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297Y1 -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 Google Patents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297Y1
KR200209297Y1 KR2019980009747U KR19980009747U KR200209297Y1 KR 200209297 Y1 KR200209297 Y1 KR 200209297Y1 KR 2019980009747 U KR2019980009747 U KR 2019980009747U KR 19980009747 U KR19980009747 U KR 19980009747U KR 200209297 Y1 KR200209297 Y1 KR 200209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trand
jack
plunger
anch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7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0359U (en
Inventor
박재만
Original Assignee
박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만 filed Critical 박재만
Priority to KR2019980009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297Y1/en
Priority to US09/224,712 priority patent/US6318038B1/en
Priority to FR9816724A priority patent/FR2773186B1/en
Priority to JP11000192A priority patent/JP3037943B2/en
Publication of KR20000000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35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297Y1/en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Prestress Sturcture)에 처짐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본래의 장력 상태로 복원 고정시켜주는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빔 구조물의 양단부로 노출 설치된 정착구(10)의 단부에 부설되어 그 후방으로 상기 강연선(5)을 인장시켜주기 위한 플런저(21) 및 실린더(22)로 구성되는 인장잭(20)과, 이 인장잭(20) 및 정착구(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강연선(5)을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강연선(5)의 둘레에 각각 콜렛(31)이 결합되고 이 콜렛(31)의 작동을 안내 및 제어하는 지지체(30) 및 간격유지구(40)와, 인장된 각 강연선(5)의 단부를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강연선(5)의 둘레에 각각 콜렛(51)이 결합되고 이 콜렛(51)을 수용하여 상기 플런저(21)의 후단부에 직접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52)로 구성된 것으로서, 일차 시공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처짐 발생시 압력계(P)에 의해 즉각 확인하여 응력손실이 발생된 강연선(5)을 재긴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간편 용이하여 소요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런저(21)와 강연선(1)의 단부 고정용 고정부재(52)를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 직접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인장잭(20)의 작동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요입 공간부(1a) 내에서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ensioning device for restoring and restoring the original tension state when a deflection deformation occurs in the prestress structure, and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anchorage 10 exposed to both ends of the beam structure, and the rear side thereof. And a tension jack 20 composed of a plunger 21 and a cylinder 22 for tensioning the strand 5 and the strand jack 5 interposed between the tension jack 20 and the anchorage 10. And a support 30 and a spacing support 40 for guid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llet 31,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strand 5 so as to hold and secure the The collets 51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ircumferences of the strands 5 so as to hold and secure the ends of the respective strands 5, and the collets 51 are accommodated to be direct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ar ends of the plungers 21. It is composed of the fixing member 52, the primary construction prestress When the deflection of the structure occurs by the pressure gauge (P) immediately to be able to re-tension the strand (5) where the stress loss occurred, the construction is very easy and easy to significantly reduce the required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and St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and by minimizing the working distance of the tension jack 20 by allowing the plunger 21 and the end member fixing member 52 of the strand 1 to be directly coupled without a separate supporting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training device for a prestressed structure that enables an operator to perform a work more easily in the concave space portion 1a.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본 고안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Prestress Sturcture)에 처짐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본래의 장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원 고정시켜주는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짐 변형 등의 스트레스 손실이 발생된 피씨빔(PC Beam)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좁은 공간 내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인장잭의 작동거리를 최소화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ensioning device for restoring and fixing the prestress structure to maintain the original tension state when the deflection deformation occurs, and in particular, a PC beam in which stress loss such as a deflection deformation occurs. When the tension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such as), to re-tension device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to minimize the working distance of the tension jack to facilitate the work in a narrow space.

일반적으로, 피씨빔 등의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이 가지는 프리스트레스 힘은 콘크리트의 휨 변형(Creep)과, 건조 수축 및 피씨 강재의 이완(relaxation) 등의 손실 요인으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함과 더불어 점차 감소하게 된다.In general, the prestress force of a prestressed structure, such as a PC beam, gradually decreases with time due to loss factors such as creep of concrete, drying shrinkage, and relaxation of PC steel.

즉, 교량빔 등의 구조물에 스트레스 손실이 점차 증가될 경우에는 상기 교량빔의 처짐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교량빔의 처짐 변형은 곧바로 빔을 비롯한 교량 구조물의 균열 및 파손을 연쇄적으로 유발하는 치명적인 요인이 되므로, 이에 대한 즉각적이고도 효율적인 보수 및 보강이 이루어져야만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교량의 붕괴와 같은 대형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stress loss is gradually increased in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beam, deflection of the bridge beam occurs, and the deflection deformation of the bridge beam immediately causes a fatal crack and breakage of the bridge structure including the beam. As a factor, immediate and efficient repairs and reinforcements must be made, or the risk of catastrophic accidents such as the collapse of a bridge cannot be excluded.

흔히 사용되고 있는 피씨빔과 같은 종래의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피씨빔의 양단부 외측으로 인출된 강연선을 잡아당겨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한 후 고정하게 된다. 즉, 빔 구조물의 제작시에 그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강연선의 양단이 인출되어 있고, 상기 강연선의 양단부에는 스트랜드콘(Strand Cone)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별도의 인장장치로 잡아당겨 강연선의 인장 작업을 마친 후 그 인장장치를 제거하고, 상기 강연선이 삽입된 쉬스관에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여 마감한다.In the conventional prestressed structure, such as a PC beam that is commonly used, when the above deformation occurs, it is fixed after working to maintain a constant tension by pulling the strand drawn out of both ends of the PC beam. That is, when the beam structure is manufactured, both ends of the stranded wire are drawn out at both ends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rand cone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randed wire, and the stranded wire is pulled by a separate tensioning device to tension the stranded wire. After finishing, the tensioning device is removed, and cement mortar is injected into the sheath tube into which the strand is inserted.

