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180Y1 - 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 Google Patents

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180Y1
KR200211180Y1 KR2020000023898U KR20000023898U KR200211180Y1 KR 200211180 Y1 KR200211180 Y1 KR 200211180Y1 KR 2020000023898 U KR2020000023898 U KR 2020000023898U KR 20000023898 U KR20000023898 U KR 20000023898U KR 200211180 Y1 KR200211180 Y1 KR 200211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abled
inclination
present
vertic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8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2020000023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18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180Y1/en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본 고안은 피 고정물인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를 유지하는 한 쌍의 수직 바; 상기 수직 바의 상측에 기울기를 유지하며 대향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 일 측의 수직 바 측과 타 측의 수직 바 측을 연결하도록 일 측의 상기 프레임에서 타 측의 프레임까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연장 설치된 손잡이; 및 상기 프레임의 양 내측 면에 그 양단부가 축설되며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와 상응하는 기울기를 갖는 다수개의 롤러가 배열된 것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vertical bars fixed to the ground to be fixed and maintaining different heights; A pair of frames facing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n inclination on an upper side of the vertical bar; A handle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from the frame of one side to the frame of the other side so as to connect the vertical bar side of one side and the vertical bar side of the other side; And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at both inner sides of the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rollers having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rame.

따라서, 목발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이 쉽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using crutches and wheelchairs can easily walk.

Description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Walking apparatus for the disabled {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본 고안은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발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이 쉽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that can easily walk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using crutches and wheelchairs.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헬스센터 또는 둔치 및 공원 등 야외에 설치된 간이 운동시설물들은 역도기구 및 웨스트 트위스트 머신, 조깅머신 그리고 철봉과 평행봉 등 다양한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As is generally known, outdoor fitness facilities such as a health center or a Dunchi and a park are equipped with weight lifting equipment, a west twist machine, a jogging machine, and various exercise equipment such as iron bars and parallel bar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들은 신체가 모두 정상인 일반인들의 체형에 맞도록 제작된 운동기구로서, 실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 장애인 및 재활치료자 등은 그와 같은 운동기구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exercise equipments are designed to fit the body shape of the normal people all normal body, disabled people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who need to continue the actual exercise, such a problem that can not use such exercise equipments efficiently there was.

한편 최근에는 장애인들이 사회적으로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일반인들과 동일한 인격체로서 건전한 사회생활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 및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social interest of the disabled has been concentrated and heightened so that the disabled can live a healthy social life as the same person as the public without feeling alienated.

또 그와 같은 일 예로 각종 공공시설물들을 장애인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계단대신 휠체어 전용 길을 구축하거나,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리프트를 이용하여 많은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가장 장애인들에게 관심을 부여해야 하는 체육시설 및 재활용 운동시설은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무관심하였던 것이 사회적인 현실의 모순이었다.For example, in order to make it eas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use various public facilities, for example, a wheelchair-only road is provided instead of a staircase, or a wheelchair is provided with a facility to climb up and down a large number of stairs using a lift. It is a trend, but the contradiction of the social reality that the sports facilities and recycling sports facilities that should pay the most attention to the handicapped people were indifferent enough to be found anywhere in the country.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종래와 같이 장애인들의 신체적인 어려움을 충분히 배려할 수 없었던 사회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목발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이 쉽게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that could not fully consider the physical difficulties of the disabled as in the prior art, disabled people using crutches and wheelchairs and rehabilitation It is to provide a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that therapists can easily exercise the legs.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장애인들이 신체적으로 부자유스러울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장애인들에 대해 혐오감과 열등감을 부여하지 않으면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that can be easily used without giving a sense of aversion and inferiority for the disabled in view of the problem that the disabled can not be physically inconvenient.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장애인들이 신체적으로 결함이 있다는 것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장애인들의 자격지심과 열등의식 그리고 자존심을 배제시킬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which can exclude the qualification, inferiority and self-esteem of the disabled without exposing the disabled to physically defective.

