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411Y1 - 목걸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목걸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411Y1
KR200213411Y1 KR2020000024492U KR20000024492U KR200213411Y1 KR 200213411 Y1 KR200213411 Y1 KR 200213411Y1 KR 2020000024492 U KR2020000024492 U KR 2020000024492U KR 20000024492 U KR20000024492 U KR 20000024492U KR 200213411 Y1 KR200213411 Y1 KR 200213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ole
main body
neckla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남
Original Assignee
김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남 filed Critical 김종남
Priority to KR2020000024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4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41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보조장치를 달아줌으로써 활동시 목걸이가 이탈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가 목걸이 고정장치를 결합시 구조가 간단하게 하여 착용이 편리하도록 하며, 그리고 제조공정을 단축시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면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통공(18)에 절곡되어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결합되는 탄성결합부(40)와, 상기 탄성결합부(40)의 타단에 결합되는 착탈결합체(20)로 구성되는 목걸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걸이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NECKLACE}
본 고안은 목걸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이중보조장치를 달아줌으로써 활동시 목걸이가 이탈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가 목걸이 고정장치를 결합시 구조가 간단하게 하여 착용이 편리하도록 하며, 그리고 제조공정을 단축시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면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목걸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고리제품은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구체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제조원가는 많이 투입되면서도 제품의 질은 저하되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걸림돌기를 이용한 기술을 적용하여 왔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주부에 장식부(11)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탄성결합부(40)가 결합되는 통공(18)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선단부 외주에는 상기 탄성결합부(40)에 형성된 걸림돌기(16)가 걸려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17)이 형성된다.
그리고 목걸이 일단에 연결되는 고리(8)는 본체(10) 후단부의 내부에 걸리어지는 걸림돌기(6)의 홀(7)과 결합되고, 상기 탄성결합부(40)의 홀(12)에는 목걸이 타단에 연결되는 고리(13)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의 입구에 탄성결합부(40)를 밀어넣으면, 상기 본체(10)의 걸림턱(17)에 상기 탄성결합부(40)의 걸림돌기(16)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걸림돌기(6)의 홀(7)에는 고리(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결합부(40)에 형성된 홀(12)에도 고리(1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목걸이 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장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걸림턱에서 걸림돌기를 결합 분리시 상기 걸림돌기가 마모되어 결합력을 잃어 고정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중보조장치를 달아줌으로써 활동시 목걸이가 이탈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가 목걸이 고정장치를 결합시 구조가 간단하게 하여 착용이 편리하도록 하며, 그리고 제조공정을 단축시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면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통공에 절곡되어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결합되는 탄성결합부와, 상기 탄성결합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착탈결합체로 구성된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 또는 분리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2:홀 14:이중결합돌기
16:걸림돌기 18:통공 20:착탈결합체
22:홀 24:착탈결합돌기 26:착탈결합홀
28:통공 30:이중결합부재 32:이중결합홀
34:힌지부 40:탄성결합부 42:걸림홀
44:고정홀 50:누름버튼 52:지지대
54:고정돌기
본 고안은 도 2 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를 크게 나누면, 본체(10)와 착탈결합체(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통공(18)이 형성되고, 후단벽에는 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2개의 홀(12)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 선단부에는 이중결합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면 내부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1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착탈결합체(20)의 내부에는 통공(28)이 형성되고, 후단벽에는 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2개의 홀(22)이 형성되며, 상기 착탈결합체(20)의 전면 선단부에는 회동 중심을 이루며 이중결합부재(30)와 결합시켜주는 힌지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결합부재(30)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선단부에 위치한 상기 이중결합돌기(14)에 결합되는 이중결합홀(32)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착탈결합체(20)의 상면 내부 중앙에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2개의 착탈결합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결합돌기(24)는 탄성결합부(40)의 타단에 형성된 2개의 착탈결합홀(26)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탄성결합부(40)는 상기 착탈결합체(20)의 통공(28)에 하단부의 중간 위치까지 결합하고, 하단부의 상부로 절곡되어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일단에 걸림홀(42)을 형성하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측면에는 고정홀(44)을 형성한다.
