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687Y1 - 이쑤시개 - Google Patents

이쑤시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687Y1
KR200211687Y1 KR20000023998U KR20000023998U KR200211687Y1 KR 200211687 Y1 KR200211687 Y1 KR 200211687Y1 KR 20000023998 U KR20000023998 U KR 20000023998U KR 20000023998 U KR20000023998 U KR 20000023998U KR 200211687 Y1 KR200211687 Y1 KR 200211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ick
teeth
present
food
th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23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호
Original Assignee
유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호 filed Critical 유광호
Priority to KR20000023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격이 넓게 혹은 좁게 형성된 치아의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쑤시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소정 길이를 갖으며 중앙에서 어느 일측 부위로는 좁은 치아 틈새의 진입을 가능하게 끝부위를 향하여 뾰족하게 첨예(尖銳)한 단부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 부위로는 넓은 치아의 틈새에 사용가능하며 그 끝부위를 향하여 좁게된 둥근단부가 형성된 박판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체의 양표면에는 요철을 이루는 엠보싱부가 더 형성되며,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 부위의 양표면에는 엠보싱부가 그리고 타측부위의 양면에는 어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기들이 더 형성되며, 본 고안의 이쑤시개는 박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혹은 좁게 형성되어 있어도 하나의 몸체에 첨예한 단부와 둥근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의 간격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치아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박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이쑤시개{A toothpick}
본 고안은 이쑤시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격이 넓게 혹은 좁게 형성된 치아의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 이쑤시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쑤시개의 형상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원통형으로 형성된 나무재질의 몸체(10a)와, 상기 몸체(10a)의 양측에는 치아(2)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그 양측이 날카롭게 뾰족부(10b)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쑤시개(1)는 치아(2) 사이가 좁은 경우에는, 치아(2)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는데 이는 이쑤시개(1)가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길이 만큼만 들어가고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되어 음식물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였고, 또한 이쑤시개(1)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사용하면 치아(2)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나무 재질로 된 이쑤시개(1)는 치아(2) 사이의 음식물을 제거하다 이쑤시개(1)가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쑤시개(1)를 사용하고 음식물에 넣을 경우 이를 돼지, 개 등의 동물들이 음식물을 섭취하다 치명적인 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된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에 섞이면 녹아버리는 전분 재질로 원통형 형상의 몸체(20a)와, 상기 몸체(20a)의 일측에는 치아(2)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날카로운 원뿔 형상으로 뾰족부(20b)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손잡이(20b)를 형성하였다.
음식물에 섞였을 때에는 음식물의 수분에 의해 녹아버리므로 동물들이 이를 섭취하여도 치명적인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전분으로 형성된 이쑤시개(1)는 치아(2)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데 그 이유는 사람의 입속에 있는 침에 의해 전분 성분이 녹아 이쑤시개(1)의 뾰족부(20b)가 뭉개지기 때문에 치아(2)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는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치석 및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재사용이 가능한 이쑤시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는 소정 길이를 갖으며 중앙에서 어느 일측 부위로는 좁은 치아 틈새의 진입을 가능하게 끝부위를 향하여 뾰족하게 되는 첨예(尖銳)한 단부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 부위로는 넓은 치아의 틈새에 사용 가능하게 그 끝부위를 향하여 좁게된 둥근단부가 형성된 박판상의 이쑤시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체의 양표면에는 요철을 이루는 엠보싱부가 더 형성되며,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 부위의 양표면에는 엠보싱부가 그리고 타측부위의 양면에는 어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기들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좁게 또는 넓게 형성된 치아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의 사용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이쑤시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이쑤시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쑤시개 2 : 치아
10a, 10b, 100 : 몸체 11a, 11a뾰족부
12 : 손잡이 110 : 첨예(尖銳)한 단부
111 : 요철 120 : 둥근단부
130 : 엠보싱부 131 : 요철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의 사용상태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의 사용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1)는 박판상으로 형성된 몸체(10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단은 치아(2) 사이의 간격이 좁을 때 그 사이로 진입 가능하게 끝부위를 향하여 뾰족하게 되는 첨예(尖銳)한 단부(110)로 형성하며, 상기 몸체(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타측단에는 치아(2) 사이의 간격이 넓을 때 사용 가능하도록 끝부위를 향하여 좁게 되는 둥근단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첨예한 단부(110)에는 표면에 어느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기(111)가 형성된다.
상기 첨예한 단부(110)의 타측에는 치아(2)에 끼인 음식물, 치석 및 그 외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둥근단부(130)의 표면에 엠보싱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엠보싱부(130)는 요철(13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엠보싱부(130)의 형상은 요철(131)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치아(2)사이에 끼인 음식물, 치석 및 그 외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어떠한 것이든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로써,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는 어느 일측은 그 중앙으로부터 그 끝부위를 향하여 좁게 형성되며, 타측은 중앙으로부터 그 끝부위를 향하여 동일하게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그 전체적인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몸체(100)를 이루고 있다.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뾰족하게 첨예한 단부(110)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어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기(111)가 형성되고, 타측은 둥근단부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요철(131)이 형성된 엠보싱부(13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100)의 첨예한 단부(110)를 이용하여 치아(2)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몸체(100)의 둥근단부(120)를 손으로 잡고 몸체(100)의 첨예한 단부(110)를 사용자의 입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치아(2) 사이에 살짝 끼워 입의 상하 방향쪽으로 움직이면 치아(2) 사이에 끼인 음식물이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도 빠져 나오지 않을 때에는 몸체(100)가 박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2) 사이에 끼워지므로 상기와 같이 몸체(100)의 돌기(111)가 형성된 부위를 치아(2) 사이로 밀어 넣었다 당겼다하면 상기 돌기(111)에 의해 치아(2) 사이에 끼인 음식물이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치아(2)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100) 일측에 형성된 둥근단부(120)를 이용하여 치아(2)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데, 이를 살펴보면 몸체(100)의 첨예한 단부(110)를 손으로 잡고 둥근단부(120) 부분이 치아(2)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키면 상기 둥근단부(120)에 형성된 엠보싱부(130)의 요철(131)에 음식물, 치석 또는 그 외의 이물질이 걸리게 되어 치아(2) 사이에서 이탈되므로 건강한 상태의 치아(2)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쑤시개는 박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혹은 좁게 형성되어 있어도 하나의 몸체에 첨예한 단부와 둥근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의 간격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치아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박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이쑤시개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갖으며 중앙에서 어느 일측 부위로는 좁은 치아 틈새의 진입을 가능하게 끝부위를 향하여 뾰족하게 되는 첨예(尖銳)한 단부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 부위로는 넓은 치아의 틈새에 사용가능하며 그 끝부위를 향하여 좁게된 둥근단부가 형성된 박판상의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표면에는 요철을 이루는 엠보싱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 부위의 양표면에는 엠보싱부가 그리고 타측부위의 양면에는 어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돌기들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쑤시개.
KR20000023998U 2000-08-24 2000-08-24 이쑤시개 KR200211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3998U KR200211687Y1 (ko) 2000-08-24 2000-08-24 이쑤시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3998U KR200211687Y1 (ko) 2000-08-24 2000-08-24 이쑤시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687Y1 true KR200211687Y1 (ko) 2001-01-15

