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486Y1 -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 - Google Patents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486Y1
KR200212486Y1 KR2019980026892U KR19980026892U KR200212486Y1 KR 200212486 Y1 KR200212486 Y1 KR 200212486Y1 KR 2019980026892 U KR2019980026892 U KR 2019980026892U KR 19980026892 U KR19980026892 U KR 19980026892U KR 200212486 Y1 KR200212486 Y1 KR 200212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groove
switch
bent portion
ra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667U (ko
Inventor
박광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6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48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6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486Y1/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스위치로서 트레이의 오픈완료 및 로딩완료를 모두 감지가능하게 함으로써, 스위치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본 고안은, 수평이송체(50)의 일측에 제 1걸림턱(56)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2걸림턱(58)이 형성되며, 제 1걸림턱(56)과 제 2걸림턱(58)의 사이에 스위치(32)가 설치되고, 트레이(30)의 하방에 수평이송체(50)의 돌기(54)가 결합되는 일측 방향의 절곡부(34) 및 타측 방향의 굴곡부(35)를 가지는 그루브(32)가 구비된 씨디플레이어로서, 트레이(30)가 오픈완료될 때 수평이송체(50)에 형성된 돌기(54)가 그루브(32)의 굴곡부(35)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여 스위치(60)를 스위칭하며, 트레이(30)가 로딩완료될 때 돌기(54)가 그루브(32)의 절곡부(34)를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여 스위치(60)를 스위칭함에 따라, 하나의 스위치(60)만으로도 그루브(32)의 형상에 따라 이동하는 수평이송체(60)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트레이(30)의 오픈완료 및 로딩완료를 모두 감지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60)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
본 고안은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에 설치된 하나의 스위치가 트레이에 형성한 그루브의 형상에 따라 트레이의 오픈완료 및 로딩완료를 모두 감지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위치의 수를 감소시킨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씨디플레이어는 광픽업 액츄에이이터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피트에 레이저 빔의 포커스를 형성하고, 반사되는 광을 집속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디스크의 기록을 재생하는 장치로서, 거치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씨디플레이어를 도 1에 따라 설명한다.
이 씨디플레이어는 디스크(미도시)를 안착시켜 척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본체(110)에 출입되는 트레이(130)와, 본체(110)에서 승강되어 트레이(130)에 안치된 디스크를 턴테이블(122)로 척킹하여 광픽업 액츄에이터(미도시)로 기록을 재생하는 드라이브 유닛(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구조를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체(110)에는 구동모터(140)와, 이 구동모터(140)에 의해 회전하는 연동기어군(142)이 설치된다. 또한 연동기어군(142)에 치합되는 제 2랙기어치(152)를 형성하여 수평으로 이송되며 드라이브 유닛(120)을 승강시키는 수평이송체(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트레이(130)의 하방에는 트레이(130)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동기어군(142)에 치합되는 제 1랙기어치(136)가 형성되어 트레이(130)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제 1랙기어치(136)에 대응되는 트레이(130)의 하방에 그루브(132)가 형성된다. 이러한 그루브(132)의 선단에는 드라이브 유닛(120)이 상승할 때 수평이송체(150)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절곡부(134)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수평이송체(150)의 상면에는 그루브(132)에 결합되는 돌기(154)가 형성된다.
한편 트레이(130)의 오픈완료를 감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트레이(130)의 후단에 스크류(138)가 결합되고, 트레이(130)의 오픈완료시 스크류(138)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 2스위치(162)가 본체(110)에 설치된다.
또 트레이(130)가 로딩완료되고 연속하여 드라이브 유닛(120)이 상승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수평이송체(150)에 걸림턱(156)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156)에 스위칭되는 제 1스위치(160)가 본체(110)에 설치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씨디플레이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의 재생을 마친 상태는, 수평이송체(150)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송되어 돌기(154)가 절곡부(134)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고, 드라이브 유닛(120)은 상승하여 있다.
여기서 트레이(130)가 오픈될 때에는, 구동모터(140)가 회전하여 연동기어군(142)을 회전시키고, 이 연동기어군(142)에 치합된 제 2랙기어치(152)에 의해 수평이송체(15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돌기(154)가 절곡부(134)를 벗어난다.
이와 동시에 연동기어군(142)이 제 1랙기어치(136)를 이송시켜 트레이(130)를 도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돌기(154)는 수직으로 형성된 그루브(132)에 결합되어 트레이(130)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트레이(130)가 충분히 인출되면, 스크류(138)가 제 2스위치(162)를 스위칭함에 따라 제어부에서 구동모터(140)를 정지시켜 모든 작동이 중단된다.
