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689Y1 - 에어건 - Google Patents

에어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689Y1
KR200212689Y1 KR2020000023520U KR20000023520U KR200212689Y1 KR 200212689 Y1 KR200212689 Y1 KR 200212689Y1 KR 2020000023520 U KR2020000023520 U KR 2020000023520U KR 20000023520 U KR20000023520 U KR 20000023520U KR 200212689 Y1 KR200212689 Y1 KR 200212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opening
closing
air gu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앤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앤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앤티테크
Priority to KR2020000023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689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밸브의 작동봉 동작시 밀폐링이 유로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밀폐링의 손상을 방지하므로서 압축공기가 유로를 따라 누설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작동레버에 가압되는 악력을 최소화시켜 에어건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이 피로하지 않도록 한 에어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에어건 몸체의 손잡이 하단에 에어 콤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니플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건 몸체의 내부로 니플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에어건 몸체에 힌지로 결합된 손잡이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에어건에 있어서,
에어건 몸체의 손잡이 하단에 작동레버를 힌지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어진 유로의 적소에 작동레버 방향으로 개구된 개폐홀을 형성한 다음, 상기 개폐홀에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밀폐링을 가진 개폐밸브를 탄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개폐홀을 상부 개폐홀과 하부 개폐홀로 구분 형성한 다음, 니플과 근접된 유로가 상부 개폐홀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니플과 떨어진 유로는 하부 개폐홀에 위치토록 하는 한편, 하부 개폐홀의 상단에 상부 개폐홀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링턱을 형성하여 이에 작동구의 밀폐링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봉의 하단에 하부 개폐홀을 슬라이드하면서 압축공기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링을 하나 더 설치하고, 상기 작동봉의 상단부에 스프링을 탄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에어건의 유로 적소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공기 유입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측 유로에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상기 분사노즐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유입공간부의 또 다른 일측 유로에 분사노즐의 노즐공 보다 직경이 다소 큰 확장분사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건{Airgun}
본 고안은 에어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밸브의 작동봉 동작시 밀폐링이 유로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밀폐링의 손상을 방지하므로서 압축공기가 유로를 따라 누설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작동레버에 가압되는 악력을 최소화시켜 에어건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이 피로하지 않도록 하는 에어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공기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 콤프레셔를 사용하게 되고, 이 에어 콤프레셔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에어건을 이용하여 분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를 분사시키는 에어건의 성능에 따라 압축공기를 생산하는데 소모되는 전기에너지의 사용에 많은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라인에서 행하여지는 제품의 건조나 세정, 또는 부품의 냉각, 부품의 이송 및 부품 후처리 작업후 발생된 칩을 제거하는 등 생산성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건의 구성을 보면 도 1과 같이 에어건 몸체(1)의 하단에 에어 콤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니플(1a)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건 몸체(1)의 내부로 니플(1a)과 연통되는 유로(1b)가 형성되며, 에어건 몸체(1)의 일측에 유로(1b)를 통해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노즐(1c)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1b)의 중간지점에는 에어건 몸체(1)의 외부와 관통되게 개폐홀(1d)이 형성되어 이에 상기 유로(1b)를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밸브(2)가 스프링(2a)과 함께 탄설되며, 상기 개폐밸브(2)의 작동봉(2b) 