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399Y1 -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399Y1
KR200213399Y1 KR2020000023461U KR20000023461U KR200213399Y1 KR 200213399 Y1 KR200213399 Y1 KR 200213399Y1 KR 2020000023461 U KR2020000023461 U KR 2020000023461U KR 20000023461 U KR20000023461 U KR 20000023461U KR 200213399 Y1 KR200213399 Y1 KR 2002133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battery cover
hands
vehicle
fre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원
Original Assignee
이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원 filed Critical 이영원
Priority to KR2020000023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3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399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휴대폰과 연결되는 핸즈프리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 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건전지 커버에 탈착구를 형성하여 클립 등의 고정구를 끼워 넣거나 분리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휴대폰 핸즈프리 스피커는 차량 내 소정 위치에 나사로 고정되어 사용됨으로서 핸즈프리 스피커를 제거할 경우에는 차량내부에 구멍이 노출되어짐으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스피커는 전원이 항상 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전원의 낭비요인이 있었던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휴대용 스피커 후면으로 형성된 건전지 커버 외면으로 고정구 부착용 탈착구를 돌설하고 일단으로는 상기 탈착구로 체결되는 체결판이 일체로 성형된 고정구를 끼워 넣은 뒤 건전지 커버를 스피커에 삽착 시킴으로서 차량 내의 고정이 가능토록 하고 소지 및 휴대 시에는 스피커에서 건전지 커버를 분리한 뒤 고정구를 분리하도록 함으로서 주머니에 넣어도 불룩하게 튀어나오지 않게 하여 소지 및 휴대가 간단하도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핸즈프리용 휴대폰 스피커

Description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Hands free speaker which has a detachable fixing structure}
본 고안은 휴대폰의 외부로 연결된 핸즈프리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핸즈프리용 유무선 스피커 배면 건전지 커버에 돌설된 탈착구에 클립 등의고정구를 끼워 넣고 뺄 수 있도록 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 송화장치는 휴대폰 자체 송화구에 구비되어 사용되었으나 차량의 손수 운전과 운전시 휴대폰 사용이 늘어나고 그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이 늘어나서 그 사용을 규제함으로 핸즈프리용 스피커폰이 보급되어지고 있으나, 현재 보급되어지는 핸즈프리용 스피커는 차량 내 소정 위치에 나사로 고정되거나 비교적 후판인 차량 내부에 설치된 차양판 일측에 클립 등의 고정구로 고정되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핸즈프리용 스피커는 이동이 불가능하고 돌설된 스피커 고정구에 의하여 휴대시 주머니가 불룩하게 튀어나오고, 또한 얇은 주머니에서는 쉽게 탈리되어 떨어짐으로서 충격에 의한 손상이 일어나고 분실 되는 등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는 등 사용자가 차량 외부로의 이동시 그 소지 및 휴대가 극히 곤란하였고 스피커를 통화 상태로 방치해 둠으로서 내장된 건전지의 소모와 방치가 장기화하면 차량 밧데리의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휴대용 유·무선 스피커 몸체 후면으로 형성된 건전지 커버 외면으로 고정구 부착용 탈착구를 돌설하고 일단으로는 상기 탈착구로 체결되는 체결판이 성형된 고정구를 끼워 넣은 뒤 건전지 커버를 삽착시킴으로서 차량 내로의 고정이 가능토록 하고 휴대 및 소지시에는 몸체에서 건전지 커버를 분리한 뒤 고정구를 분리하도록 함으로서 주머니에 넣어도 불룩하게 튀어나오지 않으며 전원공급장치내로 음성신호 감지장치를 부착하여 통화 종료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 스피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a, b는 본 고안의 핸즈프리 스피커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몸체 15 : 온-오프스위치
19 : 음성신호감지장치 20 : 건전지커버
30, 30` : 탈착구 32 : 요삽홈
40 : 고정구 42 : 체결판
50, 50` : 이탈 방지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는, 음성송신장치와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후면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덮는 건전지커버(20)와 상기 건전지커버(20) 외면에 상하로 돌기된 탈착구(30)(30`)와 상기 탈착구(30) 사이로 삽착되는 고정구(40) 및 상기 몸체(10) 후면 절개부 양측방에 돌기되어 삽착되어진 고정구(40)의 이탈을 막는 이탈방지벽(50)(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에는 전면 상단부에 형성된 음성송신부(11)와 측면에 형성된 볼륨조절스위치(12) 및 신호출력단자(13)로 구성된 음성송신장치와
내부로 삽입되어지는 규정된 전압치를 가지는 건전지(100)와 병렬로 설치된 전원공급단자(14) 및 인가된 전원을 단속하는 온-오프스위치(15)로 구성된 전원공급장치가 구성되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a, b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 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핸즈프리 스피커는 몸체(10)와 건전지커버(20)와 복수의 탈착구(30)(30`)와 클립(40) 및 복수의 이탈방지벽(50)(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외주 면에는 전술한 음성송신장치와 전원공급장치가 형성되며 특히 내부에는 규정된 건전지(100)를 내장하기 위한 공간인 건전지장착부(16)가 일면이 개방된 체 마련된다. 이 때 상기한 개방 면은 몸체(10)의 후면 일부로 형성되게 하면 기능적으로나 미관상으로 타 구성요소의 배치가 유리하고 몸체(10)의 후면과 접하는 건전지장착부(16) 상부 양측부과 전단으로는 끼워지거나 빠지는 건전기 커버(20)를 유도하는 복수의 요입홈(17)(17`)과 끼워진 건전지 커버(20)을 고정하는 고정홈(18)이 형성된다.
상기 건전지커버(20)는 선단과 후단을 가지는 판상으로 건전지장착부(16)의 개방면을 덮고 내장된 건전지(100)를 보호하며 양 측단에는 상기 요입홈(17)(17`)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구(27)(27`)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고정구(28)를 형성시켜 삽탈이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 탈착구(30)(30`)는 상기 건전지커버(20) 외면 중간부로 길이 방향에 수직하고 각각이 대향하여 돌설된다. 이 때 대향하는 탈착구(30)(30`) 내면에는 '??'자형의 요삽홈(3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40)는 일정한 넓이를 가지고 그 측면이 S자형으로 가공되고 일단에는 상기 탈착구(30)(30`) 요삽홈(32)에 끼워지는 판상의 체결판(42)이 일체로 성형되며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벽(50)은 상기 몸체(10) 후면에 형성된 천개된 건전지장착부(16) 양측단에 평행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일정한 길이와 높이로 돌기되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의 구성도와 같이 스피커에 전원을 인가하는 온-오프스위치(15)에 음성주파수를 감지하는 음성신호감지장치(19)를 부설함으로서 통화가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피커로 인가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내장된 건전지(100) 및 차량 밧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내에 규정된 건전지(100)를 장착한 뒤 고정구(40)를 건전지 커버(20)에 돌설된 탈착구(30)(30`)에 끼워 넣은 채로 천개된 건전지장착부(16)를 덮기 위해 끼워 넣으면 상기한 고정구(40)는 탈착구(30)(30`)와 이탈방지벽(50)(50`)에 둘러 쌓이게 되어 몸체(10)에서 이탈하지 않고 원하는 위치로 고정되어지고 차량에서 이탈하여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건전지커버(20)를 일정 거리만큼 빼내면 고정구(40)는 이탈방지벽(50)(50`)에서 해방되어 분리가 가능해짐으로서 목적한 휴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탈·부착이 자유로운 핸즈프리 고정구를 갖는 스피커에 따르면, 필요한 용도에 따라 고정구를 부착하거나 탈리할 수 있어 차량내 일정 위치로의 고정 또는 소지 및 휴대가 편리하다. 또한 사용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의 영향으로부터 멀리 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의 건강 유지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소모품인 건전지의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핸즈프리용 스피커에 있어서, 음성송신장치와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후면으로 형성된 절개 면을 덮는 건전지커버(20)와 상기 건전지커버(20) 외면에 상하로 대향하여 돌기된 복수의 탈착구(30)(30`)와 상기 탈착구(30) 사이로 삽착되는 클립(40) 및 상기 몸체(10) 후면 절개면 양측방에 일정거리 이격되고 일정한 높이와 길이로 돌기되는 복수의 이탈방지벽(50)(5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에 형성된 전원공급장치에 음성신호감지장치(19)가 부설되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KR2020000023461U 2000-08-18 2000-08-18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KR200213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461U KR200213399Y1 (ko) 2000-08-18 2000-08-18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461U KR200213399Y1 (ko) 2000-08-18 2000-08-18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399Y1 true KR200213399Y1 (ko) 2001-02-15

