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517Y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517Y1
KR200211517Y1 KR2020000023856U KR20000023856U KR200211517Y1 KR 200211517 Y1 KR200211517 Y1 KR 200211517Y1 KR 2020000023856 U KR2020000023856 U KR 2020000023856U KR 20000023856 U KR20000023856 U KR 20000023856U KR 200211517 Y1 KR200211517 Y1 KR 200211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xing plate
heat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권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3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17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대향하는 두개의 상하판유리로 구성된 패널(10)에 고정판(20)이 직접 접착고정되고, 상기 고정판(20)의 후방에 복수개의 핀(31)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방열판(30)이 고정부착되며, 상기 고정판(20)의 후방에 회로기판(40)이 포스트(50)를 매개로 고정설치되어,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극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고온으로 인한 패널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Radiating structure of plasma display panel }
본 고안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에 관한 것으로, 특히 PDP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는 아주 높은 온도에서 기체분자가 전자와 이온으로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중성을 이루려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은 차세대 벽걸이형 텔레비전으로서 상하판유리로 구성된 2개의 유리 대향면에 전극을 만들고 그 사이에 방전 기체를 넣고 방전시키게 되면 방전공간에는 플라즈마가 형성되며, 이에 방전된 진공자외선으로 삼색의 형광체를 발광시켜 영상을 재현시키는 평판디스플레이어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상태의 기체를 이용하게 되고, 기체가 플라즈마상태가 되게 하기 위해 방전을 통해 기체를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므로,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는 대향하는 두개의 상하판유리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서 영상이 재현되는 패널(110)과, 상기 패널(110)에 복수개의 고정바(121)를 매개로 고정설치되어 패널(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에 포스트(150)를 매개로 고정부착되는 회로판(14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패널(110)은 유리로 되고 열이 발생하므로, 고정판(120)을 패널(11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일자형의 고정바(121)의 일측에 패널(110)을 접착시키고, 다시 고정바(121)의 다른 일측에 고정판(120)을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로판(140)을 상기 고정판(120)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고온의 방전으로 인해 패널(110)에 발생하는 열을 패널(110)과 고정판(120)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적극적으로 열을 방출시키지 못하여 패널(110)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극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향하는 두개의 상하판유리로 구성된 패널에 고정판이 직접 접착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복수개의 핀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방열판이 고정부착되며,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회로기판이 포스트를 매개로 고정설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이 고정판에 직접 전달되고, 다시 방열판에 직접 전달되어 열전달율을 높임으로써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 20 : 고정판
30 : 방열판 31 : 핀
40 : 회로기판 50 : 포스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한 본 고안은, 대향하는 두개의 상하판유리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서 기체가 방전되는 패널(10)에 고정판(20)이 직접 접착고정되고, 상기 고정판(20)의 후방에 복수개의 핀(31)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방열판(30)이 고정부착되며, 상기 고정판(20)의 후방에 회로기판(40)이 방열판(3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포스트(50)를 매개로 고정설치된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특징은, 패널(10)에 고정판(20)이 직접 접착고정되고 그 고정판(20)의 후방에 방열판(30)이 접착고정된 것에 있는 바,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을 고정판(20)을 통해 방열판(30)에 전달하여 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패널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판(20)은 상기 패널(10)이 유리재질로 되어 있어 패널(10)에 접착재로 고정부착되는 것으로, 패널(10)의 후면과 면접촉을 하게 되므로 상기 패널(10)에서 발생하는 열이 고정판(20)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0)에는 패널(10)의 전체후면이 직접 고정부착되므로, 유리의 재질로 되어 고정이 용이하지 않은 패널(10)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판(20)과 패널(10)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하지 않고, 고정판(20)이 패널(10)의 가장자리를 물어 잡아 고정할 경우에는 고정판(20)과 패널(10)이 직접 면접촉을 할 수 있어 접착제에 의해 열전달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패널(10)에서 발생하는 열이 고정판(20)을 통해 방열판(30)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방열판(3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핀(31)이 돌출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판(20)의 후방의 중앙에 직접 고정부착되어 공기와의 접촉면을 크게 함으로써 좁은 공간내에서 열의 방출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핀(31)은 좁은 공간에서 최대한의 접촉면적을 형성하기 위해 얇은 박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로기판(40)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돌출된 것이다.
상기 고정판(20)의 경우 패널(10)이 유리로 되어 그 패널(10)과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과는 달리, 방열판(30)은 볼트체결과 같은 다른 결합수단을 사용함으로써 고정판(20)과 방열판(30)이 이물질을 매개로 하지 않고 서로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으므로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40)은 상기 고정판(20)의 후방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회로기판(40)과 고정판(20)의 사이에는 방열판(30)이 회로기판(4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로기판(40)은 상기 고정판(20)의 후방에 설치되되, 방열판(30)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포스트(50)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포스트(50)는 회로기판(40)과 고정판(20)의 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회로기판(40)을 고정판(20)에 고정시키되, 상기 방열판(3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설치되도록 방열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에 의하면,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극적으로 방출시킴으로써 고온으로 인한 패널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향하는 두개의 상하판유리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서 기체가 방전되는 패널(10)에 고정판(20)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판(20)의 후방에 회로기판(40)이 포스트(50)를 매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0)의 일측면은 패널(10)에 직접 접착고정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핀(31)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방열판(30)이 고정부착되어 패널(10)에서 발생하는 열을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방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KR2020000023856U 2000-08-23 2000-08-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KR200211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56U KR200211517Y1 (ko) 2000-08-23 2000-08-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56U KR200211517Y1 (ko) 2000-08-23 2000-08-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17Y1 true KR200211517Y1 (ko) 2001-01-15

Family

ID=7305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856U KR200211517Y1 (ko) 2000-08-23 2000-08-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1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202A (ko) * 2002-01-31 2003-08-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프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젼용 히트 스프레더
KR100418032B1 (ko) * 2001-05-11 200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92039B1 (ko) 2006-02-23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KR100696822B1 (ko) * 2005-05-18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5857B1 (ko) 2006-01-16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열부를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032B1 (ko) * 2001-05-11 200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30065202A (ko) * 2002-01-31 2003-08-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프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젼용 히트 스프레더
KR100696822B1 (ko) * 2005-05-18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5857B1 (ko) 2006-01-16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열부를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
KR100692039B1 (ko) 2006-02-23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7859B2 (en) Heat radiating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365987B2 (en) Structure for heat dissipation of integrated circuit chip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05818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63049B1 (ko) 단열 수단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817425B2 (en) Dissipating apparatus for integrated circuit chip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06012428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JP2002314900A (ja) フラットスクリーンを取付け冷却する装置
JP200631790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211517Y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KR1006964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92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23902B1 (ko) 피디피 세트의 방열판 구조
JP200915723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301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의 집적회로칩 방열 구조 및 이를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287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0552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구조
KR1006476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13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3952B1 (ko) 플라즈마 표시패널 조립체
KR1006837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4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0464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0610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9941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피씨비 방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