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301Y1 -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4301Y1 KR200214301Y1 KR2020000024622U KR20000024622U KR200214301Y1 KR 200214301 Y1 KR200214301 Y1 KR 200214301Y1 KR 2020000024622 U KR2020000024622 U KR 2020000024622U KR 20000024622 U KR20000024622 U KR 20000024622U KR 200214301 Y1 KR200214301 Y1 KR 2002143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 casing
- discharge groove
- fluid
- preve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10) 및 하수구의 배수로(11) 저면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막힘현상과, 배수관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부로는 배출홈(21)이 형성되며 상부로는 싱크대(10)의 배출구(12)에 장착되는 케이싱(20)과;
상기 배출홈(21) 상부에 위치되며 케이싱(20)내에 유체가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유체의 수위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어, 배출홈(21)으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부구(30)가 형성되므로, 배수관(22)으로 부터 발생된 악취 및 해충의 발생이 배출홈(21)에 놓인 부구(30)로 인하여 외부로 확산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케이싱(20)에 모인 물의 배출시에는 많은 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기포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사용하지 않거나 비가 오지 않을 때는 상기 부구(30)에 의하여 이물질이 케이싱(20)의 외측부에서 포집되어 청소가 용이한 이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수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씽크대 및 하수도의 배수구에 악취발생 및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는 배수구 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하여 청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식사후 식기세척시에는 댜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수관을 통해 그대로 방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세척한 물은 배수구를 통하여 지하에 매설된 하수도관으로 유입된다.
또, 물을 사용하는 장소와 도로 및 야외에서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어, 물이 배수구를 통하여 하수도관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씽크대 및 하수도의 배수관을 통해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많은 제품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구에는 음식물등의 찌꺼기가 배수구관에 남아 있다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발효되면서 배수구를 통해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정의 씽크대 배수구의 경우 별도의 차단캡을 설치하여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제품도 있으나, 이 역시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배수구를 단속해야 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음식물 찌꺼기 및 생활오수로 인하여 하수도등에 서식하는 모기등의 해충들이 배수구 구멍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어 쾌적한 환경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도로등에 있는 배수구로는 담배꽁초등의 이물질등이 배수구구멍을 막아 우천시에 빗물이 배수가 되지 않아, 장마철과 같은 시기에 큰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기 및 각종 해충등이 배수구를 통하여 나오지 않도록 하며, 배수구로부터 악취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배수구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등에 의해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배수구 청소를 용이하도록 한 배수구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도는 본 고안인 배수구 자동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인 배수구 자동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이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싱크대 11 - 배수로
12 - 배출구 13 - 걸림망
20 - 케이싱 21 - 배출홈
22 - 배수관 24 - 바닥면
25 - 걸림턱 30 - 부구
31 - 가이드홈 40 - 가이드 봉
41 - 고정편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싱크대(10) 및 하수구의 배수로(11) 저면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막힘현상과, 배수관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부로는 배출홈(21)이 형성되며 상부로는 싱크대(10)의 배출구(12)에 장착되는 케이싱(20)과;
상기 배출홈(21) 상부에 위치되며 케이싱(20)내에 유체가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유체의 수위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어, 배출홈(21)으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부구(30)가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배수관(22)으로 부터 발생된 악취 및 해충의 발생이 배출홈(21)에 놓인 부구(30)로 인하여 외부로 확산되는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고안인 배수구 자동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제 2도는 본 고안인 배수구 자동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제 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가이드 봉이 형성된것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제 4도는 본 고안이 또 다른 실시예인 좁은 공간에서의 부구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즉 도 1 ~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수구 자동개폐장치는 싱크대(10) 및 하수구의 배수로(11) 저면에 설치되어진다.
상기 싱크대(10)는 통상적으로 음식과 접시등을 세제등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세척후에는 세척수 및 이물질등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싱크대(10)의 중앙부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며, 배출구(12)에는 걸림망(13)이 설치되어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등을 1차적으로 걸러주게 된다.
배출구(12) 외부로는 케이싱(20)이 형성되며, 케이싱(20)은 부분절곡 되어 바닥면(24)이 경사를 가지게 된다.
상기 바닥면(24)의 경사를 따라 물의 흐름이 원할하여 지며, 물이 저부부터 차오르게 되어 부구(30)를 쉽게 떠오르게 한다.
