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388Y1 - 유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388Y1
KR200212388Y1 KR2020000017735U KR20000017735U KR200212388Y1 KR 200212388 Y1 KR200212388 Y1 KR 200212388Y1 KR 2020000017735 U KR2020000017735 U KR 2020000017735U KR 20000017735 U KR20000017735 U KR 20000017735U KR 200212388 Y1 KR200212388 Y1 KR 200212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connection
fluid
fluid supply
connec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호균
Original Assignee
왕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호균 filed Critical 왕호균
Priority to KR2020000017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388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 조립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개량된 유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체 공급장치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131)을 가지는 유체 분사부인 스프링클러(130), 일정압의 물이 공급되고 임의간격으로 연결구멍(101)의 형성이 가능하며 플렉서블한 메인수관(100), 일단이 메인수관(100)의 연결구멍(101)을 탄력적으로 확장시키면서 결합되는 제1연결수관(110) 및 일단이 스프링클러(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연결수관(11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수관(12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메인수관 및 제1,2연결수관을 두루마리식으로 감아짐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하고, 메인수관(100)에 단순히 연결구멍(101)을 형성하여 제1연결수관을 결합시킴으로써 밀봉결합이 가능하고, 원터치식 연결소켓을 채용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다.

Description

유체 공급장치{Device for feeding fluid}
본 고안은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보관부피가 경감되고 경량화 되며 원하는 위치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개량된 유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프링클러가 사용되고 있다. 이 스프링클러는 밭작물이나 원예용 작물 등을 재배할 때 관수의 공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스프링클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압의 물이 공급되는 메인수관(10)의 임의위치에 연결되어서 농작물에 물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절단된 메인수관(10)의 마주보는 단부에는 각각 걸림턱(11a)(12a)이 형성된 연결소켓(11)(12)이 결합되고, 각 연결소켓(11)(12)에는 각각 걸림턱(11a)(12a)을 걸어 클램핑시키는 클램프(21)(31)를 채용한 스프링클러 소켓(20)과 양방향 소켓(30)이 연결된다. 스프링클러 소켓(20)의 조립공(22)에는 클러 파이프(41)가 조립되어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위치에서 스프링클러(40)가 유지되도록 받침대(42)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스프링클러(40)는 받침대(42)의 결합보스(44)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3)의 조임으로 결합보스(44)에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의 스프링클러(40)를 이용한 물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메인수관(10) 및 각각의 소켓(11)(12)(20)(30)이 금속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운반이 어렵고 조립이 불편하다.
둘째,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위치에 물을 공급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분해/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셋째, 스프링클러(40)를 이용하여 물을 살포하여 공급함으로써 물 소비량이 증가되어 관수효과가 저하된다.
넷째, 스프링클러(40)가 조임볼트(43)에 의해 고정 유지되므로 조임볼트(43)의 이탈 등으로 분실의 염려가 있고, 관수의 토출시 스프링클러의 강한 회전으로 조임볼트(43)의 조임 상태가 느슨해지는 등의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하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된 유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위치에의 물 공급이 원활하도록 이동 설치가 간편한 유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클러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받침대에 안정하게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유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유체 공급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내지 도 4는 각각 본 고안의 유체 공급장치를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유체 공급장치에 채용되는 메인수관의 단면도,
도 6a는 메인수관을 마감하는 케이블 타이,
도 6b는 제1연결수관을 마감하는 마감캡,
도 7a 및 도 7b는 스프링클러와 받침대의 고정방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메인수관 101...연결구멍
110...제1연결수관 120... 제2연결수관
130...스프링클러 150...개폐밸브
160...마감캡 170...케이블 타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체 공급장치는 유체가 분사되는 노즐을 가지는 유체 분사부; 일정압의 유체가 공급되고 임의간격으로 연결구멍의 형성이 가능하며 플렉서블한 메인수관; 및 일단이 메인수관의 연결구멍을 탄력적으로 확장시키면서 결합되고, 타단이 유체 분사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수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연결수관과 유체 분사부 사이에는 일단이 유체 분사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연결수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수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연결수관의 단부에는 유체 분사부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소켓이 더 구비되고, 연결소켓은 유체 분사부에 유체를 공급/차단시키는 개폐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수관의 단부는 중첩적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된 부분을 케이블 타이로 매듭하여서 마감되며, 사용하지 않는 제1연결수관의 단부는 중첩적으로 절곡되고 이 절곡부분을 '8'자형 마감캡으로 마감된다.
