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328Y1 -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328Y1
KR200209328Y1 KR2020000016891U KR20000016891U KR200209328Y1 KR 200209328 Y1 KR200209328 Y1 KR 200209328Y1 KR 2020000016891 U KR2020000016891 U KR 2020000016891U KR 20000016891 U KR20000016891 U KR 20000016891U KR 200209328 Y1 KR200209328 Y1 KR 200209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ing
line
line lens
lens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효림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림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림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6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328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투명판과,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광고화면을 연출하는 라인렌즈와, 광고화면을 전면으로 투과시키는 투명판 또는 반투명판과, 복수 개의 광고화면이 라인형태로 인쇄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고필름과 광고필름을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라인렌즈의 라인과 광고화면의 라인을 일치시키는 동기장치와, 조명등 및 제어기로 구성한 것으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라인렌즈를 승강시키므로 광고화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형 광고장치의 제작이 가능하며, 라인렌즈의 전면에 위치하는 투명판를 이용하여 라인렌즈로 이물이 유입되는 현상과 성애발생을 방지하고 수밀을 유지시켜 옥외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Advertising device by line lens}
본 고안은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의 내부에 투명판과,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광고화면을 연출하는 라인렌즈와, 광고화면을 전면으로 투과시키는 투명판 또는 반투명판과, 복수 개의 광고화면이 라인형태로 인쇄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고필름과 광고필름을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라인렌즈의 라인과 광고화면의 라인을 일치시키는 동기장치와 조명등 및 제어기로 구성한 것으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라인렌즈를 승강시키므로 광고화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형 광고장치의 제작이 가능하며, 수밀로 수분침투와 성애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기존의 유사한 광고장치는 시트를 움직이면서 광고효과를 내고 있으나 대형화면의 경우 그림의 변형 등에 의한 광고효과의 불확실한 점이 있으며, 배경화면을 움직이는 방식은 대형화가 힘들 뿐 아니라 광고지가 쉽게 걸려 동작의 신뢰성이 떨어지며, 수밀이 유지되지 아니하여 비가 오는 경우 옥외에 설치하기가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투명판과,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광고화면을 연출하는 라인렌즈와, 광고화면을 전면으로 투과시키는 투명판 또는 반투명판과, 복수 개의 광고화면이 라인형태로 인쇄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고필름과 광고필름을 단계적이거나 직선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라인렌즈와 광고화면의 라인을 서로 일치시키는 동기장치와, 조명등 및 제어기로 구성된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라인렌즈의 하부에 지지부재를 고정하고 지지부재의 하부에 복수 개의 승강편을 하향하도록 돌출시켜 그 하부에 위치하는 운동부재에 접촉하도록 하고, 운동부재의 일측과 감속모터의 축봉에 고정된 회전체를 링크로 편심되게 축 설치하고, 승강편이 접촉되는 운동부재 부분에 높이 차이를 갖는 기준 단차부와 1차 단차부 및 2차 단차부를 각각 형성하여 라인렌즈가 단계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라인렌즈의 양측면에는 안내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승강장치를 구성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사면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단차부는 표현하고자 하는 광고화면의 개수와 같도록 형성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부로 개방된 지지체에 감속모터를 설치하여 지지체의 내공간부로 돌출된 회전축봉에 편심캠을 끼워 고정하고, 지지체의 내공간부에 요입홈이 형성된 승강체를 끼워 편심캠을 요입홈에 삽입하고, 승강체의 하부와 지지체의 바닥면에 탄지 스프링을 설치하여 승강체가 상승탄지되게 하고, 승강체의 상부에 라인렌즈 또는 광고필름을 끼워 이들 라인렌즈 또는 광고필름이 승강운동하면서 복수 개의 광고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광고필름의 상부에 광고필름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기장치를 설치하여 라인렌즈의 피치와 광고화면의 피치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광고화면이 3가지의 문자 이를테면 '2'ㆍ'B'ㆍ'나'인 경우 '2'ㆍ'B'ㆍ'나'의 폭을 라인렌즈에 형성된 피치(P)의 1/3 씩 분배하되 분배하여 '2'ㆍ'B'ㆍ'나'를 각각 인쇄하고 나머지 2/3 부분은 인쇄되지 않도록 하되 '2'ㆍ'B'ㆍ'나'가 겹쳐지지 않도록 중첩시켜 1/3 의 폭을 가진 줄로 인쇄된 '2'ㆍ'B'ㆍ'나'가 서로 이웃하면서 합쳐지게 함으로써 라인렌즈가 단차부를 따라 단계적으로 승강할 때 블록렌즈의 굴절작용에 의해 '2'ㆍ'B'ㆍ'나'의 광고화면이 차례대로 표현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측 단면 구성도.
