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725Y1 -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 Google Patents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725Y1
KR200210725Y1 KR2020000023082U KR20000023082U KR200210725Y1 KR 200210725 Y1 KR200210725 Y1 KR 200210725Y1 KR 2020000023082 U KR2020000023082 U KR 2020000023082U KR 20000023082 U KR20000023082 U KR 20000023082U KR 200210725 Y1 KR200210725 Y1 KR 200210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top pin
support plate
stop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활
Original Assignee
박기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활 filed Critical 박기활
Priority to KR2020000023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725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화의 저면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운동화의 저면에 요함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지지판을 결합하며, 지지판에 고정된 회전축에 브라켓를 삽입하여 그 롤러가 절첩가능하게 결합하되, 지지판의 양측에 통공을 형성하여 이에 정지핀을 삽입하고, 전기한 지지판의 양측면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이에 전기한 정지핀의 양단이 삽입되게 하며, 전기한 회전축에는 스프링을 삽입하되, 그 일측 단부를 브라켓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고, 타단은 정지핀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정지핀이 스프링으로 탄지되게 결합구성한 롤러운동화에 있어서, 롤러를 절첩하여 삽입시 정지핀이 위치되는 통공상에 직선형의 장공을 연장형성하여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정지핀이 삽입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운동화로 사용중 롤러가 전개되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Roller-folding structure in roller atbletic shoes}
본 고안은 운동화의 저면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롤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의 전개 및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삽입시 롤러가 쉽게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스케이트는 주로 이동수단보다는 유희용 놀이구로서, 신발 또는 운동화의 저면에 다수의 회전 롤러를 결합형성한 것으로서, 이동성이 향상되면서도 속도감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롤러 스케이트는 신발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분리 및 분해가 용이치 못하므로 롤러 스케이트를 타기 위해서는 이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며, 롤러 스케이팅을 즐기고 난 후에는 이를 다시 보관하여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용신안등록 제175921호에 의해 신발의 저면에 롤러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안출되어, 평상시에는 신발의 용도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 그 저면의 롤러를 전개하여 보다 용이한 이동이 되게 함은 물론 롤러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안출된 바 있으나, 그 구조의 특성상 저면에 내입된 롤러의 전개 및 삽입 작용이 용이치 못하여 그 사용이 번거로울 분만 아니라, 이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부품에 유격이 발생하여 쉽게 고장나거나 파손의 위험이 있고, 전기한 롤러를 그 신발의 저면으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므로 손에 물건을 파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전개 및 삽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4225호와 같이, 운동화의 저면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된 롤러 운동화에 있어서, 그 롤러를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 및 그 회전축과, 브라켓에 삽입된 정지핀의 양단부가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양측에 삽입되게 하되, 전기한 정지핀을 회전축에 삽입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게 하므로서 그 스프링에 의해 절첩 및 전개시 롤러가 정지작용을 하게 하므로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한손으로도 롤러의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하여 보다 용이한 사용이 가능한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를 고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는 전개시 브라켓에 삽입되는 정지핀이 원호상의 통공 일측에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부분으로 이동되어 손으로 정지핀을 눌러 절첩시키지 않는 한 롤러의 사용중에는 절첩될 우려가 없으나, 요함부에 삽입하여 일반 운동화처럼 사용중에는 충격이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롤러가 전개되어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롤러의 전개와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롤러가 절첩되어 삽입된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없이는 쉽게 전개되지 않도록 구성하므로서, 운동화로 사용중 롤러가 전개되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롤러 절첩구조를 보인 저면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운동화의 저면 일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롤러의 절첩구조를 보인 일부확대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 롤러 정지수단의 작동설명도로서,
도 4a는 롤러 전개시의 상태도
도 4b는 롤러 절첩시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운동화 2 : 요함부
3 : 지지판 4 : 회전축
5 : 브라켓 6 : 롤러
10,10' : 통공 11 : 정지핀
12,12' : 통공 13 : 스프링
14 : 장공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롤러 절첩구조를 보인 저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측단면도로서 운동화의 저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운동화(1)의 저면에 요함부(2)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지지판(3)을 결합하며, 지지판(3)에 고정된 회전축(4)에 브라켓(5)를 삽입하여 그 롤러(5)가 절첩가능하게 결합하되, 지지판(3)의 양측에 통공(10)(10')을 형성하여 이에 정지핀(11)을 삽입하고, 전기한 지지판(3)의 양측면에는 통공(12)(12')을 형성하여 이에 전기한 정지핀(11)의 양단이 삽입되게 하며, 전기한 회전축(4)에는 스프링(13)을 삽입하되, 그 일측 단부를 브라켓(5)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고, 타단은 정지핀(11)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정지핀(11)이 스프링(13)으로 탄지되게 결합구성한 롤러운동화에 있어서,
롤러(5)를 절첩하여 삽입시 정지핀(11)이 위치되는 통공(12)(12')상에 직선형의 장공(14)을 연장형성하여 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해 정지핀(11)이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운동화(1)의 저면 양측에 형성된 요함부(2) 내에 절곡판상의 지지판(3)을 별도의 나사(도면에는 미도시함)에 의해 견고히 결합하며,
그 지지판(3)에는 선단에 롤러(6)가 장착된 브라켓(5)을 회전축(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것이다.
