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566Y1 -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 - Google Patents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566Y1
KR200213566Y1 KR2020000022273U KR20000022273U KR200213566Y1 KR 200213566 Y1 KR200213566 Y1 KR 200213566Y1 KR 2020000022273 U KR2020000022273 U KR 2020000022273U KR 20000022273 U KR20000022273 U KR 20000022273U KR 200213566 Y1 KR200213566 Y1 KR 200213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head
pivot plate
casing
pivot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웅림
Original Assignee
곽웅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웅림 filed Critical 곽웅림
Priority to KR2020000022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566Y1/ko

Links

Landscapes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3), 상기 케이싱(3) 앞쪽에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측정암(5) 및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식 측정 헤드(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 내부에 설치되며 연결 홀더(11)에 의하여 상기 측정암(5)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피벗 블록(13)은 복수개의 절결홈(47,48)이 전후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벗판(33)에 의해 유동 및 고정 레버(26,27)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1)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절결홈(47,48)에 의해 피벗판(33)에 다중의 피벗 중심축을 형성함으로써 피벗 회전 시 유동레버(26)가 그리는 궤적의 직선성을 높여 유동레버(26)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측정암(5)에 의해 측정되는 공작물(100)에 대한 가공치수의 측정 보증범위를 확장시키며, 가공치수의 측정 정밀도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Electronic guaging head for machining}
본 고안은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이나 연삭과 같은 공작물 회전 방식의 기계 가공을 통하여 원통과 같은 회전형 공작물을 가공함에 있어 공작물 가공에 필요한 여러 가지 치수 들 즉, 내경이나 외경 등을 기계 가공을 하면서 동시에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게이지 헤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밀한 기계 가공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이 만족되어야 하며, 그 중의 한 가지 요소가 공작물의 정확한 측정 기술이다. 이러한 측정 기술에있어서도 측정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은 3가지 종류의 측정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 하나로 실제의 치수를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측정장치로서 공작물의 길이나 내외경 또는 두께 등을 측정하는 마이크로미터나 버어니어 캘리퍼스, 측장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표준치수와 실제치수의 차를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 미니미터, 옵티미터 등의 측정장치를 들 수 있으며, 끝으로 제품의 치수가 허용한도 내에 있는 가 여부를 측정하는 방식인 한계 게이지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측정장치 들은 그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측정장치를 취급하는 작업자의 숙련도나 집중도에 따라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공작물 가공 공정과 별도로 측정 공정을 두어 가공이 종료된 공작물을 대상으로 별도의 측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전체 공정 수의 증가로 인해 제작 시간이나 비용 등이 증대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식 측정헤드(101)가 개발된 바 있다.
이 측정헤드(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부를 이루는 케이싱(103), 이 케이싱(103) 앞쪽에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측정암(105) 그리고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측정암(105)의 선단부분에는 측정 대상인 공작물(100)의 외주면에 맞닿음 되도록 상하로 돌출 길이가 조절되는 한 쌍의 조정 볼트(109)가 마주보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측정암(105)의 조정볼트(109) 반대쪽 끝부분은 케이싱(103) 측벽면에 관통 설치된 한 쌍의 연결홀더(111)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 홀더(111)는 케이싱(103) 상하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상하 한쌍의 피벗 블록(113)에 볼트로 체결되어 있으며, 피벗 블록(113)의 홀더(111) 대향측 부분에 마주보는 형태로 한쌍의 전자석 코일(115)이 부착되어 있고, 코일(115)의 아래 위쪽 피벗 블록(113)의 중간에 한 쌍의 영구자석(117)이 설치되어 있다. 각 코일(115)에는 한 쌍의 코드(121)가 연결되어 있으며, 피벗 블록(113)의 끝부분에 설치된 한 쌍의 압전 스위치(122)에도 코드(119)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코드(119,121)는 케이싱(103)에 관통 설치된 접속구(123)와 접속구(123)에 연결된 케이블(125)을 통해 디스플레이(107)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피벗 블록(113)은 다시 도 2 및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유동 레버(126) 및 고정 레버(127)의 한쌍의 레버(126,127), 이들 레버(126,127)를 일정 간격 유지시킨 상태로 마주보도록 결합하기 위해 유동 레버(126)의 관통공(139)에 삽입되면서 중심부에 구성된 공으로 인장 스프링(137)의 끝단부가 빠져나와 꺽여지게 연결하고 고정 레버(127)의 관통공(141)의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부가 절개된 간격 조절용 와셔(145)가 끼워지고 이 간격 조절용 와셔(145)에는 머리가 없고 일단부에 인장 스프링(137)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이 형성된 볼트(135)가 나사결합되어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하여 양 레버(126,127)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양 레버(126,127)의 선단부분에 볼트(129,131)로 결합되는 피벗판(133)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유동 레버(126)는 절결홈(138)에 의해 도 1의 고정판(140)에 관통 삽입되어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고정 레버(127)는 복수의 나사 관통공(144)에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142)에 의해 고정판(140)에 고정된다. 