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721Y1 - 분수장치용 플로팅 - Google Patents

분수장치용 플로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721Y1
KR200212721Y1 KR2019980017353U KR19980017353U KR200212721Y1 KR 200212721 Y1 KR200212721 Y1 KR 200212721Y1 KR 2019980017353 U KR2019980017353 U KR 2019980017353U KR 19980017353 U KR19980017353 U KR 19980017353U KR 200212721 Y1 KR200212721 Y1 KR 200212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water
air chamber
fountain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782U (ko
Inventor
한명덕
Original Assignee
한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덕 filed Critical 한명덕
Priority to KR2019980017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72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7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721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물위에 띄워서 사용되는 분수장치에 부력을 가지게 하는 플로팅에 관한 것으로서,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실을 갖는 플로팅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다수의 격벽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여 다수의 분등 공기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격벽의 상, 하부에는 상기 분등공기실로 투입된 물이 드나드는 유출입공을 가지는 플로팅을 제공함에 따라 수면이 출렁거려도 분수장치의 평형을 유지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분수장치용 플로팅
본 고안은 분수장치를 수면 위에 부력을 가지고 떠 있을 수 있게 하는 분수장치용 플로팅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플로팅의 공기실을 격벽으로 등분되게 구분시키고 그 등분된 공기실마다 물이 적정량 채워지도록 하여 무게 중심을 가지고 안정적인 상태로 수면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한 분수장치용 플로팅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로팅의 공기실에는 무게 중심을 갖게 하기 위해서 물이 채워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로팅은 공기실이 단일화되어 있기 때문에 수면이 바람 및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출렁거리는 상태가 되어 플로팅이 일측으로 기울게 되면, 공기실의 물이 기울어진 쪽으로 실시에 몰려가기 때문에 전체가 한족으로 기울거나 또는 뒤집어지는 상태로 전복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바람 또는 외부의 충격 등에도 플로팅의 무게 중심이 흐트러지지 않고 균형있게 수면 위에 떠 있을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실을 갖는 플로팅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다수의 격벽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여 다수의 분등 공기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격벽의 상, 하부에는 상기 분등공기실로 투입된 물이 드나드는 유출입공을 구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플로팅을 갖는 분수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플로팅을 가진 분수장치의 종단면,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실시된 분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로팅 11 : 공기실 11a : 분등공기실
12 : 램프홈부 14 : 입수공 15 : 격벽
16 : 유출입공
20 : 모터펌프 24 : 전원선 30 : 분수대
40 : 조명램프 41 : 램프프레임
w : 물 k : 수면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되는 분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분수장치는 전체가 수면(k) 위에 떠 있을 수 있게 하는 플로팅(10)과, 전원선(24)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는 모터펌프(20)와, 상기 모터펌프(20)로부터 토출되는 압력수를 공급받아 물을 분사시키는 분수대(30)를 비롯하여 상기 플로팅(10)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명램프(40)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펌프(20)는 플로팅(10)의 중앙공(13)에 고정되고, 조명램프(40)는 플로팅(10)의 외주면에 등간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램프홈부(12)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램프프레임(41)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즉, 플로팅(10)의 중심부에는 모터펌프(20)와 분수대(40)가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플로팅(10) 외주면에는 등간격적으로 조명램프(40)가 고정되게 설치되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는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플로팅(10)은 부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내부가 공간 상태인 공기실(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공기실(11)은 등간격적으로 격벽(15)에 의해 막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분등공기실(11a)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격벽(15)의 상, 하부에는 물(w)이 드나들 수 있는 유출입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등공기실(11a)에는 입수공(14)을 통해 물(w)이 투입된다. 투입된 물(w)은 어느 하나의 분등공기실(11a)로 들어간 후 격벽(15)에 형성된 하측의 유출입공(16)을 통해 전체의 분등공기실(11a)에 골고루 채워진다. 그리고 채워지는 높이는 일정하다.
이와 같이 분등공기실(11a)에 물(w)을 채우는 것은 수면(k)으로부터 적정한 상태로 수위가 유지되면서 분사장치가 가라앉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입수공(14)을 통해 물(w)을 넣는 것은 수면(k)에 분사장치를 띄울 때 현장에서 실시된다.
그러므로 적정한 상태로 수위가 유지되게 분사장치가 수면(k)에서 가라앉게 되면 안정적인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분사기능을 함에 따라 분수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수면(k)이 잔잔할 때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바람 또는 외부 충격등의 일시적인 원인에 의해서 수면(k)이 출렁이게 되면 플로팅(10)은 흔들리게 된다. 이때 플로팅(10)의 공기실(11)은 격벽(15)에 의해 소면적 단위의 분등공기실(11a)을 이루고 있으므로 그 분등공기실(11a) 내에서만 일시적으로 어느 일측으로 쏠리게 되며 상부 유출입공(16)에는 공기가 이동되고 하부의 유출입공(16)은 물이 격벽을 넘어 이동되는데 상, 하부의 유출입공(16)의 구멍이 적어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소량의 물만 이동되므로 바로 균형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격벽(15)에 의해 어느 한 지점으로 (플로팅이 기우는 방향) 물(w)이 전체적으로 몰려가지 않게 되고 다시 복원되며 상, 하부 유출입공(16)에 의해 소량의 물이 이동되면서 수평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플로팅(10)은 수면(k)이 출렁거려도 어느 일측으로 완전히 기울지 않게 되는 상태로 평형 상태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일층으로 완전히 기울어져 버리거나 또는 전복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수면이 출렁거려도 안정적으로 평형을 유지하는 플로팅을 제공함으로써 제품 신뢰성을 갖는 분수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실을 갖는 플로팅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다수의 격벽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여 다수의 분등 공기실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격벽의 상, 하부에는 상기 분등공기실로 투입된 물과 공기가 드나드는 유출입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장치용 플로팅.
KR2019980017353U 1998-09-11 1998-09-11 분수장치용 플로팅 KR200212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353U KR200212721Y1 (ko) 1998-09-11 1998-09-11 분수장치용 플로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353U KR200212721Y1 (ko) 1998-09-11 1998-09-11 분수장치용 플로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782U KR19980068782U (ko) 1998-12-05
KR200212721Y1 true KR200212721Y1 (ko) 2001-04-02