도 2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가 상승한 상태의 정면 구성도.
도 3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가 하강한 상태의 정면 구성도.
도 4 : 본 고안에서 승강부의 다른 실시 예 정면 구성도.
도 5 : 본 고안에서 승강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 구성도.
도 6 : 본 고안 도 5의 정면 구성도.
도 7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를 통과하는 광고문의 굴절상태도.
도 8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의 피치와 광고화면의 피치가 일치하지 않은 상 태의 라인 참고도.
도 9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와 광고필름을 동기시키는 동기장치의 구성도.
도 10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와 광고필름을 동기시키는 동기장치의 정면도.
도 11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와 광고필름을 동기시키는 동기장치의 단면도.
도 12 : 본 고안에서 일 실시 예로 제시하는 광고문의 정면도.
도 13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를 통하여 숫자 '2'가 나타난 상태의 정면도.
도 14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의 1차 상승에 의해 한글 'B'가 나타난 상태 의 정면도.
도 15 :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의 2차 상승에 의해 영문자 '나'가 나타난 상 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광고장치 (4)--케이스
(6)--개방부 (8)(12)(28)(102)--투명판
(10)--라인렌즈 (14)--광고필름
(16)(62)--내공간부 (18)--후면판
(20)--조명등 (22)--제어기
(24)--공간부 (26)--승강장치
(30)(52)--지지부재 (32)--승강편
(34)--운동부재 (36)--링크
(38)(60)--감속모터 (40)--회전체
(42)--기준 단차부 (44)--1차 단차부
(45)--경사면 (46)--2차 단차부
(48)(50)--안내부재 (54)--통공
(56)--받침간 (58)(96)(98)--지지체
(64)--편심캠 (66)--요입홈
(68)--승강체 (70)(100)--스프링
(72)--볼록렌즈 (74)(74a)(74b)(74c)--광고화면
(76)--동기장치 (78)--하우징
(80)--가로장공 (82)--작동봉
(86)--나사봉 (88)--홈
(90)--드라이버 홈 (92)--와셔
(94)--분활핀 (L)--단차부의 길이
(P)--볼록렌즈의 피치 (P2)--광고화면의 피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광고장치(2)의 측단면 구성도로, 케이스(4)의 전면으로 광고창 역할을 하는 개방부(6)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6)에 광고내용이 투과되고 또한 패킹(7)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는 투명판(8)과,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광고화면이 연출되는 라인렌즈(10)와, 광고화면이 전면으로 투과되는 투명판(또는 반투명판)(12)과, 복수 개의 광고화면이 라인형태로 인쇄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고필름(14)을 차례로 설치하고, 광고장치(2)의 내공간부(16) 또는 내공간부(16)로 향하는 후면판(18)에는 조명등(20)과 제어기(22)를 설치하여 광고필름 (14)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22)는 감속모터(38)(60)의 회전속도를 0.5RPM ~ 10RPM으로 조정하고 또한 조명등(20)의 온/오프(ON/OFF)와 밝기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투명판(8)(12)은 케이스(4)에 견고히 고정되며, 투명판(8)(12) 사이의 공간부(24)에 설치되는 라인렌즈(10)는 자신의 자중에 의한 하강작용과 승강장치 (26)의 상승작용에 의해 상ㆍ하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투명판(12)의 후면에 위치하는 광고필름(14)은 투명판(12)에 접합 또는 접착시켜 고정하거나 아니면 투명판(12)에 그냥 접촉시킨 다음 그 후면에 또 다른 투명판(28)을 설치하여 광고필름(14)과 투명판 (12)에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필름(14)의 변형이나 광고화면(광고장면)의 왜곡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광고장치(2)를 직각방향인 측면으로 눕혀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광고필름(14)이 상기와 같은 승강운동이 아닌 좌ㆍ우측으로 왕복 운동하는 형태로 광고를 달성할 수 있으며, 물론 광고필름(14)에 인쇄되는 광고화면은 수직으로 직립시켜 인쇄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26)는 도 2ㆍ도 3과 같이 캠기구와 링크를 이용하여 라인렌즈(10)의 승강운동을 달성할 수 있다.
