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118Y1 - 외기공급덕트 - Google Patents

외기공급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118Y1
KR200212118Y1 KR2019980008630U KR19980008630U KR200212118Y1 KR 200212118 Y1 KR200212118 Y1 KR 200212118Y1 KR 2019980008630 U KR2019980008630 U KR 2019980008630U KR 19980008630 U KR19980008630 U KR 19980008630U KR 200212118 Y1 KR200212118 Y1 KR 200212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air
duct
air
supply duc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673U (ko
Inventor
최용성
전재명
Original Assignee
전재명
최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명, 최용성 filed Critical 전재명
Priority to KR2019980008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118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118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기공급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 외기공급덕트는 양단면이 개방된 함체로써 실내와 실내를 연통되게 설치되는 덕트본체와, 상기 덕트본체의 양단면에 각각 장착되어 유입되는 외기의 풍향조절 하기 위한 풍향조절 블레이드와, 상기 덕트본체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외기를 송풍하기 위한 외기송풍팬을 구비하는 외기공급덕트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덕트는 가열또는 냉각된 외기를 실내로 송풍하는 복수개의 내온송풍팬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 본체의 내부 양측에 외기 유통로가 형성되도록 덕트본체와 동일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냉온덕트와; 상기 냉온덕트의 일단부 또는 내측 둥간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하는 냉난방수단과; 상기 외기 및 냉온송풍팬 및 냉난방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기공급덕트
본 고안은 외기공급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 등의 구이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각 화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흡기덕트가 설치된 고기구이 식당업소에 있어서 계절에 따라 외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켜 흡기덕트에 의해 흡기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양만큼 외기를 실내로 공급시킴으로써 계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내의 냉난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외기공급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구이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내에는 식탁상에 고기를 굽기위한 화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화기 상측에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신속하게 흡기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한 다수개의 흡기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흡기덕트는 강한 흡입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흡기팬을 구비하고 있으며, 실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흡기덕트에 의해 흡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의 공기만큼의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공급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외기공급덕트는 양단부가 개방된 함체로써 일단부측에 외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이 내장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조절 블레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외기공급덕트는 상기 흡기덕트를 가동시켜 실내의 연기 및 냄새를 외부 배출시킬 때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흡기덕트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 실내공기를 보충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외기공급덕트는 송풍팬을 구동시켜 외기를 직접 실내로 공급하기 때문에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차가운 외기를 실내에 공급시킴으로써 실내온도를 급격히 강하시킬 뿐만 아니라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더운 외기를 실내로 공급시켜 실내온도를 급격히 상승시켜 실내의 냉난방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겨울이나 여름철 또는 실내온도에 따라 외기가 가열 또는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 신선한 외기를 충분히 공급하는 동시에 계절에 따라 적절한 실내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외기공급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외기공급덕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절취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기공급덕트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박스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예시하는 도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기공급덕트 11: 덕트본체
12: 풍향조절 블레이드 14, 15: 외기송풍팬
20: 냉온덕트 21: 히터
21a: 관 21b: 가열핀
21c: 안전스위치 22: 냉각기
22a: 방열박스 23, 24: 냉온송풍팬
30: 제어박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단면이 개방된 함체로써 실내와 실내를 연통되게 설치되는 덕트본체와, 상기 덕트본체의 양단면에 각각 장착되어 유입되는 외기의 풍향조절 하기 위한 풍향조절 블레이드와, 상기 덕트본체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외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을 구비하는 외기공급덕트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덕트는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실내로 송풍하는 복수개의 냉온송풍팬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본체의 내부 양측에 외기유통로가 형성되도록 덕트본체와 동일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냉온덕트와; 상기 냉온덕트의 일단부 또는 내측 중간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하는 냉난방수단과; 상기 외기 및 냉온송풍팬 및 냉난방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공급덕트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기공급덕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외기공급덕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절취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기공급덕트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박스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예시하는 도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외기공급덕트(10)는 개략적으로 덕트본체(11)와, 냉온덕트(20)와, 제어박스(30)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본체(11)는 양단부가 개방된 소정크기의 함체로써 양단부에 각각 풍향조절 블레이드(12)가 장착되고, 상기 풍향조절 블레이드(12)가 장착되어 있는 내단부 내측 양측에 각각 외기송풍팬(14)(15)가 고정설치 된다.
상기 냉온덕트(20)는 양단부가 개방된 함체로써 상기 덕트본체(11)의 내부 양측에 외기유통로(16)(17)가 형성되도록 덕트본체(11)과 동일방향으로 내장되며, 냉난방수단과 복수개의 냉온송풍팬(23)(24)을 구비한다.
상기 냉난방수단은 히터(21) 또는 냉각기(22)로써 히터(21)와 냉각기(22)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두개가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21)는 내부에 열선을 내장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가열핀(21b)이 형성된 다수개의 관(21a)으로 구성되며, 히터(21)의 가열에 의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스위치(21c)를 구비하고, 냉온덕트(20)의 일단부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 안전스위치(21c)는 바이메탈 또는 마그네틱 스위치로써 히터(21)의 가동시 히터(21)의 온도가 안전온도이상으로 상승할 때에는 히터(21)의 전원을 차단하여 OFF시키고, 안전온도 이하일 때 전원을 연결하여 ON시킴으로써 히터(21)가 가동되도록 한다.
상기 냉각기(22)는 일반적으로 냉장고등에 적용되는 냉각기로써 냉매가 순환되도록 방열박스(22a)와 연결파이프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냉온덕트(20)의 내측 중간부에 장착된다.
상기 방열박스(22a)는 방열판과 응축기(표지되지 않음)를 내장하고 외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냉각기(22)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냉각하고 응축하여 냉각기(22)로 공급한다.
상기 복수개의 냉온송풍팬(23)(24)은 상기 냉온덕트(20)의 타단부 내측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냉온덕트(20)는 상기 히터(21)와 냉온송풍팬(23)(24) 또는 상기 냉각기(22)와 냉온송풍기(23)(24)만을 구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박스(30)는 전원스위치, 전환스위치, 송풍팬ON/OFF스위치, 온도조절기 및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송풍팬(14)(15), 냉난방수단, 방열박스(22a) 및 냉온송풍팬(23)(24)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작동을 제저한다.
즉, 전원스위치를 ON시킨 후 전환스위치를 냉방으로 전환하면, 상기 방열박스(22a)내의 응축기가 구동되어 냉매가 순환되어 냉각이 실시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냉온송풍팬(23)(24)이 구동되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고, 전환스위치를 난방으로 전환하면, 냉각기(22)의 냉각은 정지되고 상기 히터(21)가 가동되어 외기를 가열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냉온송풍팬(23)(24)이 구동되어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ON/OFF스위치를 ON/OFF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외기송풍팬(14)(15)이 가동/가동중지 되면서 상기 덕트본체(11)내의 외기유동로(16)(17)를 통하여 가열 또는 냉각되지 않은 외기를 직접 실내로 공급시켜 실내온도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고기구이 식당업소에서 흡기덕트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 실내공기를 외기로 보충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외기공급덕트를 계절에 따라 외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켜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실내온도를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양단면이 개방된 함체로써 실내를 연통되게 설치되는 덕트본체와, 상기 덕트본체의 양단면에 각각 장착되어 유입되는 외기의 풍향조절 하기 위한 풍향조절 블레이드와, 상기 덕트본체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외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을 구비하는 외기공급덕트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덕트(10)는 가열 또는 냉각된 외기를 실내로 송풍하는 복수개의 냉온송풍팬(23)(24)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본체(11)의 내부 양측에 외기 유통로가 형성되도록 덕트본체(11)와 동일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냉온덕트(20)와; 상기 냉온덕트(20)의 일단부 또는 내측 중간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또는 냉각하는 냉난방수단과; 상기 외기 및 냉온송풍팬(14)(15)(23)(24) 및 냉난방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박스(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공급덕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수단은 소정크기를 갖고 양단면부가 개방된 함체로써 일단부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공급덕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수단은 외기공급덕트(10)의 내측 중간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하는 냉각기(22)이며; 상기 외기공급덕트(10)는 상기 냉각기(22)와 순환되게 연결되어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과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갖고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박스(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방열박스(22a)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공급덕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21)는 내부에 열선이 내장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가열핀(21b)을 갖는 다수개의 관(21a)으로 구성되며; 히터(21)가 안전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때 온도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스위치(21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공급덕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30)는 상기 냉난방수단을 ON시켰을때 상기 냉난방수단과 복수개의 냉온송풍팬(23)(24)이 동시에 작동되고, 외기송풍팬(14)(15)은 개별적으로 ON/OFF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공급덕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수단은 히터(21)와 냉각기(22)이며; 상기 외기공급덕트(10)는 상기 냉각기(22)와 순환되게 연결되어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과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갖고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박스(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방열박스(22a)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공급덕트.
KR2019980008630U 1998-05-23 1998-05-23 외기공급덕트 KR200212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30U KR200212118Y1 (ko) 1998-05-23 1998-05-23 외기공급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30U KR200212118Y1 (ko) 1998-05-23 1998-05-23 외기공급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73U KR19990041673U (ko) 1999-12-27
KR200212118Y1 true KR200212118Y1 (ko) 2001-11-22