특히,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장애인들의 신체적 결함을 고려하여 안전이 전제된 상태에서 충분히 운동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particular, 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that can fully exercise in the premise of safety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defects of the disabl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수직 바 20;프레임10; vertical bar 20; frame

30;손잡이 40;롤러30; handle 40; roll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피 고정물인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를 유지하는 한 쌍의 수직 바; 상기 수직 바의 상측에 기울기를 유지하며 대향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 일 측의 수직 바 측과 타 측의 수직 바 측을 연결하도록 일 측의 상기 프레임에서 타 측의 프레임까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연장 설치된 손잡이; 및 상기 프레임의 양 내측 면에 그 양단부가 축설되며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와 상응하는 기울기를 갖는 다수개의 롤러가 배열된 것을 포함하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vertical bars that are fixed to the ground to be fixed and maintain different heights; A pair of frames facing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n inclination on an upper side of the vertical bar; A handle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from the frame of one side to the frame of the other side so as to connect the vertical bar side of one side and the vertical bar side of the other side; And both ends of the frame are arranged on both inner surfaces thereof, and a plurality of rollers having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rame are arranged.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ttache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는, 피 고정물인 지면(또는 콘트리트)에 일부 매입된 상태에서 고정 설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를 유지하는 한 쌍의 수직 바(10)를 갖는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lking exercise device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vertical bars 10 fixedly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partially embedded in the ground (or concrete) to be fixed and maintaining different heights.

물론, 상기 수직 바(10)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하단부는 지면 등에 일부 매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지만, 도면표현을 별도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피 고정물에 대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Of course, the vertical bar 10 is preferably made of metal, the lower end may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partially embedded in the ground, but the representation is fixed to the fixture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eparate bolt Can be.

상기 수직 바(10)의 상측에는 높이차를 갖는 그 수직 바(10)와 동일한 기울기(θ)를 유지하며 대향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20)이 구비된다.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bar 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ames 20 facing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the same inclination θ as the vertical bar 10 having a height difference.

또 일 측의 수직 바(10) 측과 타 측의 수직 바(10) 측을 연결하도록 일 측의 상기 프레임(20)에서 타 측의 프레임(20)까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손잡이(30)가 연장 설치된다.In addition, the handle 30 maintains a constant height from the frame 20 on one side to the frame 20 on the other side so as to connect the side of the vertical bar 10 on one side and the vertical bar 10 on the other side. Extension is installed.

상기 손잡이(30) 중 일측은 개방되어 출입구의 기능을 하며, 타측은 폐쇄되어 안전 바의 기능을 한다.One side of the handle 30 is opened to function as the doorway, the other side is closed to function as a safety bar.

물론, 상기 손잡이(30)와 손잡이(30)사이의 폭(l)은 아동 및 성인의 취향 그리고 평균신장을 고려하여 후술하는 양팔로 파지했을 경우 너무 좁거나 넓지 않게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것이다.Of course, the width l between the handle 30 and the handle 3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so as not to be too narrow or wide when gripped with both arms to be described below in consideration of the taste and average height of children and adults.

한편,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부는 상기 프레임(20)의 양 내측 면에 그 양단부가 축설되며 상기 프레임(20)의 기울기(θ)와 상응하는 기울기(θ)를 갖는 다수개의 롤러(40)가 배열된다.On the other hand, the bigge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plurality of rollers 40 having both ends are arrang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frame 20 and having an inclination θ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θ of the frame 20. Are arranged.

상기 기울기(θ)는 안전을 고려하여 지표면에서 각도가 약 5°∼30°의 범위 내에 속하는 정도의 기울기(θ)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sideration of safety, the inclination θ is preferably maintained at an inclination θ such that the angle falls within the range of about 5 ° to 30 ° on the ground surface.

상기 롤러(40)는 간격이 일정하게 설치되었으며 도면부호 표시를 생략한 다수개의 너트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roller 40 is provided with a constant interval and is detachably provided by a plurality of nuts omitting the reference numeral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동작에 대해 설명한다.It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처음, 본 고안을 사용할 때에는 목발 또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은 동행인의 도움을 받아 양측의 손잡이(30)를 잡은 상태에서 롤러(40)의 상측으로 이동할 것이다.Initially, 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using crutches or wheelchairs will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roller 40 while holding the handles 30 on both sides with the help of a companion.

또 그와 같이 이동한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은 대략적인 중간부위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손잡이(40)를 꼭 잡은 상태에서 발만 번갈아 가며 교환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mov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replaced by alternating only the feet while holding the handle 40 as shown in FIG.