메인수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수관의 단부는 경사단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의 유체 공급장치는 메인수관 및 제1,2연결수관이 유연한 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살수위치의 변경이 자유롭고, 보관 및 이동이 간편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유체 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체 공급장치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131)을 가지는 유체 분사부인 스프링클러(130), 일정압의 물이 공급되고 임의간격으로 연결구멍(101)의 형성이 가능하며 플렉서블한 메인수관(100), 일단이 메인수관(100)의 연결구멍(101)을 탄력적으로 확장시키면서 결합되는 제1연결수관(110) 및 일단이 스프링클러(1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연결수관(11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수관(120)으로 구성된다.
메인수관(100)은 폴리비닐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2연결수관(110)(120)은 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 있어서, 제2연결수관(120)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제1연결수관(110)을 연장하여 유체 분사부(130)와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결구멍(101)은 실제로 제1연결수관(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제1연결수관(110)이 연결구멍(101)에 결합될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멍(101)의 가장자리가 제1연결수관(11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서 밀봉유지가 가능해진다.
참조번호 121, 122는 통상의 원 터치(ONE TOUCH) 방식의 제1연결소켓, 제2연결소켓으로 제1연결소켓(121)은 제1연결수관(110)과 제2연결수관(120)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2연결소켓(122)은 스프링클러(130)에 제2연결수관(120)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유체 공급장치는 제2연결소켓(122)을 제2연결수관(120)과 스프링클러(130) 사이에 물을 공급/차단시키는 개폐손잡이(151)를 가지는 개폐밸브(15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 경우 메인수관(100)으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된 여러 개의 스프링클러(130)중에서 가동시키고자 하는 스프링클러(130)를 선택하여 물의 공급/차단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개폐밸브(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수관(110)과 제2연결수관(12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폐밸브(15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각 스프링클러(130) 위치로 이동하지 아니하고 메인수관(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 개폐밸브(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메인수관(100)의 임의 위치로부터 연결구멍(101)을 형성하여서 제1,2연결수관(110)(120)을 연결하여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바, 사용한 후에 사용하지 않는 제1연결수관(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적으로 절곡하여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8'자형 마감캡(160)으로 밀봉 마감시킨다.
또한, 메인수관(100)의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적으로 절곡하여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블 타이(cable tie;170)로서 밀봉 마감시킨다.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클러(130)는 받침대(140)에 고정 유지되는 바, 이 경우 스프링클러(130)의 단부에는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수나사부(132)가 형성되어서, 내주연에 암나사부(141)가 형성된 결합보스(143)에 나사결합 되어진다.
또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40)의 결합보스(143)의 외주연에는 외나사부(142)가 형성되어서, 분출 용량이 큰 스프링클러(130)를 동일한 받침대(140)에 결합이 가능하게 하였다. 즉, 이 경우 스프링클러(130)의 단부에 결합보스(143)의 외나사부(142)에 결합되도록 나사부(133)를 형성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큰 유량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수관(100)과 연결되는 제1연결수관(110)의 단부(110a)는 경사단면으로 형성하여 그 결합이 수월하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유체 공급장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제조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유체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메인수관(100) 및 제1,2연결수관(110)(120) 또는 서브수관(200)을 두루마리식으로 감아짐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이 간편하다.
둘째, 메인수관(100)에 단순히 연결구멍(101)을 형성하여 제1연결수관(110)을 결합시킴으로써 밀봉결합이 가능하고, 원터치(one touch)식 연결소켓을 채용함으로써 조립이 간편하다.
셋째, 유연한 메인수관(100)과 제1,2연결수관(110)(120)을 채용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의 물 공급이 원활하도록 이동 설치가 간편하다.
넷째, 스프링클러(130)가 받침대(140)의 결합보스(143)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종래 조임볼트에 의한 고정보다도 스프링클러의 회전토출시 안정하게 유지될 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Claims (12)