반대로 트레이(130)를 로딩시킬 때에는, 구동모터(14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연동기어군(142)와 제 1랙기어치(136)를 통해 트레이(130)를 본체(110)내로 로딩시킨다. 이에 따라 트레이(130)가 본체(110) 내로 충분히 로딩되면, 돌기(154)가 그루브(132)의 절곡부(134)에 접근함에 따라 트레이(130)의 이송이 중단된다.
이어서 연동기어군(142)에 치합된 제 2랙기어치(152) 및 돌기(154)가 그루브(132)의 절곡부(134)를 따라 좌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수평이송체(150)가 드라이브 유닛(120)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 유닛(120)이 충분히 상승하여 디스크를 척킹하는 시점에서 수평이송체(150)의 걸림턱(156)이 제 1스위치(160)를 스위칭함에 따라, 제어부에서 구동모터(140)의 회전을 정지시켜 모든 작동을 중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에서는, 트레이(130)의 오픈완료를 감지하기 위한 제 2스위치(162)와, 트레이(130)의 로딩완료에 이어 드라이브 유닛(120)의 상승완료를 감지하기 위한 제 1스위치(160)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는 2개의 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라 제조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설치된 하나의 스위치를 설치하여 트레이에 형성한 그루브의 형상에 따라 트레이의 오픈완료 및 로딩완료를 모두 감지가능하게 함으로써, 스위치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씨디플레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에 도시한 씨디플레이어의 메카니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씨디플레이어의 메카니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드라이브 유닛
22: 턴테이블 30: 트레이
32: 그루브 34: 절곡부
35: 굴곡부 36: 제 1랙기어치
40: 구동모터 42: 연동기어군
50: 수평이송체 52: 제 2랙기어치
54: 돌기 56: 걸림턱
60: 스위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구동모터에 연동되는 연동기어군, 상기 연동기어군에 치합되는 제 2랙기어치가 형성되어 드라이브 유닛을 승강시키고 상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에 제 1걸림턱이 형성된 수평이송체, 상기 트레이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연동기어군에 치합되는 제 1랙기어치, 상기 제 1랙기어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트레이의 하방에서 상기 돌기가 결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외측단에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를 가지는 그루브가 구비된 씨디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내측단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굴곡부; 상기 이송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 2걸림턱; 상기 제 1걸림턱과 상기 제 2걸림턱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는, 트레이가 오픈완료될 때 수평이송체에 형성된 돌기가 그루브의 굴곡부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여 스위치를 스위칭하며, 트레이가 로딩완료될 때 돌기가 그루브의 절곡부를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여 스위치를 스위칭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나의 스위치만으로도 그루브의 형상에 따라 이동하는 수평이송체의 스위칭작용에 의해 트레이의 오픈완료 및 로딩완료를 모두 감지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구조를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체(10)에는 구동모터(40)와, 이 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하는 연동기어군(42)이 설치된다. 또한 연동기어군(42)에 치합되는 제 2랙기어치(52)를 형성하여 수평으로 이송되며 드라이브 유닛(20)을 승강시키는 수평이송체(50)가 구비된다.
그리고 트레이(30)의 하방에는 트레이(30)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연동기어군(42)에 치합되는 제 1랙기어치(36)가 형성되어 트레이(30)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제 1랙기어치(36)에 대응되는 트레이(30)의 하방에 그루브(32)가 형성된다. 이러한 그루브(32)의 선단에는 드라이브 유닛(20)이 상승할 때 수평이송체(50)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절곡부(34)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절곡부(34)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부(35)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수평이송체(50)의 상면에는 그루브(32)에 결합되는 돌기(54)가 형성된다.
한편 트레이(30)의 오픈완료와 로딩완료를 감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수평이송체(50)의 일측에 제 1걸림턱(56)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2걸림턱(58)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본체(10)에는 제 1걸림턱(56)과 제 2걸림턱(58)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치(32)가 설치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씨디플레이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의 재생을 마친 상태는, 수평이송체(50)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송되어 돌기(54)가 절곡부(34)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고, 드라이브 유닛(20)은 상승하여 있다.
여기서 트레이(30)가 오픈될 때에는, 구동모터(40)가 회전하여 연동기어군(42)을 회전시키고, 이 연동기어군(42)에 치합된 제 2랙기어치(52)에 의해 수평이송체(5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돌기(54)가 절곡부(34)를 벗어난다.
이와 동시에 연동기어군(42)이 제 1랙기어치(36)를 이송시켜 트레이(30)를 도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돌기(54)는 수직으로 형성된 그루브(32)에 결합되어 트레이(30)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트레이(30)가 충분히 인출되면, 돌기(54)가 굴곡부(35)를 따라 우측으로 밀림에 의해 제 2걸림턱(58)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스위치(60)를 스위칭함에 따라, 제어부에서 구동모터(40)를 정지시켜 모든 작동을 중단한다.