Family

ID=4171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23998U KR200211687Y1 (ko) 2000-08-24 2000-08-24 이쑤시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6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6692A2 (ko) * 2008-01-29 2009-08-06 이쑤시개
WO2010064808A2 (ko) * 2008-12-05 2010-06-10 Lee Heejae 스케일링 기능을 가지는 이쑤시개
KR200458375Y1 (ko) * 2009-04-23 2012-02-15 김만하 치실을 포함하는 이쑤시개
KR101479493B1 (ko) * 2013-09-06 2015-01-08 박득인 박판형 이쑤시개
KR20160123126A (ko) 2015-04-15 2016-10-25 김주빈 이쑤시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6692A2 (ko) * 2008-01-29 2009-08-06 이쑤시개
WO2009096692A3 (ko) * 2008-01-29 2009-10-15 Choi Jeung Joon 이쑤시개
WO2010064808A2 (ko) * 2008-12-05 2010-06-10 Lee Heejae 스케일링 기능을 가지는 이쑤시개
WO2010064808A3 (ko) * 2008-12-05 2010-10-14 Lee Heejae 스케일링 기능을 가지는 이쑤시개
KR200458375Y1 (ko) * 2009-04-23 2012-02-15 김만하 치실을 포함하는 이쑤시개
KR101479493B1 (ko) * 2013-09-06 2015-01-08 박득인 박판형 이쑤시개
KR20160123126A (ko) 2015-04-15 2016-10-25 김주빈 이쑤시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452A (en) Tooth cleansing and flossing implement and method
US20040040572A1 (en) Tongue scraper/dental flosser
EP1065989B1 (en) Prefabricated dental floss device
KR200211687Y1 (ko) 이쑤시개
KR200458375Y1 (ko) 치실을 포함하는 이쑤시개
JPS60501642A (ja) つまようじ
KR100509324B1 (ko) 치간 청소구
KR200452558Y1 (ko) 이쑤시개
JPH0341699Y2 (ko)
KR200233785Y1 (ko) 브러시가 구비된 이쑤시개
KR200430820Y1 (ko) 음식물 찌꺼기 배출이 용이한 이쑤시개
KR101612349B1 (ko) 다기능 이쑤시개
KR880000066Y1 (ko) 합성수지 이쑤시개
KR200196045Y1 (ko) 이쑤시개
KR970003603Y1 (ko) 휴대용 이쑤시개
KR200295084Y1 (ko) 1회용 이쑤시개
JP2565069Y2 (ja) つまようじ
KR200235879Y1 (ko) 이쑤시개
KR200292978Y1 (ko) 치간 청소구
KR200158994Y1 (ko) 이쑤시개
AU710848B2 (en) Toothpick
KR200278333Y1 (ko) 치석제거기
KR101479493B1 (ko) 박판형 이쑤시개
KR200145979Y1 (ko) 끝이 판형으로 된 이쑤시개
KR200369271Y1 (ko) 일회용 이쑤시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