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268Y1 -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268Y1
KR200213268Y1 KR2020000024937U KR20000024937U KR200213268Y1 KR 200213268 Y1 KR200213268 Y1 KR 200213268Y1 KR 2020000024937 U KR2020000024937 U KR 2020000024937U KR 20000024937 U KR20000024937 U KR 20000024937U KR 200213268 Y1 KR200213268 Y1 KR 200213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ler
control
unit
radio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환
Original Assignee
조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환 filed Critical 조승환
Priority to KR2020000024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268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어대상인 각종 동작완구 등을 무선으로 동작시키는 무선조정기(리모콘)를 PC에 결합시켜 PC를 기반으로 하여 키보드 및 마우스를 조작하여 PC에 내장되는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다양하게 제어대상인 각종 동작완구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는, 각종 동작완구와 같은 제어대상을 무선 조작하기 위해 동작명령을 디지털신호로 입력받아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기위한 인코더부를 갖는 무선조정기에 있어서, 키보드 및 마우스 조작에의해 이벤트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는 PC의 메모리부와, 상기 이벤트 출력신호를 PC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에 따른 디지털 제어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무선조정기의 인코더부에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The PC controlling device for remote controller}
본 고안은 제어대상인 각종 동작완구 등을 무선으로 동작시키는 무선조정기(리모콘)를 PC에 결합시켜 PC를 기반으로 하여 키보드 및 마우스를 조작하여 PC에 내장되는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더욱 다양하게 제어대상인 각종 동작완구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으로 동작되는 동작완구에는 수신기가 부착되어 있어서 송신기로서의 무선조정기의 무선신호를 수신받아서 동작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동작완구, 예를 들어 자동차 완구의 좌우측 타이어의 무선 동작제어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선조정기의 구조에 대한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부(10), 인코더부(13), 고주파발생부(14) 및 고주파증폭부(15)로 구성된다.
스위치부(10)에서 무선조정기의 좌,우스위치(11,12)를 온하면 인코더부(13)의 인코더(encoder)용 IC에 로우 레벨(전압이 낮은 상태인 0V(GND))이 입력되는데, 우측 타이어의 전진, 후진, 그리고 좌측 타이어의 전진, 후진의 4개의 동작 명령을 상기 IC의 4개의 핀에 입력한다.
인코더부(13)에서는 좌,우스위치(11,12)의 조합에 따른 4개의 명령과, 혼신방지를 위한 어드레스신호를 합쳐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고주파발생부(14)에서는 반송파를 생성하고, 그 위에 상기 인코더부(13)에서 생성한 제어 신호로 변조시켜, 변조파를 생성하는 작용을 동시에 행한다.
고주파증폭부(15)에서는 상기 고주파발생부(14)에서 생성한 변조파를 증폭하여 공중으로 전파로서 방출하게된다.
도 1에 도시된 좌,우 스위치(11,12)의 상태는 단선되어 있는 중립상태로서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는 상태이며, 도면에서 상기 좌,우 스위치(11,12)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조작하면 접속상태가 되는데, 4종류의 접속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4가지 동작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무선조정기의 무선신호를 받아 동작하기 위해 수신기를 갖는 자동차 완구의 일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재생검파부(20), 저역통과필터부(21), 저주파 증폭 및 파형정형부(22), 디코더부(23), 그리고 제1 및 제2 모터구동부(24, 25)로 구성된다.
초재생검파부(20)에서는 공중에 난비하는 많은 전파에서 목적으로하는 주파수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회로로서,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를 생성하는 일과, 수신한 전파의 증폭을 동시에 행한다.
저역통과필터부(21)에서는 초재생검파부(20)로부터 섞여 있는 고주파를 제거하여 저주파의 부분만을 다음 회로에 전달한다.
저주파증폭 및 파형정형부(22)는 검파된 신호를 저주파증폭부에서 파워 업하고, 저주파증폭부에서 파워 업된 신호를 파형정형부에서 방형파로 바꾸어, 디코더부(23)의 IC로 입력한다.