단부는 에어건 몸체(1)와 힌지(3a)로 결합된 작동레버(3)와 대응되어 상기 작동레버(3)를 압박하였을 때 도 1의 (b)와 같이 작동봉(2b)이 상승하면서 폐쇄되었던 유로(1b)가 개방되며, 압박하였던 작동레버(3)로 부터 힘을 해제하면 도 1의 (a)와 같이 작동봉(2b)이 스프링(2a)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작동봉(2b) 단부의 밀폐링(2c)이 유로(1b)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에어건은 작동레버(3)의 상단이 에어건 몸체(1)에 힌지(3a)로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중 힘이 센 검지 보다 힘이 약한 약지에 많은 힘이 집중되므로서 손이 쉽게 피로해져 작업을 연속적으로 장시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작동레버(3)의 상단이 힌지(3a)에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개폐밸브(2)의 작동시 작동봉(2b) 단부의 밀폐링(2c)이 유로(1b)에 걸려 손상되므로서 압축공기가 유로(1b)를 따라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동레버의 하단부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힘이 센 검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므로서 작동레버에 가압되는 악력을 최소화시켜 에어건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이 피로하지 않도록 한 에어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또, 개폐밸브의 작동봉 동작시 밀폐링이 유로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밀폐링의 손상을 방지하므로서 압축공기가 유로를 따라 누설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에어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의 (a)와 (b)는 종래 에어건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건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에어건 몸체 11a:니플
11b:유로 11c:손잡이
11d:상부 개폐홀 11e:하부 개폐홀
11f:링턱 12:개폐밸브
12a:밀폐링 12b:작동봉
12c:스프링 13:작동레버
14:출력증강기 14a:유입공간부
14b:흡입공 14c:분사노즐
14d:노즐공 14e:확장분사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건 몸체의 손잡이 하단에 에어 콤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니플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건 몸체의 내부로 니플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에어건 몸체에 힌지로 결합된 손잡이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에어건에 있어서, 에어건 몸체의 손잡이 하단에 작동레버를 힌지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어진 유로의 적소에 작동레버 방향으로 개구된 개폐홀을 형성한 다음, 상기 개폐홀에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밀폐링을 가진 개폐밸브를 탄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개폐홀을 상부 개폐홀과 하부 개폐홀로 구분 형성한 다음, 니플과 근접된 유로가 상부 개폐홀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니플과 떨어진 유로는 하부 개폐홀에 위치토록 하는 한편, 하부 개폐홀의 상단에 상부 개폐홀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링턱을 형성하여 이에 작동구의 밀폐링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봉의 하단에 하부 개폐홀을 슬라이드하면서 압축공기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링을 하나 더 설치하고, 상기 작동봉의 상단부에 스프링을 탄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에어건의 유로 적소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공기 유입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측 유로에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상기 분사노즐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유입공간부의 또 다른 일측 유로에 분사노즐의 노즐공 보다 직경이 다소 큰 확장분사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에어건은 에어건 몸체(11)의 손잡이(11c) 하단에 에어 콤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호스(20)와 연결되는 니플(11a)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건 몸체(11)의 내부로 니플(11a)과 연통되는 유로(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1c) 하부의 유로(11b)에 에어건 몸체(11)의 외부와 관통되게 개폐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개폐홀은 상부 개폐홀(11d)과 하부 개폐홀(11e)로 구분 형성한 다음, 니플(11a)과 근접된 유로(11b)가 상부 개폐홀(11d)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니플(11a)과 떨어진 유로(11b)는 하부 개폐홀(11e)에 위치토록 하는 한편, 하부 개폐홀(11e)의 상단에 상부 개폐홀(11d)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링턱(11f)을 형성하여 이에 개폐밸브(12)의 작동봉(12b)에 설치되어진 밀폐링(12c)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봉(12b)의 하단에 하부 개폐홀(11e)을 슬라이드하면서 압축공기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링(12c)을 하나 더 설치하고, 상기 작동봉(1 2b)의 상단부에 스프링(12a)을 탄설한다.