또한 볼트(135)는 유동 레버(126)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간격조절용 와셔(145)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반면, 고정 레버(127)에는 관통공(141)을 단순히 통과함으로써 상대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인장 스프링(137)은 하단이 볼트(135)의 상부에 형성된 공(孔)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고, 상단은 관통공(139)에 끼워진 스토핑 와셔(143)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또한, 레버(126,127)를 연결하고 있는 피벗판(133)은 중심선 부분에 횡방향으로 단면 U자 형태의 홈(147)이 형성되어 비틀림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으며, 볼트(131)로 레버(126,127) 반대쪽에 연결홀더(111)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측정헤드(101)에 의하면, 연삭휠(110)에 의한 연삭작업과 같은 회전 타입의 공작물(100) 가공에 있어서, 가공에 앞서 가공 치수의 기준이 되는 마스터 공작물을 이용하여 조정 볼트(109) 사이의 거리를 기준이 되는 적정 치수로 설정한 다음, 간격 조절용 와셔(143)를 회전시켜 레버(126,127) 사이의 간격을 0으로 맞춘다. 그리고 나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조정 볼트(109) 사이로 공작물(100)을 위치시키면 가공될 치수만큼 볼트(109)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각각의 연결홀더(111)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피벗판(133)의 상하 부분 중 상하 이동이 구속되어 있는 고정레버(127) 쪽에 부착된 하부는 움직이지 못 하므로,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유동레버(126) 쪽에 부착되어 있는 상부가 피벗판(133)의 홈(147)을 중심으로 원호 궤적을 그리며 시계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유동레버(126)의 끝 부분이 케이싱(103)의 중심으로 향해 좁혀지게 되면서 영구자석(117)이 코일(115) 측으로 접근하여 자속의 변화를 야기시키며, 이러한 자속 변화로 인해 디스플레이(107) 수치가 변화되며, 이 값이 가공치수가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측정헤드(101)의 경우 조정 볼트(109) 사이의 거리를 적정 치수로 설정하는 것만으로 모든 공작물(100)의 가공 치수를 가공과 동시에 반복적 측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공작물(100)의 가공 치수를 일일이 측정할 필요가 없게 되는 편리성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측정헤드(101)는 피벗 중심축이 되는 U자 홈(147)이 단축으로 되어 있으므로 가공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유동 레버(126)는 긴 궤적을 그리게 되어 궤적 자체가 선형 범위를 벗어남으로써 가공 치수 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키게 되며, 따라서 공작물 가공 치수에 대한 측정 보증범위가 매우 좁아지게 되므로 가용 범위가 감소되어 측정헤드의 효과적인 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이 안출되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은 피벗판의 형상을 변화시켜 기존에 측정 헤드에 대해 전혀 변경을 가하지 않고도 피벗판을 통해 회동하는 피벗 블록의 유동레버가 높은 직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설계변경이나 이에 따른 공정의 변화 없이 가공 치수에 대한 측정의 보증범위를 확장시켜 측정헤드를 보다 광범위한 공작물 가공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측정 정밀도 자체도 크게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측정헤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피벗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피벗블록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자식 측정헤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피벗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피벗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피벗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 피벗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과 종래기술의 변위에 따른 직선성을 비교실험한 결과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측정헤드 3 : 케이싱
5 : 측정암 7 : 디스플레이
9 : 조정볼트 10 : 연삭휠
11 : 연결홀더 13 : 피벗블록
15 : 전자석 코일 22 : 영구자석
23 : 접속구 26 : 유동레버
27 : 고정레버 33 : 피벗판
37 : 인장 스프링 47,48 : 절결홈
50 : 탄발부 100 : 공작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 이 케이싱 앞쪽에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측정암 및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식 측정 헤드에 있어서,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며 연결 홀더에 의하여 측정암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피벗 블록은 복수개의 절결홈이 전후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벗판에 의해 유동 및 고정 레버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측정헤드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측정헤드(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측정헤드와 마찬가지로 크게 케이싱(3), 측정암(5) 그리고 디스플레이(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측정암(5)은 케이싱(3) 앞쪽에 길게 연장된 상태로 마주보면서 돌출되어 있으며, 일단은 고정핀(51)에 의해 케이싱(3)의 연결 홀더(11)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측정암(5)의 결합방법에 따라 공작물(100)의 외경 또는 내경을 측정하도록 하기 위해 공작물(100)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맞닿음 되는 조정 볼트(9)가 대향하도록 나사식으로 관통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접속구(23)를 통해 케이싱(3)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7)는 각종 측정 치수등을 나타내는 표시창(53)과 제어버튼(55)을 구비하고 있다.