반대로 트레이(30)를 로딩시킬 때에는, 구동모터(4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연동기어군(42)와 제 1랙기어치(36)를 통해 트레이(30)를 본체(10)내로 로딩시킨다. 이에 따라 트레이(30)가 본체(10)내로 충분히 로딩되면, 돌기(54)가 그루브(32)의 절곡부(34)에 접근함에 따라 트레이(30)의 이송이 중단된다.
이어서 연동기어군(42)에 치합된 제 2랙기어치(52) 및 돌기(54)가 그루브(32)의 절곡부(34)를 따라 좌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수평이송체(50)가 드라이브 유닛(20)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 유닛(20)이 충분히 상승하여 디스크를 척킹하는 시점에서 제 1걸림턱(56)이 스위치(60)를 스위칭함에 따라, 제어부에서 구동모터(40)의 회전을 정지시켜 모든 작동을 중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이송체(50)의 일측에 제 1걸림턱(56)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2걸림턱(58)이 형성되며, 제 1걸림턱(56)과 제 2걸림턱(58)의 사이에 스위치(32)가 설치되고, 트레이(30)의 하방에 수평이송체(50)의 돌기(54)가 결합되는 일측 방향의 절곡부(34) 및 타측 방향의 굴곡부(35)를 가지는 그루브(32)가 구비된 씨디플레이어로서, 트레이(30)가 오픈완료될 때 수평이송체(50)에 형성된 돌기(54)가 그루브(32)의 굴곡부(35)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하여 스위치(60)를 스위칭하며, 트레이(30)가 로딩완료될 때 돌기(54)가 그루브(32)의 절곡부(34)를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여 스위치(60)를 스위칭함에 따라, 하나의 스위치(60)만으로도 그루브(32)의 형상에 따라 이동하는 수평이송체(60)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트레이(30)의 오픈완료 및 로딩완료를 모두 감지할 수 있으므로, 스위치(60)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동모터(40)에 연동되는 연동기어군(42), 상기 연동기어군(42)에 치합되는 제 2랙기어치(52)가 형성되어 드라이브 유닛(20)을 승강시키고 상측면에 돌기(54)가 형성되며 일측에 제 1걸림턱(56)이 형성된 수평이송체(50), 상기 트레이(30)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연동기어군(42)에 치합되는 제 1랙기어치(36), 상기 제 1랙기어치(36)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트레이(30)의 하방에서 상기 돌기(54)가 결합가능하게 형성되고 외측단에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34)를 가지는 그루브(32)가 구비된 씨디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32)의 내측단에서부터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굴곡부(35);
    상기 수평이송체(5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걸림턱(58);
    상기 제 1걸림턱(56)과 상기 제 2걸림턱(58)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스위치(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
KR2019980026892U 1998-12-28 1998-12-28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 KR200212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92U KR200212486Y1 (ko) 1998-12-28 1998-12-28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92U KR200212486Y1 (ko) 1998-12-28 1998-12-28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67U KR20000013667U (ko) 2000-07-15
KR200212486Y1 true KR200212486Y1 (ko) 2001-03-02

Family

ID=6950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892U KR200212486Y1 (ko) 1998-12-28 1998-12-28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4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67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2249C (en) Disc player
US7665100B2 (en) Disk drive
US6256280B1 (en) Disk ejection device
US20010030926A1 (en) Optical disc device
US7003785B2 (en) Recording medium driving device
US6880159B2 (en) Disc driving apparatus
KR200212486Y1 (ko) 씨디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 감지구조
KR015868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KR10046876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모터 제어장치
JP4417959B2 (ja) スイッチ機構及びディスク装置
KR20030077115A (ko) 슬로트인 방식의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데크 장치
KR930009696B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KR10088691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핑 구조체
KR100249551B1 (ko) 씨디체인저의 씨디 척킹구조
KR200374291Y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이머전시 이젝트 장치
KR100886911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치우침 방지 구조체
KR100886910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감지 및 인식 구조체
KR100266162B1 (ko) 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KR100211862B1 (ko) 컴팩트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0600246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캠기어 구조
KR19990025983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척킹구조
KR19990025984A (ko) 씨디체인저의 씨디척킹구조
KR19990035035A (ko) 단일 동력원에 의해 씨디가 척킹되는 씨디체인저
KR19990035032A (ko) 단일 동력원을 사용한 씨디체인저의 구동구조
KR20050079336A (ko) 초박형 슬롯인타입 드라이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