즉, 라인렌즈(10)의 하단부에 지지부재(30)를 고정하고 지지부재(3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승강편(32)을 하향 돌출시켜 그 하부에 위치하는 운동부재(34)에 접촉하도록 하고, 운동부재(34)의 일측에는 링크(36)의 일측을 핀으로 축 설치하고, 링크(36)의 타측은 감속모터(38)의 축봉에 고정된 회전체(40)에 편심하도록 축 설치하여 감속모터(38)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운동부재(34)는 일정 스트로크를 가지면서 좌ㆍ우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편(32)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높이차이를 갖는 기준 단차부(42)와 1차 단차부(44) 및 2차 단차부(46)를 각각 형성하여 감속모터(48)에 의해 운동부재 (34)가 좌ㆍ우로 왕복운동하도록 하여 운동부재(34)가 좌ㆍ우로 왕복운동과 이에 접하는 단차부(42)(44)(46)의 작용에 의해 라인렌즈(10)가 단계적으로 승강 및 하강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라인렌즈(10)의 양측면에는 안내부재(48)(50)를 각각 설치하여 승강운동하는 라인렌즈(10)가 좌ㆍ우로 유동함이 없이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한다.
상기 단차부(42)(44)(46)와 광고화면(74)의 개수는 표현하고자 하는 광고화면의 수와 일치한다. 예컨데 광고화면의 개수가 3개 이면 단차부(42)(44)(46) 역시 3개를 형성하면 되며, 광고화면의 개수가 5개 이면 단차부 역시 5개를 형성하면 5개의 광고화면이 표현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42)(44)(46)는 도 2ㆍ도 3과 같이 소정의 길이(L)를 갖는 평면부로 형성함으로써 광고화면 별로 표현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단차부(42)(44)(46)의 길이를 길게 할 수록 승강체(32)가 상기 단차부(42)(44)(46)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광고화면 별로 광고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라인렌즈(10)는 안내부재(38)(40) 대신 케이스(4)의 양 내측면이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안내부재(38)(40)를 대신하여 케이스(4)의 측면이 라인렌즈(10)의 승강을 담당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 단차부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도로, 단차부(42)(44)(46) 대신 경사면(45)을 형성하여 라인렌즈(10)의 직선적인 승강을 달성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운동부재(34)의 하부에는 지지부재(52)를 설치하여 상기 운동부재(34)가 미끄럼 접촉하면서 왕복운동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하고, 후면판(18)의 상부에는 통공(54)을 형성하여 본 고안 광고장치(2)를 벽에 걸어 설치하거나 또는 케이스(4)의 저부에 받침간(56)을 설치하여 본 고안 광고장치(2)를 바닥에 세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받침간(56)의 저부에는 도시안된 휠이나 캐스터를 장착시키면 본 고안의 광고장치(2)를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승강장치(26)의 단면도이고, 도 6은 그 정면도로, 상부로 개방된 지지체(58)에 감속모터(60)를 설치하여 회전축봉이 지지체(58)의 내공간부(62)로 향하도록 돌출시킨 다음 편심캠(64)을 끼워 고정하고, 또한 지지체(58)의 내공간부(62)에 요입홈(66)이 형성된 승강체(68)를 끼워 편심캠(64)이 상기 요입홈(66)에 삽입되도록 하고, 승강체(68)의 하부와 지지체(58)의 바닥면에는 탄지 스프링(70)을 설치하여 편심캠(64)과 요입홈(66) 내 하부면이 상시 접촉할 수 있도록 승강체(68)를 상승 탄지하고, 승강체(68)의 상부 부분에는 라인렌즈(10) 또는 광고필름(14)을 끼워 고정함으로써 라인렌즈(10) 또는 광고필름 (14)이 상승운동 및 하강운동하면서 광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라인렌즈(10)는 도 7과 같이 전면으로 볼록한 볼록렌즈(72)가 도 2ㆍ도 3과 같이 라인형태를 띄게 되며, 볼록렌즈(72)의 피치(P)는 본 고안 광고장치 (2)의 크기에 따라 물론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2㎜~7㎜의 피치를 갖도록 하되 단차부(42)(44)(46)의 전체높이가 되도록하고, 광고화면(74)이 복수 개 인 경우 도 12와 같이 복수 개의 광고화면(74)을 중첩시켜 인쇄하도록 하되 광고화면의 피치(P2)가 볼록렌즈(72)의 피치(P)와 같은 피치가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광고화면(74)이 3가지의 문자 이를테면, '2'(74a)ㆍ'B'(74b)ㆍ'나' (74c) 인 경우 '2'(74a)ㆍ'B'(74b)ㆍ'나'(74c)의 폭을 도 12 내지 도 15와 같이 볼록렌즈(72) 피치(P)의 1/3 씩 분배하되 분배된 1/3의 영역에 '2'(74a)ㆍ'B'(74b)ㆍ'나'(74c)를 각각 인쇄하고 2/3 부분은 인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3개의 광고화면(74)을 도 12와 같이 중첩시킨 경우 1/3 의 폭을 가진 줄로 인쇄된 '2' (74a)ㆍ'B'(74b)ㆍ'나'(74c)가 서로 이웃하면서 합쳐지게 함으로써 라인렌즈(10)가 단차부(42)(44)(46)를 따라 단계적으로 승강할 때 도 7과 같이 블록렌즈(72)의 굴절에 의해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2'(74a)ㆍ'B'(74b)ㆍ'나'(74c) 광고화면(74)이 차례대로 표현된다.