이때 본 고안에서의 특징부인 상기 롤러(40)는 안전사고에 대한 반사동작이 다소 느릴 수 있는 장애인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도가 약 5°∼30°정도의 범위 내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의 기울기를 갖고 있으므로, 롤링되는 롤러(40)에 의해 피 사용자가 안전사고의 발생에 대한 우려의 문제점은 배제한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ller 40,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in a state in which an angle is maintained in an angle of about 5 ° to 30 °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hich may be somewhat slow in reflection of safety accidents. Since the roller 40 is rolled, the user can exercise in the state where the problem of the concern abou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s excluded.

따라서, 상기 롤러(40)는 프레임(20)에 대해 기울기(θ)를 유지하며 설치된 구조에 의해 운동자의 신발과 접촉되는 롤러(40)는 회전함과 동시에 운동자는 롤러(40)가 회전된 만큼 앞으로 뒤로 이동되므로, 결국 앞으로 반복하여 전진하는 운동의 효과를 누리게 된다.Therefore, the roller 40 is installed while maintaining the inclination θ relative to the frame 20. The roller 40 is in contact with the shoe of the athlete by the structure rot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athlet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s much as the roller 40 is rotated, thereby enjoying the effect of the forward forward movement repeatedly.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이 큰 무리 없이 효과적으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를 꼭 잡은 상태에서 운동하게 되므로 팔 힘과 다리 힘을 길러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desig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can effectively walk without a large crowd, as well as exercise in the state holding the handle tightly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raise the arm strength and leg strength.

지금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Until now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not limited to thi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However, it is apparent that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

피 고정물인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를 유지하는 한 쌍의 수직 바;A pair of vertical bars fixed to the ground to be fixed and maintaining different heights; 상기 수직 바의 상측에 기울기(θ)를 유지하며 대향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A pair of frames facing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n inclination θ above the vertical bar; 일 측의 수직 바 측과 타 측의 수직 바 측을 연결하도록 일 측의 상기 프레임에서 타 측의 프레임까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연장 설치된 손잡이; 및A handle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from the frame of one side to the frame of the other side so as to connect the vertical bar side of one side and the vertical bar side of the other side; And 상기 프레임의 양 내측 면에 그 양단부가 축설되며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θ)와 상응하는 기울기(θ)를 갖는 다수개의 롤러가 배열된 것을 포함하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And a plurality of rollers having both ends thereof arrang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frame and having an inclination (θ)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θ) of the frame.
KR2020000023898U 2000-08-23 2000-08-23 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KR2002111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98U KR200211180Y1 (en) 2000-08-23 2000-08-23 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98U KR200211180Y1 (en) 2000-08-23 2000-08-23 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80Y1 true KR200211180Y1 (en) 2001-01-15

Family

ID=7305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898U KR200211180Y1 (en) 2000-08-23 2000-08-23 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18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isano et al.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cerebral palsy
JP3682981B2 (en) Physiotherapy equipment
US4418792A (en) Pool ladder
JP2009207858A (en) Wheelchair for self-reliant life locomotion support
KR100623417B1 (en) Device for helping walking for senior and patient who need remedial exercise
KR20180010838A (en) Training system for leg rehabilitation having saparated treadmil with ambulant staircase function
CN108079504B (en) Medical treatment is with independent recovered physiotherapy device of walking
CN208319835U (en) A kind of rehabilitation department leg exercises device
US7115071B1 (en) “Figure-eight” track,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ory-motor exercise
KR200211180Y1 (en) 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KR100942025B1 (en) Rehabilitation device for paraplegia patient
KR200210511Y1 (en) Exercise apparatus of arm for handicapped use
CN210331538U (en) Intelligent training staircase
KR200211685Y1 (en) Exercise apparatus of arm for handicapped use of wheelchair
KR102584397B1 (en) Elderly Pedestrain-friendly exercise equipment
KR100993942B1 (en) Staircase for obstacle person and children
KR200210509Y1 (en) 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KR200211181Y1 (en) Exercise apparatus of upper body for handicapped use
KR200211683Y1 (en) Exercise apparatus of arm for handicapped use of wheelchair
KR200210510Y1 (en) Exercise apparatus of whole body handicapped use
KR200210508Y1 (en) Exercise apparatus of leg for handicapped use
TW202041254A (en) Lower limb function improving apparatus
KR200386550Y1 (en) Stair for the old and weak persons
CN112932820B (en) Wheelchair for nursing
KR200368189Y1 (en) Apparatus for aiding movement of a wheel chair on the st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