디코더부(23)에서는 상기 제어 신호(무선조정기의 인코더부(13)에서 합쳐진 신호)를 합치기 전의 4개의 상태로 디코딩하여,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및 제2 모터구동부에서 이 동작신호를 받아 그 신호에 따라 제1 및제2 모터(M1,M2)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무선조정기를 사용하여 동작완구 등을 무선 조작하는 경우에는 그 동작제어에 한계가 있고, 다양한 조작을 위해서는 조작스위치 버튼을 여러개 설치해야 하므로 무선조정기의 구성 및 조작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PC의 보급은 누구에게나 널리 대중화되어 있고,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 컴퓨터 또한 널리 보급되는 실정이기 때문에 PC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동작완구 등을 제어하는 장치는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퍼스널컴퓨터(PC)를 사용하여 키보드 및 마우스 조작에 의해 PC에 내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무선으로 제어대상인 각종 동작완구 등을 다양하게 조작시킬 수 있는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는, 각종 동작완구와 같은 제어대상을 무선 조작하기 위해 동작명령을 디지털신호로 입력받아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기위한 인코더부를 갖는 무선조정기에 있어서, 키보드 및 마우스 조작에의해 이벤트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는 PC의 메모리부와, 상기 이벤트 출력신호를 PC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에 따른 디지털 제어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무선조정기의 인코더부에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처리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조정기는 스위치의 수동조작에의해 디지털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부가 상기 스위치부에 병렬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조정기는 RF방식이거나 적외선 방식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조정기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종래 무선조정기용 수신기를 갖는 동작완구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제어프로그램의 일례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제어프로그램의 일례에 대한 동작을 간략히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PC 31: 메모리부
32: 키보드 33: 마우스
34: 인터페이스부 34a: 프린터포트
35: 신호처리부 37: 인코더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고안은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는 PC(30)의 메모리부(31)와,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이벤트(event) 출력 신호를 PC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4)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4)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제어대상에 따른 디지털 제어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35)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처리부(35)의 제어신호는 무선조정기(36)의 인코더부(37)에 입력되며, 무선조정기(36)의 인코더부(37) 이하의 나머지 내부 구성요소는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PC(30)의 메모리부(31)에 내장되는 제어프로그램은 제어대상, 예를 들면 모형자동차, 모형 탱크, 모형 로봇, 인형 등 각종 동작완구에 따라 사용자가 다르게 변경시킬 수 있고, 동작형태 또한 다양하게 사용자가 프로그램화 할 수 있으며, 그 프로그램언어는 사용자 편의에 따라, 예를 들면 BASIC언어, C언어 등 어떠한 컴퓨터 언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종래 무선조정기의 스위치부(10)가 필요없게 되므로 스위치조작이 불필요하고, PC의 키보드(32) 및 마우스(33) 조작에 의해 제어대상을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스위치부(10)를 포함하여 종래 무선조정기의 구성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본 고안의 신호처리부(35)를 스위치부(10)와 병렬로 접속시키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PC(30)의 키보드(32) 및 마우스(33) 조작을 이용하거나, 무선조정기의 좌,우스위치(11,12) 를 이용하여 수동 조작을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무선조정기는 RF방식의 무선신호 방식이었으나, 적외선 방식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인터페이스부(34)는 패러렐포트인 프린터포트(34a)를 이용했는데 8개의 핀을 공통으로 하여 GND핀으로 하고, 0번핀 내지 3번핀을 PC메모리부(31)의 사용자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출력 신호용으로 사용하며, 4번핀을 전원용으로 사용하여, 신호처리부(35)의 입력단에 접속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34)는 시리얼포트나 USB포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35)는 아날로그버퍼 및 전원온,오프TR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신호용핀을 아날로그버퍼의 입력단으로서 5번핀 내지 8번핀에 접속하고, 11번핀 내지 14번핀을 출력단 0번 내지 3번에 접속한다.
또한 GND핀은 9번핀에 접속하며, 전원용핀 4번은 1k?? 저항(R)을 거쳐 전원증폭TR의 베이스에 접속한다. 전원온,오프TR의 컬렉터는 +3V출력단에, 그리고 이미터는 POWER단에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아날로그버퍼는 ULN2803을 사용했고, 전원온,오프TR은 C3198을 사용하였다.
또한 무선조정기(36)의 인코더부(37)는 인코더용IC인 HT6014를 사용했다. 인코더용IC의 10번핀 내지 13번핀이 아날로그버퍼의 출력단 0번핀 내지 3번핀에 접속되고, 18번핀은 POWER단에 접속되며 +3V전극단자 및 GND전극단이 각각 대응하여 접속된다.
상기 전원온,오프TR은 무선조정기(36)의 인코더부(37)에 대한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ULN2803은 NOT논리의 아날로그버퍼로서 입력신호가 로우레벨(0V)일 때 출력신호는 하이임피던스로 되어 무선조정기 스위치 조작의 단선상태와 같은 작용을 하며, 입력신호가 하이레벨(5V)일 때 출력신호는 GND상태로 되어 무선조정의 스위치 조작의 접속상태와 같은 작용을 하게된다. 따라서 4개의 전진, 후진, 좌회전 및 우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동작에 대한 회로구성이며, 제어대상 및 제어동작 내용에 따라, 즉 본 실시예에서 무선조정기(36)의 인코더부(37)가 필요로 하는 디지털 입력단에 따라 신호처리부(35)의 아날로그버퍼 및 전원온,오프TR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제 본 고안의 PC에 내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쥬얼베이직 프로그램언어를 이용하여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FT'버튼(51), 'RIGHT'버튼(52), 'GO'버튼(53) 및 'BACK'버튼(54)을 마우스(33)로 클릭하여 동작완구 등의 동작을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키보드(32) 상의 방향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PC(30)에 내장되는 제어프로그램에 대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PC시스템을 온(ON)하면 전체시스템은 초기화하며(S60), 키보드(32) 또는 마우스(33) 클릭으로 인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를 판단하여(S61), 이벤트 발생시 'GO' 버튼(53) 클릭이면 전진코드를(S62), 'BACK' 버튼(54) 클릭이면 후진코드를(S63), 'LEFT' 버튼(51) 클릭이면 좌회전코드를(S64), 'RIGHT' 버튼(52) 클릭이면 우회전코드를 프린터포트(34a)로 출력하게 된다(S65).