한편, 상기 에어건 몸체(11)의 손잡이(11c) 하단에 힌지(13a)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레버(13)를 설치하는데, 상기 작동레버(13)에 손잡이(11c) 외측으로 돌출된 개폐밸브(12)의 작동봉(12b) 단부가 대응되도록 하여 도 3과 같이 상기 작동레버( 13)를 압박하였을 때 작동봉(12b)이 상승하면서 폐쇄되었던 유로(11b)가 개방되도록 하고, 도 2와 같이 압박하였던 작동레버(13)로 부터 힘을 해제하면 작동봉(12b)이 스프링(12a)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작동봉(12b) 단부의 밀폐링(12c)이 유로(11b)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작동봉(12b) 상단의 밀폐링(12c)은 상부 개폐홀(11d)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링턱(11f)을 따라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밀폐링(11c)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압축공기의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건의 유로(11b) 적소에 출력증강기(14)가 설치되는데, 상기 출력증강기(14)는 유로(11b)의 개폐홀(11d)과 유로(11b)의 단부 사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다수의 흡입공(14b)을 구비한 유입공간부(14a)가 형성된 다음, 상기 유입공간부(14a)의 일측 유로(11b)에 분사노즐(14c)을 설치하고, 상기 분사노즐(14c)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유입공간부(14a)의 또 다른 일측 유로(1 1b)에 분사노즐(14c)의 노즐공(14d) 보다 직경이 다소 큰 확장분사관(14e)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14c)의 노즐공(14d)은 일정하게 그 직경이 유지하다가 그 단부로 갈수록 직경을 확장시키는데 이 확장된 노즐공(14d)으로 부터 분사된 에어가 확장분사관(14e)의 내부로 모두 유입될 정도로 확장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에어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레버(13)를 압박하여 개폐밸브(12)의 작동봉(12b)을 압박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작동봉(12b) 상단의 밀폐링(12c)이 링턱(11f)으로 부터 상승하면서 상부 개폐홀(11d)과 하부 개폐홀(11e)이 연통되는데, 이때 밀폐링(12c)이 상부 개폐홀( 11d) 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상부 개폐홀(11d)에 형성된 유로(11b)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밀폐링(12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밀폐링(12c) 손상으로 인한 압축공기의 누설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 (13)를 가압할 때 힘이 센 검지와 중지, 약지 등로서 가압하기 때문에 작동레버(13)를 오랫동안 가압하더라도 손이 피로하지 않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2와 같이 압박하였던 작동레버(13)로 부터 힘을 해제하면 작동봉(12b)이 스프링(12a)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작동봉(12b) 단부의 밀폐링(12c)이 링턱(11f)에 안착되어 유로(11b)를 차단한다.
한편, 작동레버(13)를 가압하게 되면, 에어 콤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호스 (20)에서 니플(11a)로 압축공기가 급기되며,상기 니플(11a)로 급기된 압축공기는 에어건 몸체(11) 내부의 유로(11b)를 따라 공급된 다음, 유로(11b)적소에 설치되어진 출력증강기(14)의 분사노즐(14c)을 통해 분사되는데, 이렇게 분사된 압축공기는 분사노즐(14c) 전방의 확장분사관(14e)으로 유입되며, 이와 동시에 압축공기가 빠른 속도로 확장분사관(14e)에 흡입되면서 흡입공(14b)을 통해 유입공간부(14a)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함께 흡입되어 출력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여기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그 출력을 비교하여 실험하여 본 결과,1.8인 노즐공에 3 BAR를 입력하였을 때에는 확장분사관이8 일때 이를 통과한 F2의 백분율이 118.2%로 가장 높았으며, 이외2인 노즐공에서는 4 BAR를 입력하여8 일때 F2의 백분율이 120.9%로 가장 높았고,3인 노즐에서는 5.5 BAR를 입력하여9 일때 F2의 백분율이 119.4%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동레버의 하단부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힘이 센 검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므로서 작동레버에 가압되는 악력을 최소화시켜 에어건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이 피로하지 않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 개폐밸브의 작동봉 동작시 밀폐링이 유로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압축공기가 유로를 따라 누설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에어건의 유로 적소에 출력증강기를 설치하여 에어 콤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호스에서 니플로 공급된 적은 량의 압축공기 출력(압축공기량)으로 에어건의 분사노즐로 부터 분사된 압축공기 출력(압축공기량)을 더 커게 높임으로써 적은 에너지로 보다 큰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에어건 몸체의 손잡이 하단에 에어 콤프레셔의 압축공기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니플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건 몸체의 내부로 니플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에어건 몸체에 힌지로 결합된 손잡이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에어건에 있어서,
    에어건 몸체의 손잡이 하단에 작동레버를 힌지로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어진 유로의 적소에 작동레버 방향으로 개구된 개폐홀을 형성한 다음, 상기 개폐홀에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밀폐링을 가진 개폐밸브를 탄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홀을 상부 개폐홀과 하부 개폐홀로 구분 형성한 다음, 니플과 근접된 유로가 상부 개폐홀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니플과 떨어진 유로는 하부 개폐홀에 위치토록 하는 한편, 하부 개폐홀의 상단에 상부 개폐홀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링턱을 형성하여 이에 작동구의 밀폐링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봉의 하단에 하부 개폐홀을 슬라이드하면서 압축공기를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링을 하나 더 설치하고, 상기 작동봉의 상단부에 스프링을 탄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에어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건의 유로 적소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공기 유입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측 유로에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상기 분사노즐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유입공간부의 또 다른 일측 유로에 분사노즐의 노즐공 보다 직경이 다소 큰 확장분사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건.
