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673Y1 - 가정용 합병 정화조 - Google Patents

가정용 합병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673Y1
KR200214673Y1 KR2020000023957U KR20000023957U KR200214673Y1 KR 200214673 Y1 KR200214673 Y1 KR 200214673Y1 KR 2020000023957 U KR2020000023957 U KR 2020000023957U KR 20000023957 U KR20000023957 U KR 20000023957U KR 200214673 Y1 KR200214673 Y1 KR 200214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manure
chamber
collection chambe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영숙
Original Assignee
마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영숙 filed Critical 마영숙
Priority to KR2020000023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6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673Y1/ko

Links

Landscapes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 및 분뇨 등을 동시에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활하수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등에 의해 분뇨의 호기성발효를 촉진시켜 짧은 기간내에 효과적인 처리를 이루고, 오수는 침전물을 분리하고 자연 정화한 상태로 배출하므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2)내의 격벽(4)에 의해 분뇨를 유입하는 유입구(21)를 갖는 분뇨수집실(20)과,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 및 외부 빗물을 유입하는 유입구(11)를 갖는 하수수집실(10)과, 다수의 침전실(30)(40) 및 정화실(50)을 구획형성하여,
상기 하수수집실(10)의 하부에는 분뇨수집실(20)로 오수를 안내하는 유도공(15)을 형성하고, 상기 분뇨수집실(20)과 다단의 침전실(30)(40)에는 상부의 원류공(25)(35)을 통해 상호 연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정화실(50)에는 하부로 모래층(61), 숯층(62), 자갈층(63)이 일정두께로 적층 형성되어 오수를 자연 정화시키는 오수정화부(60)를 형성하여, 그 하부 일측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침전실(40)과 연통되는 유도공(45), 그 상부에는 배수구(55)를 형성한 정화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분뇨와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 등을 동시에 처리하되, 상기 생활하수 및 외부 빗물에 의해 분뇨를 호기성반응시켜 단시간내에 효과적으로 발효처리하게 됨은 물론 이의 오수는 다단계의 침전물 분리과정과 자연정화처리과정을 거쳐 정화수 상태로 배수하므로서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상기 분뇨의 호기성 반응을 외부에서 유입되는 생활하수나 빗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유도하고, 오수의 정화과정도 자연정화과정에 의해 처리하므로 제반적인 설비를 단순히 하므로서, 일반가정에서 저비용으로 손쉽게 적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합병 정화조{PURIFIER FOR WASTE WATER AND EXCREMENTITIOUS MATTER}
본 고안은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 및 분뇨 등을 동시에 처리하는 합병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생활하수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등에 의해 분뇨의 호기성발효를 촉진시켜 짧은 기간내에 효과적인 처리를 이루고, 다단계의 구획된 침절실과 정화부에 의해 오수를 자연 정화한 상태로 배출하므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가정용 합병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하수 및 분뇨등은 이를 처리하지 않고 방류하게 되면 수계에 많은 악 역향을 끼치게 되어 수질오염의 심각한 원인이 된다.
특히, 상기 생활하수에 포함된 세제, 주방세제 등은 수질오염의 심각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생활하수나 분뇨등은 하수 종말처리장에서 처리할 수도 있으나 이는 주거지역의 경우에 상기 하수 종말처리장의 설치가 곤란함은 물론 수집관로 등의 부대설비 상승, 과중한 시설경비등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각 가정에서 별도의 정화조를 설치하여 분뇨등을 수집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정화조는 단순히 분뇨를 수거하는 일정형태로 이루어져, 유입되는 분뇨는 침전시키고, 그 오수는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정화조는 밀폐된 상태의 정화조내에 침전된 분뇨침전물이 혐기성 발효를 진행하면서 그 처리기간이 길게 소요됨은 물론 효과적으로 처리가 곤란하고, 또한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오수도 충분히 정화되지 못한 상태로 배출되므로 인해 수질오염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상기한 정화조의 경우는 수질오염의 또 다른 원인인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등의 처리는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실용신안공보 1996-5053호에서는 생활하수 및 분뇨를 유입하여 고체와 액체상태를 분리하는 제1침전실과, 상기 제1침전실에서 유입되는 오수만을 유입하는 제2침전실을 구비하고, 상기 제2침전실로 유입된 오수는 호기성 반응을 위한 접촉산화실, 최종침전실, 활성탄여과조, 소독조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분뇨와 생활하수를 처리함은 물론 오수를 정화하는 상태로 배출하도록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화조 역시 상기 생활하수와 분뇨를 동시에 유입하면서 분뇨를 제1침전실에 침전시키고, 그 오수만을 다음 단계를 거치면서 정화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뇨침전물의 경우에는 호기성 반응이 곤란하여 그 처리시간이 길게 됨은 물론 효과적인 처리가 여전히 곤란한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오수를 정화하기 위해서서는 오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장치, 소독을 위한 소독설비 등의 부가적인 설비의 요구로 그 설비비가 고가로 됨은 물론 전체적인 구조가 비대해져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적용하기에는 곤란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등에 의해 분뇨의 호기성발효를 촉진시켜 그 처리를 효과적으로 행하고, 오수를 자연 정화처리로 배출하도록 하므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에 따른 저렴한 설비비로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적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분뇨와,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 외부의 빗물을 각각 별로로 수집하되, 상기 생활하수 및 외부의 빗물이 분뇨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되면서 충분한 산소의 공급으로 호기성 반응을 행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한 오수는 다단계의 침전실을 통과하면서 침전물을 분리하고, 모래층, 숯층, 자갈층으로된 정화부를 통과시켜 자연정화하는 상태로 배출하는 정화조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 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일부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4: 격벽