한편, 조립시의 오차 또는 사용에 의한 경년변화 외부충격에 의한 틀어짐 등으로 인하여 도 8과 같이 라인렌즈(10)의 피치(P)와 광고화면(74a)(74b)(74c)의 피치(P2)가 일치하지 않아 광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를 일치시켜 동기화시키는 동기장치가 필요하며, 도 9는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여 라인렌즈(10)와 광고화면(74a)(74b)(74c)의 피치(P)(P2)를 동기화시키는 동기장치(76)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0, 도 11과 같이 케이스(4)의 상부판(4a) 저면에 고정하는 하우징 (78)의 전면으로 가로장공(80)을 형성하고, 하우징(78)의 내부에 나공을 갖는 작동봉(82)을 끼워 가로장공(80)으로 돌출시키고, 하우징(78)의 양측을 관통하는 나사봉(86)을 결합하되 상기 작동봉(82)의 나공을 나사 결합하고, 하우징(78)으로 바깥으로 돌출된 작동봉(82)의 단부와 광고필름(14)의 상부에 형성된 홈(88)을 서로 결합하여 나사봉(86)을 회전시키면 작동봉(82)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이에 결합된 광고필름(14)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라인렌즈(10)의 피치(P)와 광고화면 (74a)(74b)(74c)의 피치(P2)가 서로 일치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나사봉(86)의 머리부에는 드라이버홈(90)이 형성되어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며, 그 반대편에는 와셔(92)와 분할핀(94)이 끼워져 하우징(78)으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에서 광고필름(14)은 도 9와 같이 상ㆍ하부 지지체(96)(98)에 고정한 다음 하부 지지체(98)의 중앙 부분이나 양측부분과 바닥 케이스(4b) 사이를 스프링 (100)으로 하향 탄지시켜 광고필름(14)의 하부가 좌ㆍ우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도 1과 같이 투명판(102)의 표면에 상기 광고필름(14)을 접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설명의 편의상 광고화면(74)을 3개로 일 예를 들었으나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객수로 광고화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광고화면으로는 이러한 문자 뿐 만 아니라 여러가지의 사진ㆍ이미지ㆍ캐릭터ㆍ광고문ㆍ특화된 광고문양ㆍ안내문ㆍ공익광고 등을 인쇄하여 광고할 수 있으며, 각각의 광고화면을 색상이 다르게 구분하거나 같은 색상이 중복되는 경우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확실히 차별화되고 구분되는 광고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10)의 전면에 위치하는 투명판(8)은 라인렌즈(10)로 이물이 유입되는 현상과 성애가 방지되며, 또한 수밀이 유지되므로 옥외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라인렌즈를 승강시키므로 광고화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대형 광고장치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인렌즈의 단계적이거나 직선적인 승강운동으로 여러장의 광고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라인렌즈의 전면에 위치하는 투명판은 라인렌즈로 이물이 유입되는 현상과 성애가 방지될 뿐 아니라 수밀이 유지되므로 옥외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개방부(6)가 형성된 케이스(4) 내부에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광고화면을 연출하는 라인렌즈(10)와, 복수 개의 광고화면이 라인형태로 인쇄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고필름(14)과 광고필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26)와, 조명등(20) 및 제어기(22)로 구성된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라인렌즈(10)의 하단부에 지지부재(30)를 고정한 다음 복수개의 승강편(32)을 하향 돌출시켜 그 하부에 위치하는 운동부재(34)에 접촉하도록 하고, 운동부재(34)의 일측과 감속모터(38)의 축봉에 고정된 회전체(40)를 링크(36)로 편심되게 축 설치하고, 승강편(32)이 접촉되는 운동부재 (34) 부분에 높이차이를 갖는 기준 단차부(42)ㆍ1차 단차부(44)ㆍ2차 단차부(46)를 각각 형성하여 라인렌즈(10)가 단계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라인렌즈(10)의 양측면에는 안내부재(48)(50)를 각각 설치하여 승강장치(26)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고화면(74)의 개수와 같은 단차부 (42)(44)(46)는 소정의 길이(L)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된 지지체(58)에 감속모터(60)를 설치하여 회전축봉이 지지체(58)의 내공간부(62)로 