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217Y1 - 랜턴 - Google Patents
랜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4217Y1 KR200214217Y1 KR2019990024674U KR19990024674U KR200214217Y1 KR 200214217 Y1 KR200214217 Y1 KR 200214217Y1 KR 2019990024674 U KR2019990024674 U KR 2019990024674U KR 19990024674 U KR19990024674 U KR 19990024674U KR 200214217 Y1 KR200214217 Y1 KR 2002142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lb
- auxiliary
- lantern
- light
- mai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랜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의 선등록 제130399호(20-1994-0034698) '랜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위의 선등록 제130399호 랜턴은 반사판의 외측 확산 반사부에 통공을 설치하고 통공의 대응 위치에 보조 전구를 설치하여, 보조 전구를 취침시에 사용하는 등불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전력의 손실을 억제하여 밧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조명 촉광을 낮추는 것에 불과하므로 이를 자동차 운전자가 비상시의 신호등으로 이용하는 것은 적절치 아니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보조 전구의 전원 회로에 점멸회로를 부가하므로서 보조 전구가 점멸되게 하여 낮은 촉광의 보조 전구로도 충분한 경고의 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본 고안은 랜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의 선등록 제130399호(20-1994-0034698) '랜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랜턴은 반사판을 조명부에 고정시켜 점등시 후방이나 측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전방으로 집중되게 하므로서 전조효율을 증대시켜 왔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랜턴은 반사판에 의하여 빛이 전방으로만 집중되므로 사용자가 전방을 관찰하기는 용이하나, 빛을 사방으로 확산시킬 수 없어 넓은 면적을 밝히기가 곤란하였다. 특히 야외에서 야영을 할 경우,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텐트의 내부와 같은 넓은 실내를 고르게 밝혀주는 별도의 조명기구를 필요로 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반사경은 이를 고정 설치하되 전구의 위치를 전후로 가변시켜 빛의 반사각을 조절하므로서 조명범위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랜턴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는 반사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구의 위치를 변화시키므로서 전원공급을 위한 전선 또는 접점 등에 피로가 누적되어 접속상태가 불량하게 되거나 단락되어 랜턴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할 염려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랜턴은 일정 밝기를 가지는 광원이 한개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빛을 전방으로 직진시켜 전조등으로 사용하거나, 빛을 확산하여 실내등 또는 보안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나, 광원의 밝기가 항상 일정하므로 취침등으로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밝기가 밝을 뿐 아니라, 많은 전력이 소비되어 부적합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하여, 촉광(wattage)이 낮은 전구를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빛의 확산 및 직진을 사용자가 쉽게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할뿐 아니라, 취침시간에는 촉광이 낮은 전구만을 점등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전력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랜턴 몸체에 설치된 반사판의 중앙과 일측에 메인전구와 보조전구를 설치하여 조명부로 구성한 위의 선등록 제130399호 랜턴을 개발 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반사판의 외측 확산 반사부에 통공을 설치하고 통공의 대응 위치에 보조 전구를 설치하여, 보조 전구를 취침시에 사용하는 등불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전력의 손실을 억제하여 밧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위의 선등록 제130399호 랜턴은, 단순히 조명 촉광을 낮추는 것에 불과하므로, 충분한 밝기의 신호를 송출하지 못할 뿐 아니라 주의를 끌기에 적합치 아니하여 이를 자동차 운전자가 비상시의 신호등으로 이용하는 것은 적절치 아니하였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전구의 전원 회로에 점멸회로를 부가하므로서 전구가 점멸되게 하여 낮은 촉광의 보조 전구로도 충분한 경고의 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랜턴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 랜턴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조작부
12 : 노브 13 : 삽입홈
14 : 장공 15a,15b : 접점
16 : 상부판 17 : 소켓
40 : 반사판 41 : 직진반사부
42 : 확산반사부 43 : 스라이더
44 : 연결구 45 : 보조반사부
50 : 조명부 51 : 메인전구
52 : 보조전구
60 : 점멸수단
61 : 선택스위치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는 내부에 밧데리실을 형성시키고, 일측에 접점(15a,15b 및 18a,18b)이 설치된 조작부(11)를 형성시키되, 상기 조작부(11)의 접점(15a,15b 및 18a,18b)을 제어하는 누름판(15)을 설치한 스라이드 노브(12)를 조작부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에는 상단에 상부판(16)을 형성시키되, 상부판(16) 일측에 보조전구용 소켓(17)을 설치하고, 상부판(16) 중앙에 하향의 외관체(160)를 설치하고, 외관체(160)의 내부에 메인전구(51)가 설치되는 원기둥(19)을 설치하되, 외관체(160)와 원기둥(19)을 그 하단에서 결합하여, 외관체(160)와 원기둥(19) 사이에 삽입홈(13)을 형성시킨다. 상기 삽입홈(13)을 형성시키는 외관체(160)의 일측에 스라이드 장공(14)을 형성시키되, 그 위치는 조작부(11)의 스라이드 노브(12) 설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한다.
반사판(40)은 중앙에 포물경으로된 직진반사부(41)를 가지며, 직진반사부(4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확산반사부(42)를 가진다. 상기 확산판부(42)에 통공(46)을 설치하며 통공(46) 주연에 보조반사부(45)를 형성시킬 수 있다. 직진반사부(41)의 중앙에는 관체로된 스라이더(43)를 형성시키되, 스라이더(43)를 상기 몸체(10)의 삽입홈(13)에 삽입하고, 스라이더(43)의 외주면 일측에 연결구(44)를 형성시키며, 연결구(44)를 상기 몸체(10)의 스라이드 장공(14)을 통하여 몸체(10)의 조작부(11)에 설치된 노브(12)와 결합한다.