측정헤드(1)의 본체에 해당하는 케이싱(3)도 마찬가지로 종래의 케이싱과 유사하게 한 쌍의 피벗 블록(13)을 내장하고 있으며, 다른 부품 들도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각의 피벗 블록(13)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피벗 블록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고정 레버(27)와 유동 레버(26)를 연결시켜 비틀림 탄성을 갖는 피벗판(33)의 구성이 다르게 되어 있다. 즉, 평판 형태의 피벗판(3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에 단면 U자 형태의 절결홈(47,48)이 횡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절결홈(47,48)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에 레버(26,27)의 체결을 위한 복수의 볼트공(5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절결홈(47,48) 중의 하나는 유동 레버(26)와 고정 레버(27) 사이 공간의 중간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며, 이들 레버(26,27)를 바라보는 쪽으로 개방되어 있는데, 이를 주 절결홈(47)이라 하며, 나머지 절결홈(48)을 보조 절결홈이라고 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주 절결홈(47)의 위쪽에 반대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절결홈이 보조 절결홈(48)이 되며, 이 보조 절결홈(48)은 그 중심이 상기 중간선에서 일정 거리만큼 윗쪽으로 편심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절결홈(47,48)은 피벗판(33)의 두께보다 짧은 반경으로 대향측에 절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중심이 피벗판(33)의 몸체 중심선에서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이에 탄성편 역할을 하는 두께(d)의 탄발부(50)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피벗판(33)은 상하 부분이 서로 간에 탄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피벗판(3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한 피벗판(33)에 있어서 피벗판(33)과 레버(26,27)와 맞닿는 접촉면(49)에 있어서 피벗판(33)의 두께가 중심에서 멀어질 수로 좁아지는 경사(r)를 주어 레버(26,27)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상하 영구자석(22)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레버(26,27)의 움직임에 대한 자장변화가 민감하게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피벗 블록(13)이 2개 이상의 절결홈(47,48)을 갖는 피벗판(33)을 통해 연결된 유동 레버(26)와 고정 레버(27)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측정 헤드(1)를 이용하여 공작물(100)을 정밀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휠(10)과 같은 회전 타입 절삭구로 공작물(100)을 가공하면서 동시에 공작물(100)의 가공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가공에 앞서 측정에 가공하고자 하는 치수의 마스터 공작물을 측정헤드(1)의 측정암(5)의 조정 볼트(9)에 삽재하여 이때 유동레버(26)가 벌어지는 간극(間隙)에 의한 영구자석(22)의 자장에 의한 전압차를 영(zero)으로 설정하여 놓은 상태이다.
따라서 공작물(100)의 직경은 마스터 공작물의 직경보다 큰 상태이므로 전압차는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값을 나타내게 되고, 연삭 가공이 진행됨에 따라 공작물(100)의 직경이 짧아지면 하단 측정암(5)의 경우 위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레버(26,27) 사이에 장착된 인장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레버(27)에서 시계방향으로 벌어져 있던 유동레버(26)가 원위치로 귀환하기 시작한다. 이로 인해 영구자석(22) 사이의 자속변화가 생겨 전압차는 점점 영(zero)의 값에 가깝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공작물(100) 가공 치수를 수시로 검사하거나 연삭휠(10)을 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았음)를 제어하여 소정 목표치에 이르러 연삭작업을 마무리함으로써 마스터 공작물과 동일한 치수의 공작물(100)을 연삭하는 일련의 작업이 종료된다.