Family

ID=7308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461U KR200213399Y1 (ko) 2000-08-18 2000-08-18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3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018B1 (ko) * 2009-11-18 2012-01-31 이영옥 사용성이 향상된 핸즈프리 장치
KR20180028123A (ko) * 2016-09-08 2018-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018B1 (ko) * 2009-11-18 2012-01-31 이영옥 사용성이 향상된 핸즈프리 장치
KR20180028123A (ko) * 2016-09-08 2018-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장치
KR102552482B1 (ko) * 2016-09-08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85834S1 (en) Cell phone cover with accessory pocket
CA2471793A1 (en) A personal accessory with quick-access
AU200129055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enhanced battery life and cooling
AU6062201A (e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and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USD406258S (en) Battery pack for a mobile radiotelephone device
GB2360598B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with battery alarm function
EP1289044A4 (en) BATTERY OF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IES
ATE269629T1 (de) Kommunikationseinrichtung
KR200213399Y1 (ko) 탈.부착이 자유로운 고정구를 갖는 핸즈프리 스피커
USD405413S (en) Battery pack for a mobile radiotelephone device
AU2002211679A1 (en) Hearing device with integrated battery compartment and switch
CA2348588A1 (e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compact battery compartment
JP2002134934A (ja) 移動通信機用のストラップ固定構造
HK1049426A1 (en) Hearing aid.
KR200190767Y1 (ko)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JP2004214969A (ja) 携帯電子機器
USD433992S (en) Device for providing power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16253194U (zh) 一种充电式蓝牙耳机
CN217788638U (zh) 一种便于拆装的电池装置及终端
KR200295589Y1 (ko) 자동차 안전벨트용 휴대폰 핸즈프리
KR19990007915U (ko) 후레쉬를 부착한 휴대폰
KR200214705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비상용 수은전지 삽입장치
KR200318724Y1 (ko) 핸드폰 손목 띠
KR200214075Y1 (ko) 핸드폰 거치대
KR200342939Y1 (ko) 자석식 핸드프리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