Family

ID=6951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353U KR200212721Y1 (ko) 1998-09-11 1998-09-11 분수장치용 플로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7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345B1 (ko) 2010-07-26 2011-03-22 김효상 회전식 수상분수 광고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345B1 (ko) 2010-07-26 2011-03-22 김효상 회전식 수상분수 광고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782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092A (e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KR101306631B1 (ko) 가습기
MY124747A (en) Liquid container having liquid consumption detecting device
KR200212721Y1 (ko) 분수장치용 플로팅
US3159130A (en) Floating storage tank
CU22914A3 (es) Bloque compacto de filtración para piscina
ES2178403T3 (es) Dispositivo de salida al aire libre para deposito de carburante de vehiculo automovil.
KR200233151Y1 (ko) 자연증발식액자형가습기
US4906217A (en) Toy ornament incorporating simulated rain fall
KR200304604Y1 (ko) 휴대형 기포 발생기
KR920014402A (ko) 활어 수족관
TW202306593A (zh) 造霧機結構改良
JPS5341655A (en) Lubricating oil sink for engine
JPH0257496A (ja) 浮船台
JPH0824889A (ja) 噴水曝気型水質浄化装置
JPS5819878B2 (ja) 自吸式遠心ポンプ
KR102365203B1 (ko) 유체 특성을 이용한 즉 반응 크로스 플루딩 덕트
KR200327148Y1 (ko) 인조물고기용 수족관
SE9502263D0 (sv) Anchor
KR880009681A (ko) 실내공기 정화기
KR840001376Y1 (ko) 어항용 수중펌프
JPH0835235A (ja) 路面設置部材
SU939334A1 (ru) Резервуар дл жидкости
KR900011150Y1 (ko) 수상 보행기
ATE111553T1 (de) Schimmbad mit stabilisierungsrip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