이때, 피벗판(33)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는 유동 레버(26)의 원호운동이 연결 홀더(11)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절결홈(47,48)이 이중으로 되어 있는 피벗판(33)을 거치게 되므로 절결홈이 하나인 종래의 경우보다 훨씬 더 정확한 직진성(linearity)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정 볼트(9)에 의한 공작물(100)의 외경 등 치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측정 헤드(1)에 의한 측정 치수의 신뢰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미도시 하였지만 공작물의 내경을 가공함에 있어서 그 내경의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암(5)의 방향을 반대로 돌려서 연결홀더(11)에 결합하게 되면 내경을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측정 헤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특성시험 및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높은 정밀도와 신뢰수준을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종래의 단일 홈 타입 피벗판을 적용한 종래의 측정 헤드(101)와 본 고안의 측정 헤드(1)를 대상으로 측정기로서 가장 기본적인 선택의 기준 중에 하나인 직선성 보장 구역을 나타내는 선형범위 결정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는 레버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해 에어갭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디지털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전처리용 측정앰프(마포스사, 모델E3마이크론)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확한 변위를 주기 위해 정밀도 0.2㎛ 급의 캘리브레이션 테스터(미츠토요사, 모델521-105)를 사용하였다.
캘리브레이션 테스터로 변위를 주고 측정 헤드의 변위에 따른 출력을 측정앰프로 측정한 값은 아래 표 1과 같다.
변위(㎜) 측정값(㎜)
종래의 측정헤드 본 고안의 측정헤드
-0.10 -0.1020 보증범위 -0.1010 보증범위
-0.05 -0.0510 -0.0505
0.00 0.0000 0.0000
0.05 0.0500 0.0495
0.10 0.1000 0.0995
0.15 0.1500 0.1495
0.20 0.2000 0.1995
0.25 0.2495 0.2500
0.30 0.2985 0.3000
0.35 0.3480 0.3500
0.40 0.3965 0.4005
0.45 0.4455 0.4510
0.50 0.4940 0.5010
0.55 0.5520
0.60 0.6025
0.65 0.6530
0.70 0.7035
위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측정헤드의 유동 레버(126,26) 변위에 따른 측정값은 거의 직선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변위가 0.5㎜를 초과하면 점차 직선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변위가 점차적으로 직선성을 잃어버리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126,26)의 원운동이 측정오차를 유발하기 때문인데, 이는 레버(126,26)의 구조상 피할 수 없는 기계적 오차이다.
0.5㎜의 변위내에서는 선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본 고안의 측정헤드(1)는 0.7㎜ 범위까지도 우수한 선형성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선형범위 안에서 측정헤드의 변위 대 출력의 직선관계로부터 최대편차를 정의하는 직선성(linearity)을 대상으로 종래의 측정헤드와 본 고안의 측정헤드를 비교하여 보았다. 단, 여기에서 표현되는 직선은 일련의 측정값으로부터 최소자승법(least squares method)에 의하여 대부분 결정된 것이며, 수집된 측정값들의 최접근직선은 1차 관측방정식으로 나타내었고, 최소자승법에 의해 기울기와 절편이 정해지면 최접근직선으로부터 직선성의 최대편차를 구할 수 있다.
그 결과는 도 9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으며, 이 그래프에 의하면 종래의 측정헤드는 0.3%의 직선성을 보이고 있고, 본 고안의 측정헤드는 0.15%의 직선성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본 고안에 따른 측정헤드가 보다 높은 직선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원통 연삭용 가공 도중에 측정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있어서 보다 양호한 정밀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종래의 측정헤드와 본 고안에 따른 측정헤드가 실제로 연삭기에 적용되어 어느 정도의 성능을 발휘하는 가에 대해 정밀도 1㎛의 실가공 테스트를 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장비는 측정앰프(마포스사, 모델 E9)이며, 시료를 각 10개 이상씩 가공하여 그 편차를 비교하였다. 실제 측정 헤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가공된 공작물의 편차인데, 완성된 가공품 치수의 사양에 대한 오차가 얼마만큼 작게 분포되는가 하는 것이 관건이며, 이 편차가 작아야 양산라인에 적용하였을 때 정밀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아래 표 2와 같이, 동일 가공조건에서 종래의 측정헤드를 사용하여 가공한 결과 최대치수와 최소치수의 편차는 0.002㎜이고, 본 고안의 측정헤드를 사용하여 가공한 결과의 편차는 0.0015㎜인 바, 이로부터 본 고안의 측정헤드가 갖는 직선성 및 반복성이 종래의 측정헤드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료번호 가공 후 시료의 직경(㎜)
종래의 측정헤드 본 고안의 측정헤드
1 35.94150 35.9470
2 35.94200 35.9470
3 35.94150 35.9470
4 35.94050 35.9465
5 35.94150 35.9465
6 35.94150 35.9465
7 35.94050 35.9465
8 35.94000 35.9465
9 35.94050 35.9460
10 35.94000 35.9455
최대최소차 0.0020 0.0015
