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630Y1 - 얼굴 사진을 붙힐 수 있게한 종이 인형 - Google Patents

얼굴 사진을 붙힐 수 있게한 종이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630Y1
KR200213630Y1 KR2020000025149U KR20000025149U KR200213630Y1 KR 200213630 Y1 KR200213630 Y1 KR 200213630Y1 KR 2020000025149 U KR2020000025149 U KR 2020000025149U KR 20000025149 U KR20000025149 U KR 20000025149U KR 200213630 Y1 KR200213630 Y1 KR 200213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paper
face
change
d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형
Original Assignee
이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형 filed Critical 이규형
Priority to KR2020000025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6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630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품인 종이로 만든 인형에 관한 것으로 종이 인형의 빈 얼굴부위(1b)에 각자의 얼굴 사진(1c)을 오려 붙힐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인형으로서만 생각해오던 습성에서 벗어나 생활의 일부분으로서 항상 새롭고 신선감 있는 공간 문화의 변화를 주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 인형이 인형으로만 여겨지던 한정된 틀에서 탈피하여 본인의 사진이 붙혀진 인형의 모습에서 자신을 비추어보는 의미있는 시간 내지는 가족 모두의 사진 인형에서 구성원들간의 화목을 다지는 데도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종이 인형은 몸통부분(5)에서 머리부분(1) 팔부분(6) 다리부분(7)이 각각 분리 조립되게 하였는데 이것은 종이 의상을 탈 착용시킬 때 보다 간편하게 벗기고 입히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얼굴 부분을 빈 부분으로하여 이 곳 빈 얼굴 부위(1b)에 본인 얼굴 사진(1c)을 오려 붙힐 수 있게 하였고 또한 여러 다양한 종이 의상을 각자의 취향에 따라 갈아 입힐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종이 인형에 여러 벌의 다양한 종이 의상을 갈아 입힐 수 있어 늘 새로운 느낌을 맛 볼 수 있으며 자신의 얼굴 사진(1c)을 붙힐 수 있게 한 독특한 방식은 흥미를 유발 시킴은 물론 개성 있는 장식용품으로의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얼굴 사진을 붙힐 수 있게한 종이 인형{A Face photograph can be stick in the paper doll}
본 고안은 종이를 재료로 하여 장식용품으로 쓰이는 종이 공예의 일종인 종이 인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형의 종류는 다양 하면서도 나름대로의 특징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인형은 인형이다, 라고 하는 고정 관념을 버리지 않는 한 언제까지나 인형으로서만 보고 느낄 수 밖에 없다.
이것은 인형의 외형만을 강조 하거나 자칫 상업적으로만 흘러 본래의 취지를 흐리게 할수도 있다.
또한 인형을 인형으로만 바라볼때는 그 범주를 벗어나지 못해 항상 그굴레에서만 머무를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인형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대한다면 언제까지나 우리의 곁에서 친숙한 생활 공간의 한부분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인형 처럼 한번 만들어진 상태로만 볼 수 밖에 없는 단일 방식에서 외형이 바뀌는 다방식으로의 변화 있는 다양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존의 인형은 주로 처음 만들어진 모양과형태 대로만 볼 수 있게 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실증을 느껴 이로 인해 혹 버려지는 경우등이 있게 마련인데 이는 곧 변화와 다양성이 결여되어 신선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 등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항상 새롭고 신선함을 연출할 수 있는 그리고 보는 즐거움과 꾸미는 묘미 등을 느낄 수 있는 복합적인 그런 인형이라면 쉽게 실증을 내지 아니하고 오래도록 아끼고 늘 곁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인형을 가지고 다양하게 변신과 변화를 주는 그런 개성 있는 인형이 아닌 한가지 형태로서만 보고 즐기는 단순한 인형이 지금 까지의 문제점이었다.
본 고안은 단조로운 단일 형태의 인형에 여러벌의 다양한 의상을 갈아 입힐 수 있게하여 항상 새로운 느낌이 들게 하고 여기에 다시 소품과 장신구 등을 곁들여서 인형의 외형에 미감을 강조하며 인형에 각자의 본인 얼굴 사진을 본지대로 오려서 붙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오래도록 곁에서 즐겨 볼 수 있는 장식용품으로서의 가치와 품격을 높혀 공간 문화의 개성 있는 예술성을 크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은 얼굴 사진을 붙히지 않고 인형에 임의의 종이 의상만을 입힌 상태의 정면도
도 2 는 인형의 몸통, 얼굴, 팔, 다리부분을 분리 도시한 참고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얼굴 사진을 붙히고 의상을 바꿔 입힌 사용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사진과 의상을 제외한 조립된 종이 인형만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머리부분 1a : 모발부위
1b : 빈 얼굴 부위 1c : 얼굴사진
2 : 상의(上義) 2a : 셔츠
2b : 넥타이 3 : 하의(下義)
4 : 신발 5 : 몸통부분
5a : 얼굴 삽입구 5b : 목삽입부
6 : 팔부분 6a : 팔삽입구
6b : 팔삽입부 7 : 다리부분
7a : 다리삽입구 7b : 다리삽입부
8 : 스텐드 9 : 담뱃대
10 : 갓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인형에 여러 다른 의상 등을 갈아 입힐 수 있게 하였고 특히 인형의 머리부분(1)중 빈 얼굴 부위(1b)에 각자의 본인 얼굴 사진(1c)을 오려 붙힐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였는바 이하 첨부 도면 등에 의하여 고안의 구성 및 효과 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에서 얼굴 사진 (1c)만을 붙히지 아니하고 임의의 한가지 의상만을 종이 인형에 입혀 놓은 정면도로서 머리부분(1)중 빈 얼굴 부위(1b)가 빈 부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곳 빈 얼굴 부위(1b)에 각자 개개인 본인의 얼굴사진 (1c)을 본지대로 오려 붙히면 되고 이 빈 얼굴부위 (1b)에는 얼굴 사진(1c)을 붙힐 수 있게 접착제나 양면테프등으로 접착 부위면을 표면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도1,도3)에서는 남자 인형으로 도시 되었으나 인형에도 남자 인형, 여자인형 또한 어린이들에게 맞는 인형, 노인들에게 맞는 인형, 개인용, 가족용등 다양하게 여러 종류별로 할 수 있으므로 남,여,노,소 공히 자신에게 맞는 인형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먼저 붙혔던 얼굴 사진(1c)을 떼어내고 다른 얼굴사진(1c)을 붙혀 계속 활용할 수도 있고 종이 의상에 있어서 도 1에서는 양복을 입힌 경우이나 도 3에서는 한복으로 바꿔입힌 전체 사사도로서 거기에 갓을 머리에 씌웠고 손에는 소품으로 담뱃대를 들고 있게하여 장신구나 소품 등을 이용한 인형의 전체적인 미적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텐드(8)를 이용하여 안정감 있는 장식용품이 되게하고, 신발도 의상에 따라 바꿀 수 있고 특히 의상을 갈아 입히기 쉽게 하기 위하여 의상의 등 뒤 부분을 절개하되 절개된 부분이 서로 약간씩 겹쳐지도록하여 절개한 느낌이 들지 않게 하고 도 2 는 인형의 몸통부분(5)에서 머리부분(1) 팔부분(6) 다리부분(7)등을 분리한 참고 사시도로서 의상을 바꿔 입힐 때 보다 간편하게 입힐 수 있도록 분리 조립방식으로서 삽입이되는 삽입부와 삽입을 받는 삽입구로 구성된다.
도 4는 얼굴사진과 의상을 제외한 인형의 조립된 측면도로서 도1의 정면도와 비교해볼 때 얇은 편임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의상과도 관계가 있으며 종이 인형의 특성상 주로 정면에서 보는 것을 중점으로 한 것으로 의상의 외형을 잘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본고안의 종이 인형은 하나의 인형에 복합적이면서 다양한 형태로의 외형적 변화를 주는 독특함을 갖는다.
하나의 인형을 가지고 다양하게 외형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은 지루함을 없애주고 나아가 새로운 느낌과 시각적인 효과로 공간 문화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을 것이며 소품과 장신구 등의 활용으로 인형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
또한 자신의 얼굴 사진이 붙어 있는 인형에서 색다른 느낌과 독특함을 엿볼 수 있어 인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은 물론 흥미를 불러 일으켜 늘 가까이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니 오래도록 즐겨 볼 수 있어 단순한 인형에서 볼 수 있는 실증나기 쉬워 혹 버려지기 쉬운 일반 인형들과비교해 볼 때 절약하는 효과까지도 있다.