돌출시킨 다음 편심캠(64)을 끼워 고정하고, 지지체(58)의 내공간부(62)에 요입홈(66)이 형성된 승강체(68)를 끼워 편심캠(64)을 요입홈(66)에 삽입하고, 승강체(68)의 하부와 지지체(58)의 바닥면에 탄지 스프링(70)을 설치하여 승강체(68)가 상승탄지되게 하고, 승강체(68)의 상부에 라인렌즈(10) 또는 광고필름(14)을 끼워 라인렌즈(10) 또는 광고필름 (14)이 승강운동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라인렌즈(10)의 앞ㆍ뒤로 투명유리(8)(12)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고필름(14)의 상부에 광고필름(14)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기장치(76)를 설치하여 라인렌즈(10)의 피치(P)와 광고화면(74a)(74b)(74c)의 피치(P2)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개의 광고화면(74a)(74b)(74c) 폭을 볼록렌즈(72) 피치(P)의 1/3 씩 분배하되 분배된 1/3의 영역에 광고화면(74a)(74b) (74c)을 각각 인쇄하고, 광고화면(74a)(74b)(74c)의 나머지 2/3 부분은 인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3개의 광고화면(74a)(74b)(74c)을 중첩시키면 1/3 의 폭을 가진 줄로 인쇄된 광고화면(74a)(74b)(74c)이 서로 이웃하면서 합쳐지게 함으로써 라인렌즈(10)가 단차부(42)(44)(46)를 따라 단계적으로 승강할 때 블록렌즈(72)의 굴절에 의해 3개의 광고화면(74a)(74b)(74c)이 차례로 표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20000016891U 2000-06-14 2000-06-14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209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891U KR200209328Y1 (ko) 2000-06-14 2000-06-14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891U KR200209328Y1 (ko) 2000-06-14 2000-06-14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744A Division KR100386516B1 (ko) 2000-06-14 2000-06-14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328Y1 true KR200209328Y1 (ko) 2001-01-15

Family

ID=7305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891U KR200209328Y1 (ko) 2000-06-14 2000-06-14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3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849B1 (ko) * 2002-03-04 2004-09-04 박기성 방음판 및 방음벽의 설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849B1 (ko) * 2002-03-04 2004-09-04 박기성 방음판 및 방음벽의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330B1 (ko) 이동하는 관찰자에게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09328Y1 (ko)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286961Y1 (ko) 롤식 광고장치
KR100386516B1 (ko) 라인렌즈를 이용한 광고장치
JPH07168535A (ja) 広告表示の方法及び装置
KR20180043053A (ko) 입체 문자 간판
CN100498424C (zh) 激光图案投射装置
KR960003369Y1 (ko) 왕복회전간판
EP1739644A2 (en) Advertising display panel with image updating and improvements for said display panel.
KR101873350B1 (ko) 다이내믹 광고 장치
KR20060132115A (ko) 스트립 형태의 엘이디 컬러 스크린
CN113531333A (zh) 一种可无线遥控测试的led显示屏
KR100323919B1 (ko) 다중 영상표시장치
KR100521650B1 (ko) 블라인드 전광판
KR200325451Y1 (ko) 회전식 광고판
CN212255899U (zh) 一种裸眼3d球形显示装置
KR100366365B1 (ko)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KR200168335Y1 (ko) 다중영상표시장치
KR100198279B1 (ko) 화면장치
KR200187895Y1 (ko)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광고판
KR100350663B1 (ko)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광고판
KR20030003319A (ko) 간판광고장치
JP2018205602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ート及び表示方法
CN209801212U (zh) 一种可延展led装饰灯串
KR19980028095U (ko) 사인부재(sign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