한편 누름버튼(50)의 하부에는 지지대(52)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52)의 측면에는 고정돌기(54)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4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목걸이를 착용하기 위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입구에 탄성결합부(40)의 선단부를 밀어넣으면, 상기 본체(10)의 상면 내부가 상기 탄성결합부(40)의 상단부를 하단부로 누르면서 탄성력이 제공됨에 따라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걸림돌기(16)는 상기 탄성결합부(40)의 상단부 걸림홀(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이중결합부재(30)를 힌지부(34)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기 이중결합부재(30)의 단부에 형성된 이중결합홀(32)에 상기 본체(10)의 이중결합돌기(14)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면 설치작업은 완료된다.
한편 사용자가 목걸이 고정장치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본체(10)의 이중결합돌기(14)에 결합되어 있는 이중결합부재(30)를 분리한 후, 힌지부(34)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제자리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누름버튼(50)을 누르면, 상기 누름버튼(50)의 하부에 결합되어진 상기 탄성결합부(40)의 상단부가 하단부로 눌리면서 탄성력이 최고조 상태를 이룰 때, 상기 본체(10)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홀(42)에 결합되어 있던 걸림돌기(16)가 분리되고, 사용자의 목에서 목걸이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중보조장치를 달아줌으로써 활동시 목걸이가 이탈되지 않게 방지하고, 또한 사용자가 목걸이 고정장치를 결합시 구조가 간단하여 착용이 편리하며, 제조공정을 단축시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면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어 능률이 향상된다.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통공에 절곡되어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결합되는 탄성결합부와,
    상기 탄성결합부의 타단에 결합되는 착탈결합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목걸이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내부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통공에 삽입되는 탄성결합부의 상단부 일단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목걸이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합체의 전면 선단부에 힌지부로 결합되는 이중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 선단부에는 상기 이중결합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중결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목걸이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부의 수직연장부 상부에는 탄성결합부를 눌러주어 탄성력을 제 공하는 누름버튼이 배치되며, 상기 탄성결합부의 수직연장부 측면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의 하부에 연장된 지지대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목걸이 고정장치.
KR2020000024492U 2000-08-29 2000-08-29 목걸이 고정장치 KR200213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92U KR200213411Y1 (ko) 2000-08-29 2000-08-29 목걸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92U KR200213411Y1 (ko) 2000-08-29 2000-08-29 목걸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411Y1 true KR200213411Y1 (ko) 2001-02-15

Family

ID=7307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492U KR200213411Y1 (ko) 2000-08-29 2000-08-29 목걸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4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44B1 (ko) 2004-09-22 2006-09-27 강판규 연결이 간편한 결속구가 구비된 목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44B1 (ko) 2004-09-22 2006-09-27 강판규 연결이 간편한 결속구가 구비된 목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078B1 (ko) 착탈성이 우수한 이동식 막사의 결합부재
USD443318S1 (en) Toy vehicle
USD461409S1 (en) Earring cuff pad
USD473810S1 (en) Watch bezel and crown
USD487165S1 (en) Dishwasher detergent capsule
KR200213411Y1 (ko) 목걸이 고정장치
USD499313S1 (en) Grater
USD448680S1 (en) Wrist watch
USD446146S1 (en) Rosary bracelet
USD500856S1 (en) Chromatography column assembly
USD506261S1 (en) Chromatography column locking ring
CN213758667U (zh) 一种用于洗牙器的喷嘴拆装结构
USD473813S1 (en) Lapel pin/eyeglass holder
USD438123S1 (en) Watch casing and bezel
USD445845S1 (en) Toy vehicle
USD439528S1 (en) Watch casing and bezel
USD438122S1 (en) Watch casing and bezel
USD467738S1 (en) Brush
USD441687S1 (en) Combined pin and clip
USD445844S1 (en) Toy vehicle
USD450139S1 (en) Wide frame
USD441663S1 (en) Watch casing and bezel
JP3053444U (ja) 鐘突きの角度調整可能なベル
USD445316S1 (en) Ball whisk
USD446757S1 (en) Guide pin for a disc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