서 상기 접지편(7)들의 스위치부(8)를 접지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멜로디가 발생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멜로디수단은 이중용기(1)의 저면에 설치하되, 상기 멜로디수단의 본체(3)는 이중용기(1)의 내측 상부에 설치하고 이중용기(1)의 바닥재(13)에는 볼스위치(9)가 안착되는 요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이중용기(1)의 하부에 상기 멜로디수단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이중용기(1)를 기울였을 때 상기 볼스위치(9)가 접지편(7)의 스위치부(8)를 접지시켜 멜로디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중용기(1)의 측면에는 이중용기(1)의 손잡이(15)를 설치하고 이 손잡이(15)내에 상기 멜로디수단의 본체(3)를 하향설치하고 상기 본체(3)의 하부에는 요홈부(16)를 형성하여 상기 볼스위치(9)가 설치되도록하여 구성게 되면, 상기 이중용기(1)를 기울여 손잡이(15)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멜로디가 발생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뚜껑(2)을 열어 거꾸로 놓거나, 상기 이중용기(1)를 기울였을 경우 이들에 설치된 볼스위치(9)와 멜로디수단에 의하여 멜로디가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은 상기와 같이 볼스위치(9)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부(8)가 접촉되어 멜로디수단을 구동시키도록 하고 이 멜로디수단을 필요에 따라 뚜껑(2) 및 이중용기(1)의 하부 또는 손잡이(15)에 설치하며 상기 뚜껑(2)을 열어 거꾸로 놓았을 경우나, 이중용기(1)를 기울였을 경우 상기 볼스위치(9)가 이동하여 멜로디수단을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멜로디가 발생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이중용기(1)의 휴대중 이 이중용기(1)가 기울어졌음을 멜로디로써 경보할 수 있게 되고 또, 뚜껑이 열려 있을 경우나 뚜껑(2)을 컵으로 이용할 경우에도 상기 멜로디가 발생되므로 뚜껑의 열린 상태를 알 수 있게 되며, 뚜껑을 컵등으로 사용할 경우, 멜로디를 들을 수 있어 사용할 때의 감흥을 느낄 수 있게 되고 이중용기로 구성된 진공보온용기의 사용을 흥미롭게 할 수 있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4)

  1. 내,외통의 이중용기(1)로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진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중용기(1)의 상부에는 컵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뚜껑(2)이 설치되도록 한 진공보온용기에 있어서, 멜로디수단의 본체(3)에 돌출턱(4)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내에는 멜로디회로가 형성된 기판(5)과 스피커(6)를 설치하며 상기 기판(5)의 저면 돌출턱(4) 중앙부에는 한쌍의 접지편(7)을 설치하되, 이들의 중앙부는 절곡시켜 스위치부(8)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에 볼스위치(9)를 설치한 멜로디수단을 상기 진공보온용기에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수단은 상기 이중용기(1)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2)에 내장설치하며 상기 멜로디수단의 본체(3)는 상기 뚜껑(2)의 외부캡(10) 안쪽에 고정설치하고, 뚜껑(2)의 내부캡(11) 상면에는 상기 멜로디수단의 볼스위치(9)가 안착되는 안착홈(12)을 형성하도록하여 상기 멜로디수단을 상기 뚜껑(2)에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수단은 이중용기(1)의 저면에 설치하되, 상기 멜로디수단의 본체(3)는 이중용기(1)의 하부내측 상부에 설치하고 이중용기(1)의 바닥재(13)에는 볼스위치(9)가 안착되는 요부(14)를 형성하여 상기 이중용기(1)의 하부에 상기 멜로디수단을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용기(1)의 측면에는 이중용기(1)의 손잡이(15)를 설치하고 이 손잡이(15)내에 상기 멜로디수단의 본체(3)를 하향설치하며 상기 본체(3)의 하부에는 요홈부(16)를 형성하여 상기 볼스위치(9)가 설치되도록하여 상기 멜로디수단이 상기 손잡이(15)에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KR2019990000073U 1999-01-07 1999-01-07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KR200215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073U KR200215744Y1 (ko) 1999-01-07 1999-01-07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JP11027862A JP2000201833A (ja) 1999-01-07 1999-02-04 真空保温容器のメロディ発生装置
CN99104511A CN1259330A (zh) 1999-01-07 1999-03-30 真空保温容器的乐曲发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073U KR200215744Y1 (ko) 1999-01-07 1999-01-07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536U KR20000015536U (ko) 2000-08-05
KR200215744Y1 true KR200215744Y1 (ko) 2001-03-15

Family

ID=1957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073U KR200215744Y1 (ko) 1999-01-07 1999-01-07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201833A (ko)
KR (1) KR200215744Y1 (ko)
CN (1) CN125933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9330A (zh) 2000-07-12
JP2000201833A (ja) 2000-07-25
KR20000015536U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5407A (en) Illuminable container
HK1063172A1 (en) Cardboard container for drinks and process therefor
DE60202555D1 (de) Behälter mit Deckel zum Verschliessen des Behälters unter Teilvakuum
CA2311825A1 (en) Heat insulating paper cups
PT1323643E (pt) Valvula de vacuo e indicador de vacuo combinados
WO2005067419A3 (en) Plastic container
CA2493814A1 (en) No-spill drinking products
HK10992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ustomised containers of cigarettes
US4489840A (en) Isothermal container with a cup-shaped top
EP1712490A3 (en) Insulated container, method of fabricating same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CA2205639A1 (en) Musical adapter for a beverage container
KR200215744Y1 (ko) 진공보온용기의 멜로디발생장치
EP1324919A1 (en) Apparatus for separately sealing a number of objects
WO2006076840A1 (fr) Tasse thermos
EP1209429A3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 amount of stored ice
KR20110009766A (ko) 음료용기의 뚜껑
USD510275S1 (en) Bottle
KR200278394Y1 (ko) 탄산음료pet병 받침대
CA2542264A1 (en) Plastic container and separately formed handle
KR200183752Y1 (ko) 경사면틀부착 캔봉합기
ES1047786Y (es) Cubitera perfeccionada.
EP1096211A3 (en) Device for obtaining containers made of ice, for liquids
JPH07251854A (ja) 把手付き飲料用容器
ES2190841A1 (es) Envase para bebidas refrescantes y similares con pajita flexible interior incorporada.
JPH06284952A (ja) 漏れ止めカ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