  1. 유체가 분사되는 노즐을 가지는 유체 분사부;
    일정압의 유체가 공급되고 임의간격으로 연결구멍의 형성이 가능하며 플렉서블한 메인수관; 및
    일단이 상기 메인수관의 연결구멍을 탄력적으로 확장시키면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체 분사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수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관의 단부에는 상기 유체 분사부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소켓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제2연결수관에 유체를 공급/차단시키는 개폐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장치는 제1연결수관과 상기 유체 분사부 사이에 일단이 상기 유체 분사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연결수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수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장치는
    상기 제1연결수관과 상기 제2연결수관 사이에 상기 제1연결수관과 상기 제2연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소켓; 및
    상기 제2연결수관과 상기 유체 분사부 사이에 상기 제2연결수관과 상기 유체 분사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소켓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소켓은 상기 제2연결수관에 유체를 공급/차단시키는 개폐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소켓은 상기 유체 분사부에 유체를 공급/차단시키는 개폐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의 단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보스를 가지는 받침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의 단부 내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클러의 나사부가 나사결합 되도록 그 외주연에 외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보스를 가지는 받침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관의 단부는 중첩적으로 절곡되고, 이 절곡부분을 '8'자형 마감캡으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수관의 단부는 중첩적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된 부분을 케이블 타이로 매듭하여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수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수관의 단부는 경사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장치.
KR2020000017735U 2000-06-22 2000-06-22 유체 공급장치 KR200212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735U KR200212388Y1 (ko) 2000-06-22 2000-06-22 유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735U KR200212388Y1 (ko) 2000-06-22 2000-06-22 유체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077A Division KR20010000143A (ko) 2000-06-21 2000-06-21 유체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059U Division KR200220907Y1 (ko) 2000-10-27 2000-10-27 유체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388Y1 true KR200212388Y1 (ko) 2001-02-15

Family

ID=7308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735U KR200212388Y1 (ko) 2000-06-22 2000-06-22 유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3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4150A (en) Multiple purpose irrigation fitting
US6058975A (en) Connection member of water control valve
JP5938793B2 (ja) 灌漑用位置決め支持装置
WO2001085260A1 (en) Threadless sprinkler head assembly
KR200212388Y1 (ko) 유체 공급장치
KR20010000143A (ko) 유체 공급장치
KR200220907Y1 (ko) 유체 공급장치
EP2458254A1 (en) Device for the connection of branch pipes to a main pipe in irrigation systems
JP2004089122A (ja) ハウス栽培作物への散水ノズル
JP3622093B2 (ja) 可撓ホース用散水ノズル
US20100084595A1 (en) Line valve
KR200156700Y1 (ko) 농업용 밸브
KR100746494B1 (ko) 급수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간편하게 연결 할수 있는리듀싱 커플링
US20070035126A1 (en) Sprinkler head connector system
KR0140630Y1 (ko) 가요성 호스용 클램프 부재
US20020089175A1 (en) Spiral ribbed tubing connector for irrigation stakes and couplings
US20200068820A1 (en) Irrigation system
KR200394135Y1 (ko) 호스 클램프 장치
IL280146B2 (en) Connects a drip irrigation extension to a feeder pipe
KR200188526Y1 (ko) 농업용 분기관연결구
CN218251078U (zh) 一种灌溉喷雾装置
KR200254112Y1 (ko) 스프링클러용 주름관 연결장치
US118986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shut-off valves or adapters in an irrigation system
JP3112755U (ja) ホースリール
KR200308844Y1 (ko) 연결파이프 일체형 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