또한, 브라켓(5)의 단부 일측에는 통공(10)(10')을 형성하여 이에 전기한 회전축(4)과 평행상의 정지핀(11)을 삽입하는 것이다.
또한, 정지핀(11)의 단부는 지지판(3)의 양측에 형성된 통공(12)(1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통공(12)(12')내에는 정지핀(11)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롤러(6)의 회전량과 대비하여 통공(12)(12')은 정지핀(11)이 걸리지 않고 회전될 만한 크기를 갖고 있어야 하는 것이며, 롤러(6)의 회전에 따라 정지핀(11)의 단부는 그 통공(12)(1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또, 전기한 회전축(4)에는 스프링(13)을 삽입하되, 그 스프링(13)의 일단은 전기한 브라켓(5)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고, 타단은 전기한 정지핀(11)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그 탄발력이 정지핀(11)을 압압하는 탄지력으로 작용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지핀(11)은 지속적인 압압력을 받게 되므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전개시에는 그 정지핀(11)의 양단부가 ''형상의 통공(12)(12')의 일측에 삽입되면서 임의 절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롤러(6)를 전개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중이나 롤러(6)의 전진력에 의해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롤러 스케이팅을 즐기고 난후에는 그 정지핀(11)을 손으로 밀어 그 통공(12)(12')의 단부로부터 정지핀(11)이 빠지게 한 후, 롤러(6)를 압압하여 요함부(2)내로 절첩하면 롤러(6)의 돌출없이 평상의 운동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요함부(2)내에 절첩되어 삽입되어 있는 롤러(6)는 정지핀(11)의 양단부가 ''형상의 통공(12)(12')의 일단에 연장형성된 장공(14)에 스프링(13)의 탄발력으로 삽입되어진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정지핀(11)을 밀어 장공(14)으로부터 정지핀(11)을 강제로 이탈시키지 않는 한 롤러(6)가 전개되지 않는 것이다.
이렇게 절첩 및 전개작용에 무리가 없으면서도 한손으로 롤러(6)의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하므로 보다 용이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롤러(6)가 요함부(2)내에 절첩되어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쉽게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는 그 구조가 단순하며 한손으로도 전개 및 절첩이 가능하여 보다 용이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운동화로 사용시 절첩되어 있는 롤러가 쉽게 전개되어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운동화(1)의 저면에 요함부(2)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지지판(3)을 결합하며, 지지판(3)에 고정된 회전축(4)에 브라켓(5)를 삽입하여 그 롤러(5)가 절첩가능하게 결합하되, 지지판(3)의 양측에 통공(10)(10')을 형성하여 이에 정지핀(11)을 삽입하고, 전기한 지지판(3)의 양측면에는 통공(12)(12')을 형성하여 이에 전기한 정지핀(11)의 양단이 삽입되게 하며, 전기한 회전축(4)에는 스프링(13)을 삽입하되, 그 일측 단부를 브라켓(5)의 내부에 위치되게 하고, 타단은 정지핀(11)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정지핀(11)이 스프링(13)으로 탄지되게 결합구성한 롤러운동화에 있어서,
    롤러(5)를 절첩하여 삽입시 정지핀(11)이 위치되는 통공(12)(12')상에 직선형의 장공(14)을 연장형성하여 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해 정지핀(11)이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KR2020000023082U 2000-08-14 2000-08-14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KR200210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082U KR200210725Y1 (ko) 2000-08-14 2000-08-14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082U KR200210725Y1 (ko) 2000-08-14 2000-08-14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725Y1 true KR200210725Y1 (ko) 2001-01-15

Family

ID=7305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082U KR200210725Y1 (ko) 2000-08-14 2000-08-14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7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7952C (en) Shoe sole provided with spikes or hobnailed means
JP2009528879A (ja) 健康履物
US20020121749A1 (en) Roller skate shoes
EA022876B1 (ru) Подошва для обуви, имеющая поворотное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обувь, содержащая такую подошву
US2260057A (en) Collapsible ski
US6364322B1 (en) Wheel lock releaser arrangement for roller skate shoe
KR200210725Y1 (ko)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KR101899160B1 (ko) 골프백 지지 기구 및 관련된 방법
CN110270052B (zh) 一种折叠走步机
KR200201177Y1 (ko)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KR20010106085A (ko) 롤러운동화의 롤러 절첩구조
KR200276793Y1 (ko) 롤러 블레이드가 장착된 신발
KR20110024226A (ko) 전환가능한 보행/인라인 스케이팅 신발
KR200223943Y1 (ko) 롤러가 부착된 운동화
JP2005525838A (ja) スケート装置
KR200239280Y1 (ko) 벨트용 버클
KR200332078Y1 (ko) 보행식 차량장치
KR200171958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100572145B1 (ko) 바퀴 달린 신발용 바퀴 고정구
KR20080001769U (ko) 접이식 굽이 있는 신발
KR200364873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24901Y1 (ko) 로울러가 구비된 신발
KR200245117Y1 (ko) 절첩 가능한 바퀴를 갖는 스케이트
KR950001805Y1 (ko) 운동용 점핑 슈즈
KR200279484Y1 (ko) 회전다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