10: 하수수집조 20: 분뇨수집조
30,40: 침전실 50: 정화실
60: 정화부 61: 모래층
62: 숯층 63: 자갈층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정화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뇨 및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를 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본체(2)내의 격벽(4)에 의해 분뇨를 유입하는 유입구(21)를 갖는 분뇨수집실(20)과,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 및 외부 빗물을 유입하는 유입구(11)를 갖는 하수수집실(10)과, 다수의 침전실(30)(40) 및 정화실(50)을 구획형성하여,
상기 하수수집실(10)의 하부에는 분뇨수집실(20)로 오수를 안내하는 유도공(15)을 형성하고,
상기 분뇨수집실(20)과 다단의 침전실(30)(40)에는 상부의 원류공(25)(35)을 통해 상호 연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정화실(50)에는 하부로 모래층(61), 숯층(62), 자갈층(63)이 일정 두께로 적층 형성되어 오수를 자연 정화시키는 오수정화부(60)를 형성하고, 그 하부 일측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침전실(40)과 연통되는 유도공(45), 그 상부에는 배수구(5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수수집실(10)의 유도공(15)에는 인접 분뇨수집실(20)내의 분뇨가 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나, 그 외에 분뇨 역류방지구조를 적용하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12,22,32,42,52는 각 수집실(10)(20)과 침전실(30)(40), 정화실(50)의 개폐뚜겅, 13은 하수수집실(10)의 유입구(11)에 결합되어 생활하수 및 빗물등을 유도하는 안내관, 23은 분뇨수집실(20)의 유입구(21)에 결합되어 분뇨등을 유도하는 안내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분뇨수집실(20)로는 유입구(21)를 통해 분료가 유입되고, 하수수집실(10)로는 유입구(11)를 통해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 및 외부 빗물이 유입된다.
이때, 하수수집실(10)의 유입구(11)에는 주방등의 생활하수를 유입하는 연결간과 외부 빗물을 유입하는 연결관이 연결되어 동시에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수수집실(10)로 유입된 하수는 하부의 유도공(15)을 통해 분뇨수집실(20)의 하부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분뇨수집실(20)내의 분뇨는 상기 유도공(15)을 통해 역류되지 않게 되는데, 이는 필터나 그 외의 역류방지구조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분뇨수집실(20)의 하부로 유입된 오수는 분뇨를 통과하면서 비중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수내에는 생활하수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에 의해 분뇨에 호기성 반응을 골고루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분뇨수집실(20)내의 분뇨는 호기성 발효을 진행하면서 짧은 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생활하수에 포함된 세제나 주방세제는 물에 비해 가볍기 때문에 상부층에 위치하여 변과 같이 숙성된 후, 가라앉게 된다. 즉, 정화기능이 이분화되는 상태로 처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상기 분뇨수집실(20)내에서 분뇨는 침전된 상태로 처리되고, 오수는 비중에 의해 상승하여서 분뇨수집실(20)상부의 원류공(25)을 통해 인접 침전실(3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인접 침전실(30)내에 유입된 오수에는 약간의 침전물이 포함될 수 있고, 이는 다시 침전실(30)내에서 다시 침전되면서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침전실(30)에서 오수내의 침전물을 분리한 상태로 오수는 다시 상부의 원류공(35)을 통해 그에 인접하는 또 다른 침전실(40)에 오수만을 유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접 침전실(40)내로 유입된 오수는 그 하부의 유도공(45)을 통해 정화실(50) 하부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정화실(50)로 유입되는 오수의 양이 증가하면서 하부의 자갈층(63), 숯층(62), 모래층(61)을 차례로 통과하여 다시 한번 자연정화에 의해 처리된 상태로 상승되어 상기 정화실(60)상부의 배수구(55)를 통해 배수되게 된다.
결국, 상기 오수는 포함되어 있는 침전물을 분리한 상태로 유해성분 및 독성을 자연 정화처리한 정화수 상태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격벽(4)에 의해 구획 형성된 침전실(30')(30')(40')(40')의 수효를 증가시킨 구조로서,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오수내의 침전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그 분리 단계를 증가시킨 것으로, 그 외의 작용은 동일하게 되며, 이와 같은 침전실의 형성 수효를 달리하는 단순한 구조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분뇨와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등을 동시에 처리하되, 상기 생활하수 및 외부 빗물에 의해 분뇨를 호기성반응시켜 단시간내에 효과적으로 발효처리하게 됨은 이의 오수는 다단계의 침전물 분리과정과 자연정화처리과정을 거쳐 정화수 상태로 배수하므로서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뇨의 호기성 반응을 외부에서 유입되는 생활하수나 빗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유도하고, 오수의 정화과정도 자연 정화과정에 의해 처리하여 제반적인 설비를 단순히 하므로서, 일반가정에서 저비용으로 손쉽게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분뇨 및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를 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본체(2)내의 격벽(4)에 의해 분뇨를 유입하는 유입구(21)를 갖는 분뇨수집실(20)과, 세제를 포함한 생활하수 및 외부 빗물을 유입하는 유입구(11)를 갖는 하수수집실(10)과, 다수의 침전실(30)(40) 및 정화실(50)을 구획형성하여,
    상기 하수수집실(10)의 하부에는 분뇨수집실(20)로 오수를 안내하는 유도공(15)을 형성하고,
    상기 분뇨수집실(20)과 다단의 침전실(30)(40)에는 상부의 원류공(25)(35)을 통해 상호 연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정화실(50)에는 하부로 모래층(61), 숯층(62), 자갈층(63)이 일정 두께로 적층 형성되어 오수를 자연 정화시키는 오수정화부(60)를 형성하고, 그 하부 일측에는 마지막에 위치하는 침전실(40)과 연통되는 유도공(45), 그 상부에는 배수구(5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합병 정화조.
KR2020000023957U 2000-08-24 2000-08-24 가정용 합병 정화조 KR200214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57U KR200214673Y1 (ko) 2000-08-24 2000-08-24 가정용 합병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57U KR200214673Y1 (ko) 2000-08-24 2000-08-24 가정용 합병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673Y1 true KR200214673Y1 (ko) 2001-02-15