Family

ID=6951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630U KR200212118Y1 (ko) 1998-05-23 1998-05-23 외기공급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1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821B1 (ko) * 2016-09-01 2019-02-15 파나스(주) 클린룸 공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821B1 (ko) * 2016-09-01 2019-02-15 파나스(주) 클린룸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73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8257T3 (es) Ventilador y acondicionador de aire.
WO2021233458A1 (zh) 厨房空调一体机
JP2007240135A (ja) 蓄熱蓄冷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利用した温風・冷風連続送風装置
KR200212118Y1 (ko) 외기공급덕트
CN115218278B (zh) 导风组件及空调器
CN111692679A (zh) 厨房空调一体机
JP2006162173A (ja) 空気調和機
CN209744606U (zh) 厨房空调一体机
JP2005180768A (ja) 温度調整システム
CN111692680A (zh) 厨房空调一体机
KR100431135B1 (ko) 냉방 및 난방 기능을 갖는 선풍기
KR100437025B1 (ko)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JP2780930B2 (ja) 外気処理設備
KR200307345Y1 (ko) 하부토출 전기난방용 자립형냉난방기
KR0136199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장치
JPH0350191B2 (ko)
KR100274988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313421B1 (ko) 패키지 에어콘용 실내기
KR100546658B1 (ko) 공조시스템
KR200307342Y1 (ko) 하부토출 가스난방용 자립형냉난방기
KR200312232Y1 (ko) 하부토출 오일난방용 자립형냉난방기
KR20220152817A (ko) 독립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창문형 에어컨 냉장고
KR200263461Y1 (ko) 제어부 지지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KR20000002229U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71606Y1 (ko) 냉온풍기용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