KR2020000023520U 2000-08-19 2000-08-19 에어건 KR200212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520U KR200212689Y1 (ko) 2000-08-19 2000-08-19 에어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520U KR200212689Y1 (ko) 2000-08-19 2000-08-19 에어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689Y1 true KR200212689Y1 (ko) 2001-02-15

Family

ID=7308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520U KR200212689Y1 (ko) 2000-08-19 2000-08-19 에어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68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601B1 (ko) 2004-07-07 2006-05-17 (주)계림메디칼 수동가압식 스프레이장치
KR101040294B1 (ko) * 2008-05-14 2011-06-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공압모터를 이용한 고지톱
KR101421788B1 (ko) 2012-04-13 2014-07-24 서영순 개량 에어건
KR2017000072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에어건
KR20220105224A (ko) 2021-01-19 2022-07-27 이재호 고무재 스크랩 제거용 에어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601B1 (ko) 2004-07-07 2006-05-17 (주)계림메디칼 수동가압식 스프레이장치
KR101040294B1 (ko) * 2008-05-14 2011-06-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공압모터를 이용한 고지톱
KR101421788B1 (ko) 2012-04-13 2014-07-24 서영순 개량 에어건
KR20170000720A (ko)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라지엔씨 에어건
KR20220105224A (ko) 2021-01-19 2022-07-27 이재호 고무재 스크랩 제거용 에어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27044T1 (de) Aerosolspritzpistole
EP1658902B8 (de) Steuermodul für eine Düsenanordnung
EP1366863B1 (en) Nail gun provided with duster function
KR200212689Y1 (ko) 에어건
CA2410123A1 (en) Optical device controller in the type of imitative gun
CN209569390U (zh) 切换阀以及间歇喷气枪
DE50103311D1 (de) Selbstreinigende Spritzpistolendüse
JP2516736B2 (ja) 洗浄ガン
JP4328872B2 (ja) 洗浄兼エアブロー装置
US7325710B1 (en) Pneumatic nail gun
KR200390972Y1 (ko) 에어건용 에어량 조절장치
KR200406436Y1 (ko) 에어건용 개량 노즐어셈블리
KR200212686Y1 (ko) 출력증강기가 부설된 에어건
KR20120000458U (ko) 스팀건
KR200403921Y1 (ko) 보일러 수트 블로워용 벤트 밸브
KR200250651Y1 (ko) 에어건
KR200287555Y1 (ko) 워터젯 핸드 건
KR200318396Y1 (ko) 에어 더스터 건
KR200265040Y1 (ko) 에어건
JP2004353682A (ja) 開閉弁
KR102504641B1 (ko) 수분제거용 필터를 마련한 에어건
KR200442111Y1 (ko) 페인트 스프레이건
KR200288649Y1 (ko) 피스톤식 오일 펌프
US1059957A (en) Decarbonizing-torch.
JP2004001135A (ja) エアダスタ付き釘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