끝으로, 측정 헤드의 수명 및 신뢰도와 깊은 상관 관계를 갖는 반복성을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를 하였는 바, 정밀도 0.2㎛급의 캘리브레이션 테스터(미츠토요사, 모델521-105)와 A2 앰프(마포스사, 모델 E9)을 사용하여 캘리브레이션 테스터에 의해 변위를 주고 앰프를 통해 출력되는 값과 비교하는 방법을 취하여 500회에 걸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 역시 우수한 반복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측정헤드에 따르면, 공작물의 직경 변화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측정암의 직선 운동을 레버의 원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벗판에 단순히 절결홈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공작물 치수 측정값에 대한 레버 변위의 직선성을 보다 높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공작물 측정값에 대한 보증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회전 방식의 기계 가공에 있어서 적은 비용으로 일층 고도화된 측정 성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3), 상기 케이싱(3) 앞쪽에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측정암(5) 및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식 측정 헤드(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 내부에 설치되며 연결 홀더(11)에 의하여 상기 측정암(5)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피벗 블록(13)은 복수개의 절결홈(47,48)이 전후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벗판(33)에 의해 유동 및 고정 레버(26,27)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측정헤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판(33)의 절결홈(47,48)은 상기 유동 레버(26)와 고정 레버(27) 사이의 중심선 상에 중심이 위치하며 상기 레버(26,27)를 향한 쪽으로 개방된 주 절결홈(47)과 상기 유동 레버(26) 쪽으로 편심된 상태로 상기 주 절결홈(47)과 반대쪽으로 개방된 보조 절결홈(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측정헤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결홈(47)과 상기 보조 절결홈(48)은 중심의 위치가 상기 피벗판(33)의 중심선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측정헤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결홈(47)과 상기 보조 절결홈(48)에 의해 형성되는 탄발부(50)는 피벗판(33)의 상부와 하부가 상호 탄력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d)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측정헤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판(33)과 양 레버(26,27)가 맞닿는 접촉면(49)이 경사(r)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측정헤드.
KR2020000022273U 2000-08-04 2000-08-04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 KR200213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73U KR200213566Y1 (ko) 2000-08-04 2000-08-04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73U KR200213566Y1 (ko) 2000-08-04 2000-08-04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566Y1 true KR200213566Y1 (ko) 2001-02-15

Family

ID=7305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273U KR200213566Y1 (ko) 2000-08-04 2000-08-04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5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5905A (en) Telescoping magnetic ball bar test gage
US6546642B1 (en) Hea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linear dimension checking of mechanical pieces
JPS59173710A (ja) ワ−ク寸法チエツク用測定ヘツド
CN103358221A (zh) 用于正被机加工的工件的探针的测量头
CN111397555A (zh) 一种触发式测头的参数误差测量方法及其系统
US6644641B2 (en) Interchangeable locating pin assembly for locating manufactured parts
JPH037042B2 (ko)
US4571839A (en) Bore gauges
KR200213566Y1 (ko) 기계 가공용 전자식 측정헤드
US3829979A (en) Valve clearance measuring apparatus
CN113155978A (zh) 电磁超声探头定位放置装置
JPH0316008Y2 (ko)
US4881324A (en) Apparatus for linear measurements
US6044573A (en) Measuring device
US6226883B1 (en) Gauging head and apparatus for the linear dimension checking of mechanical pieces and associated machining process
CN113310412B (zh) 一种全自动位移、应变传感器校准装置
US6944965B1 (en) Inline indicator holder
JP7316148B2 (ja) タッチプローブシステム
RU21901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шпоночного паза отверстия
US6360450B1 (en) Adjustable caliper
US2853789A (en) Internal cylinder gate
CN111156878A (zh) 一种圆弧槽深度合格性测量器具
US4848140A (en) Guide device for a test body of a hardness measuring instrument
KR102195499B1 (ko) 스크류 샤프트 측정장치
CN111707168B (zh) 一种适用于回转体零件的内孔尺寸测量装置及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116

Effective date: 200311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