이러한 프린터포트(34a)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신호처리부(35) 및 무선조정기(36)의 내부회로를 거쳐 공중으로 무선신호를 방출하면, 그 무선신호를 동작완구 등에 부착된 수신기가 수신받고 처리되어 동작완구 등이 PC제어에 따라 무선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제어대상인 각종 동작완구를 무선으로 동작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어프로그램을 다양하게 변경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싫증을 느끼지 않고 각종 동작완구를 흥미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각종 동작완구와 같은 제어대상을 무선 조작하기 위해 동작명령을 디지털신호로 입력받아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기위한 인코더부를 갖는 무선조정기에 있어서, 키보드 및 마우스 조작에의해 이벤트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는 PC의 메모리부;
    상기 이벤트 출력신호를 PC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에 따른 디지털 제어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무선조정기의 인코더부에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조정기는 스위치의 수동조작에의해 디지털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부가 상기 스위치부에 병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조정기가 RF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조정기가 적외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조정기용 PC제어장치.
KR2020000024937U 2000-09-01 2000-09-01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 KR200213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37U KR200213268Y1 (ko) 2000-09-01 2000-09-01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37U KR200213268Y1 (ko) 2000-09-01 2000-09-01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411A Division KR20020015220A (ko) 2000-08-21 2000-08-21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268Y1 true KR200213268Y1 (ko) 2001-02-15

Family

ID=7307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937U KR200213268Y1 (ko) 2000-09-01 2000-09-01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26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186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보스텍 로봇 제어, 설계 및 활용을 위한 학습시스템
WO2003051477A1 (en) * 2001-12-14 2003-06-26 Seongho Ko Dual-function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manipulating video game and method thereof
KR20030073419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보스텍 로봇 개발 지원 장치
KR100426035B1 (ko) * 2001-08-01 2004-04-03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마이크로로봇 제어프로그램 교육 시스템
KR102141984B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유비온 실습용 자율주행 자동차의 자율주행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186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보스텍 로봇 제어, 설계 및 활용을 위한 학습시스템
KR100426035B1 (ko) * 2001-08-01 2004-04-03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보트 마이크로로봇 제어프로그램 교육 시스템
WO2003051477A1 (en) * 2001-12-14 2003-06-26 Seongho Ko Dual-function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manipulating video game and method thereof
KR20030073419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보스텍 로봇 개발 지원 장치
KR102141984B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유비온 실습용 자율주행 자동차의 자율주행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436B1 (en) System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programmable toys
US6304250B1 (en) Wire/wireless keyboard with pointing device attachable thereto, computer system for use with the same, and related method
US4924216A (en) Joystick controller apparatus
JPH0413920B2 (ko)
US20030083026A1 (en) Wireless transmission circuit enabling modulation of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cation
US7134027B2 (en) Initiating computer system power-up from a USB keyboard
KR200213268Y1 (ko)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
US20080244759A1 (en) Computer system with electronic lock and keyboard to control the electronic lock
TW200835539A (en) Control apparatus of wireless remote-control model and operating parameter setup system thereof
US6338664B1 (en) Toy vehicle having center steering circuit and remote controller with toggle function
US5774114A (en) Input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remotely
KR20020015220A (ko) 무선조정기용 컴퓨터 제어장치
CN116531685A (zh) 治疗仪手柄及其控制方法、治疗仪和控制装置
JP3480704B2 (ja) リモート電源制御回路
KR20030046094A (ko) 움직임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CN109088631B (zh) 混合型信号发射驱动电路
KR20010043050A (ko) 원격 제어 유닛 및 시스템
CN214253414U (zh) 一种编程机器人转接遥控模块及系统
KR20040085628A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무선 마우스 및 그 절전방법
JPH05204497A (ja) 電源のオンオフを遠隔制御される周辺装置
KR100520199B1 (ko) 시리얼 단자를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기
CN201229500Y (zh) Xy精密工作台红外遥控装置
KR100205816B1 (ko) 키패드 입력수단을 갖는 리모콘 송/수신 시스템과 패드입력 처리방법
KR19980014113U (ko) 외부잭 꽂힘 유무 확인기능을 갖는 에이브이 시스템
JPH08163038A (ja) ワイヤレス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