Family

ID=7308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957U KR200214673Y1 (ko) 2000-08-24 2000-08-24 가정용 합병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6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850A (ko)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우람코리아 미생물을 이용한 오폐수 정화장치
CN116813163A (zh) * 2023-07-24 2023-09-29 信和(天津)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粪污与污水一体处理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850A (ko)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우람코리아 미생물을 이용한 오폐수 정화장치
CN116813163A (zh) * 2023-07-24 2023-09-29 信和(天津)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粪污与污水一体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ulz et al. Treating surface waters for commun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CN206384984U (zh) 一种市政污水处理再利用装置
CN108609783A (zh) 一种生活污水再利用装置及使用方法
KR200214673Y1 (ko) 가정용 합병 정화조
CN206692522U (zh) 一种用于河道湖泊的污水处理系统
CN219239431U (zh) 一种中水回用装置
CN209113578U (zh) 一种新型多级厌氧折流无动力农村生活污水处理设备
CN106380047A (zh) 一种猪舍水净化系统
CN220202832U (zh) 一种水资源再生利用系统
CN207567033U (zh) 农村生活污水处理系统
CN207243681U (zh) 城市区域性智慧水循环系统
CN207671867U (zh) 一种养殖污水处理用回收池
CN105384315A (zh) 一种多户生活污水水解槽与净化槽组合处理装置
CN218810962U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16259340U (zh) 一种污水处理用净化装置
CN212269780U (zh) 一种固定化曝气生物滤池处理设备
KR200277196Y1 (ko) 정화조의 오수처리용 필터구조
CN213266136U (zh) 一种城市生态环境保护装置
CN220723876U (zh) 一种工业废水回收处理净化装置
KR200279811Y1 (ko) 오폐수 정화장치
CN216005564U (zh) 一种河流水体异位净化处理组合设备
KR200449638Y1 (ko) 가정용 잡배수 전용 정화조
CN216998077U (zh) 小区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11921077U (zh) 一种具有废水收纳功能且具有油污处理功能的污水净化装置
CN213738769U (zh) 生态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