또, 상기 부구(30)는 물에 의해 떠오른 후에 물을 배출후 다시 배출홈(21)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이탈된 부구(30)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후 배출홈(21)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구(30)에 의해 적정수위 이후에 물을 배출하게 되어 기포에 의한 소음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케이싱(20)의 바닥면(24)에 걸림턱(25)을 형성시켜 걸림망(13)에 걸리지 않고 케이싱(20)내부로 들어온 이물질을 다시 분리하게 된다.
즉, 이물질이 걸림망(13)을 통과하여 케이싱(20)내부에 침전되어 있게 되며, 상기 이물질이 물의 배출시에 같이 배출되지 않도록 걸림턱(25)이 형성되어 이물질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25)의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망형상의 걸림부재(26)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다시한번 여과시켜 이물질이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부구(30) 내부는 가이드 홈(31)을 형성시키고, 걸림망(13) 저부로 고정편(4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41)에 가이드 봉(40)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봉(40)은 부구(30)내부의 가이드 홈(31)을 통과하여 고정편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부구(30)는 가이드 봉(40)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부구(30)가 이탈되지 않고 배출홈(21)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등에서는 배수로(11)는 높이가 낮으므로 반원형의 부구(30)를 사용하게 되며, 상부 걸림망(13)에 가이드 봉(40)을 고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배수로에 빗물등이 유입되면 가이드 봉(40)을 따라 반원형의 부구(3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씽그대 및 하수도의 배수구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배수구에서 서식하는 각종 해충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되어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케이싱에 모인 물의 배출시에는 부구의 상승과 함게 많은 물이 방류되므로, 대단위 아파트와 같은 장소에서는 배출시 소음발생을 줄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물을 사용하지 않거나 비가 오지 않을 때는 상기 부구에 의하여 이물질이 부구 외측 케이싱 부위로 포집되므로, 청소가 용이한 이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 싱크대(10) 및 하수구의 배수로(11) 저면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막힘현상과, 배수관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부로는 배출홈(21)이 형성되며 상부로는 싱크대(10)의 배출구(12)에 장착되는 케이싱(20)과;상기 배출홈(21) 상부에 위치되며 케이싱(20)내에 유체가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유체의 수위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어, 배출홈(21)으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부구(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내부로 이물질과 유체가 동시에 유입되면서 배출홈(2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구(30) 외측 바닥면(24)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걸림턱(2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30)는 도로에 형성된 배수로 중 상,하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 청구항 1, 2, 3항에 있어서, 부구(30)가 이탈되지 않도록 부구(30) 내부로는 가이드 홈(31)을 형성하며, 걸림망(13)저부로는 고정편(41)이 설치되어 가이드 봉(40)이 상기 부구의 가이드 홈(31)에 끼워져 고정편(41)에 고정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4622U KR200214301Y1 (ko) | 2000-08-30 | 2000-08-30 |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4622U KR200214301Y1 (ko) | 2000-08-30 | 2000-08-30 |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4301Y1 true KR200214301Y1 (ko) | 2001-02-15 |
Family
ID=7308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4622U KR200214301Y1 (ko) | 2000-08-30 | 2000-08-30 |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4301Y1 (ko) |
-
2000
- 2000-08-30 KR KR2020000024622U patent/KR20021430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36931A (ko) | 배수트랩 | |
KR100845544B1 (ko) |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 |
KR20080081572A (ko) |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 |
KR200214301Y1 (ko) |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 |
KR100538651B1 (ko) | 오수받이 장치 | |
KR20020082170A (ko) | 공기방취배수구 | |
KR200265933Y1 (ko) |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 |
KR100454999B1 (ko) |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 |
KR200273584Y1 (ko) | 냄새역류방지용 u자형 배수관 | |
KR200405829Y1 (ko) | 악취 방지용 맨홀뚜껑 | |
KR200348050Y1 (ko) |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 |
KR100548208B1 (ko) | 악취 역류방지 하수구 배수전 | |
KR200218233Y1 (ko) |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 |
KR200218248Y1 (ko) | 집수정 | |
KR100406853B1 (ko) |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 |
KR200300280Y1 (ko) |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 |
KR100662712B1 (ko) |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 |
KR200472406Y1 (ko) | 악취차단 배수트랩 | |
KR200174775Y1 (ko) | 배수 트랩 | |
KR200229066Y1 (ko) |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 |
KR200200818Y1 (ko) | 바닥 배수용 배수구 | |
KR200446045Y1 (ko) | 하수구 악취 역상방지 트랜치 커버 | |
KR20110070253A (ko) | 맨홀용 악취방지장치 | |
KR100737270B1 (ko) |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 |
KR200388727Y1 (ko) | 배수구 냄새 차단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20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