Claims (1)

  1. 인형의 형태가 몸통부분(5)으로 부터 머리부분(1) 팔부분(6) 다리부분(7)등이 각각 분리 조립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인형에 다양한 의상을 갈아 입힐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인형의 머리부분(1) 중 빈 얼굴부위(1b)에 각자의 얼굴 사진(1c)을 오려 붙힐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인형.
KR2020000025149U 2000-09-04 2000-09-04 얼굴 사진을 붙힐 수 있게한 종이 인형 KR200213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149U KR200213630Y1 (ko) 2000-09-04 2000-09-04 얼굴 사진을 붙힐 수 있게한 종이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149U KR200213630Y1 (ko) 2000-09-04 2000-09-04 얼굴 사진을 붙힐 수 있게한 종이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630Y1 true KR200213630Y1 (ko) 2001-02-15

Family

ID=7305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149U KR200213630Y1 (ko) 2000-09-04 2000-09-04 얼굴 사진을 붙힐 수 있게한 종이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6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4652A1 (en) * 2002-05-14 2003-11-20 Komex Co., Ltd. Pendant for decora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4652A1 (en) * 2002-05-14 2003-11-20 Komex Co., Ltd. Pendant for decora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allybrass et al. Fetishizing the glove in Renaissance Europe
US3023420A (en) Slipper sock
US5046986A (en) Doll and costume construction
US3668805A (en) Flat doll
Baxter-Wright Little Book of Schiaparelli: The Story of the Iconic Fashion Designer
Monden A dream dress for girls: Milk, fashion and Shōjo identity
US20100112892A1 (en) Doll and pillow case
US5015209A (en) Tooth fairy doll
KR200213630Y1 (ko) 얼굴 사진을 붙힐 수 있게한 종이 인형
Blum Eighteenth-century French Fashion Plates in Full Color: 64 Engravings from the" Galerie Des Modes," 1778-1787
Laing Visual evidence for the evolution of" politically correct" dress for women in early twentieth century Shanghai
JPH0657881B2 (ja) ミニ着物の作成方法
Hamid Kanga: it is more than what meets the eye—a medium of communication
USD300414S (en) Jewelry pendant or similar article
Cumming Ellen Terry: An Aesthetic Actress and her Costumes
Jones et al. Hats: an anthology
McCormack Castle Faggot
JPH067747Y2 (ja) 人形用ドレススカ−ト
Monden Dream Dress for Girls: Shōjo Fashion
Richter Four Notable Acquisitions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Barcham Costume in the Frescoes of Tiepolo and Eighteenth-Century Italian Opera
Pal Secular Paintings
KR200341093Y1 (ko) 신발용 장식물
Marjasch The time of fashion
JP3080430U (ja) 取り付け・取り外しのできる便利なファッションズボ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