조명부(50)는 관체로된 상기 스라이더(43)의 중공부를 통하여 몸체(10)의 상부판(16) 위로 돌출된 원기둥(19)의 상단에 메인전구(51)을 결합하고, 상부판(16)의 일측에 형성된 소켓(17)에 보조전구(52)를 결합하여 구성시킨다. 조작부(11)에 설치된 접점(15a,15b)은 메인전구(51)와 연결하고 접점(18a,18b)는 보조전구(52)와 연결한다.
메인전구(51)와 보조전구(52)의 전원회로에, 공지의 점멸수단(60)으로 된 점멸회로와의 연결을 위한 선택스위치(61)를 설치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용할 때 조작부(11)에 설치된 스라이드 노브(12)를 전방으로 스라이딩 시키면, 조작부(11)와 스라이드 노브(12)의 접점(15a,15b)이 오프상태에서 메인단자와 접촉하여 온상태가 되고, 따라서 벳데리의 전원이 조명부(50)의 메인전구(51)에 공급되어 메인전구(51)가 점등된다. 이때, 발생된 빛은 반사판(40)과 메인전구(51)의 거리가 멀어 사방으로 확산하게 된다. 한편, 스라이드 노브(12)를 더욱 밀면, 반사판(40)도 스라이딩되어 조명부(50)의 광원인 메인전구(51)측으로 접근하게 되고, 상기 접점(15a,15b)은 계속적으로 접속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메인전구(51)의 후방이나 측방으로 발산된 빛이 반사판(40)의 중앙에 형성된 포물경형의 진진반사부(41)에 의하여 반사되므로 빛이 전방으로 집중되어 먼거리를 밝혀준다. 한편, 조작부(11)에 설치된 스라이드 노브(12)를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차단 상태에서 후방으로 약간 스라이딩시키면, 보조단자인 접점(18a,18b)이 접속되고, 따라서 전원이 조명부(50)의 보조전구(52)에 공급되어 촉광이 낮은 보조전구(52)가 점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촉광이 낮은 보조전구(52)를 이용하여 텐트 등의 취침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력의 손실을 억제하고, 폐 밧데리의 발생을 최소로 줄여 폐 밧데리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에서 나아가, 점등되는 메인전구(51)나 보조전구(52)의 전원회로에 점멸회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선택스위치(61)를 결합하므로서, 메인전구(51)나 보조전구(52)가 점멸되는 상태로 점등되게 한다.
보조전구(52)는 이를 발광다이오드(LED)로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반사판(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빛의 확산 또는 직진을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촉광이 낮은 보조전구(52)가 별도로 설치되어 취침등으로 사용하므로서 소비전력을 손실을 억제하고, 폐 밧데리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메인전구(51)나 보조전구(52)를 점멸되게 점등시키므로서 다른 운전자의 주의를 끌게하여 경고등으로서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몸체(1)에 설치된 반사판(40)의 앞쪽에 메인전구와 보조전구를 설치하고, 반사판(40)은 중앙에 포물경으로 된 직진반사부(41)를 가지며, 직진반사부(4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확산반사부를 가지며, 직진반사부(41)의 중앙에 관체로 된 스라이더(43)를 형성시키어 연결구(44)로서 조작부(11)의 노브(12)와 결합하고, 반사판(40)의 외측 확산반사부(42)에 통공(46)을 설치하고, 통공(46)의 대응위치에 상기 보조전구(52)를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메인전구(51)나 보조전구(52)의 전원회로에 점멸회로를 병렬로 설치하고, 선택스위치(61)를 설치하므로서, 메인전구(51)나 보조전구(52)가 점멸되는 상태로 점등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4674U KR200214217Y1 (ko) | 1999-11-11 | 1999-11-11 | 랜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4674U KR200214217Y1 (ko) | 1999-11-11 | 1999-11-11 | 랜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4217Y1 true KR200214217Y1 (ko) | 2001-02-15 |
Family
ID=7308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4674U KR200214217Y1 (ko) | 1999-11-11 | 1999-11-11 | 랜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4217Y1 (ko) |
-
1999
- 1999-11-11 KR KR2019990024674U patent/KR20021421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30567B2 (en) | Lighting apparatus | |
CA2544975A1 (en) | Flashlight having back light elements | |
CA2202081A1 (en) | Fluorescent lantern with auxiliary light | |
CN201063905Y (zh) | 带有辅助照明功能的灯具 | |
US11085622B1 (en) | Lighting apparatus | |
US11396995B2 (en) | Panel light apparatus | |
US11480307B2 (en) | Downlight apparatus | |
US11549665B2 (en) | Multifunction lighting apparatus | |
KR200214217Y1 (ko) | 랜턴 | |
KR100962372B1 (ko) | 조명용 헤드램프 | |
CN111678103A (zh) | 一种组合式灯具 | |
KR0130399Y1 (ko) | 랜턴 | |
CN202691833U (zh) | 具双发光模式的吸顶灯结构 | |
JP2006210042A (ja) | 照明装置 | |
US11242980B2 (en) | Lighting apparatus | |
JP3116268U (ja) | ランプユニット | |
US20070127273A1 (en) | Dc clip lamp | |
KR200389317Y1 (ko) |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등기구 | |
CN219014249U (zh) | 一种led筒灯 | |
KR200285063Y1 (ko) | 고휘도 엘이디를 이용한 엘이디후레쉬 | |
CN219530717U (zh) | 一种直插便携式多功能灯体结构 | |
CN214745041U (zh) | 一种led灯具 | |
US20060050522A1 (en) | Vehicle interior lighting assembly | |
CN222011831U (zh) | 一种多功能吸顶灯结构 | |
CN219063268U (zh) | 一种带辅光的三防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11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