상기와 같은 교량용 피씨빔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각 빔의 양단부가 교각의 상단부에 설치된 교좌장치의 상부에 각각 안착되고, 그 각 피씨빔의 상면에 상판이 설치된다. 종래의 피씨빔은 다수 가닥의 강연선이 삽입 안내되는 각 쉬스관의 단부에 시멘트 몰탈이 채워져 고정되고, 각 빔 구조물 간의 인접단부에 형성된 소폭의 요입 공간부에는 상기 강연선의 각 선단부를 수용하는 다수개의 정착구가 노출된 상태로 각각 결합되어 있다.The above-mentioned PC beams for bridges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device provided at both ends of each beam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upper end of the bridge, and the upper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PC beam. In the conventional PC beam, cement mortar is fixed to the end of each sheath tube into which a plurality of strands of strands are inserted and guided, and a small recessed space formed at adjacent ends between the beam structures includes a plurality of ends accommodating each tip of the strand. The anchorage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exposed state.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요입 공간부는 매우 협소하여 정착구에 고정된 강연선을 재긴장시키기 위한 조작이 불가능하고, 또한, 상기 요입 공간부에는 최종적으로 시멘트 몰탈로 충전 마감되는 것이므로 일차 시공된 피씨빔에 처짐 변형이 발생한 경우 내부 강연선의 재긴장에 의한 빔의 변형을 보정하거나 보수하는 것이 불가능했다.In this structure, the concave space portion is so narrow that the operation for retensioning the stranded wire fixed to the anchorage is impossible, and the concave space portion is finally filled with cement mortar so that it sags in the primary beam. If deformation occurred, it was not possible to correct or repair the deformation of the beam due to the retension of the internal strands.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처짐 변형이 발생된 교량용 빔을 보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보수 및 보강방법이 사용되어 왔다.Therefore, the following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s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to repair bridge beams in which deflection deformation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처짐이 발생된 피씨빔 내에 횡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을 천공하여 각 관통공에 철근을 매립 고정하고, 상기 피씨빔의 양측벽에 노출되는 각 철근의 단부에 또 다른 철근을 종횡으로 배치한 후, 그 외부 철근의 배근부에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빔 구조물의 외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콘크리트 지지부를 형성한다.Firs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dri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PC beam where deflection occurs,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each through-hole, and another rebar is disposed laterally and laterally at the end of each of the rebars exposed to both side walls of the PC beam. Then, cement concrete is poured into the reinforcement of the outer reinforcing bar to form a concrete support projecting to both sides of the outside of the beam structure.

그 다음에는, 이와 같이 형성된 양쪽 콘크리트 지지부의 일측 단부에 별도의 정착구를 설치하고, 그 정착구에 빔 구조물의 외부 양측벽을 따라 부설한 각 강연선의 단부를 고정한 후, 한 다발로 결속된 각 강연선의 단부를 인장장치로 일시에 인장하여 수평상태 이하로 처진 빔 구조물의 변형 부분을 들어 올림으로써 교량 빔 및 상판의 처짐을 복원함과 아울러, 저하된 빔 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Then, separate anchorages are installed at one end of both concrete supports formed in this way, and the ends of each of the stranded wires laid along the outer side walls of the beam structure are fixed to the anchorages, and then the bundles of the respective stranded ships are bundled together. A method of reinforcing the deflection of the beam beam and the upper plate while reinforcing the deformed portion of the beam structure that sags below the horizontal state by temporarily tensioning the end with a tensioning device has been perform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 빔 보수공법은 상기 각 보강용 강연선을 빔 구조물의 외부 양측벽을 따라 설치하고, 지지하기 위한 돌출 지지부 및 외부 정착구 등의 지지수단을 설치함에 있어서, 장기간의 공기가 소요되는 까다롭고 번거로운 시공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고, 빔 구조물의 천공 및 배근 작업시 기존 빔의 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갖게 됨으로써 오히려 교량의 안전에 치명적인 결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강연선이 한 다발로 지지 고정되는 종래 정착구의 구조적 단점으로 인하여, 일부 강연선의 이완이나 손상이 발생될 경우 개별적인 긴장이나 증설이 불가능하여 비경제적이며, 하나의 강연선이 파단될 경우 전체 강선이 모두 파단될 우려를 배제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ridge beam repairing method requires long-term air in installing the reinforcing strands along the outer both side walls of the beam structure, and supporting means such as protrusion support and external anchorage for supporting the reinforcing stran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requires a cumbersome and cumbersome construction work, and when the drilling and reinforcement work of the beam structure has a factor that lowers the rigidity of the existing beam, rather it causes a fatal defect in the safety of the bridge.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al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anchorage in which a plurality of strands are supported and fixed in a bundle, it is uneconomical for individual tension or expansion to be impossible when some strands are loosened or damaged. There was a problem such that it could not be excluded that all of them would be broken.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 보수 및 보강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제작시에 필요로 하는 강연선의 인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이 교량용 빔으로 시공된 상태에서 프리스트레스 손실이 발생될 경우에도 내부의 강연선을 다시 인장 수 있게 함으로써 처짐변형이 발생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을 반복하여 인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강연선의 응력손실에 대한 변화를 수시로 확인 점검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처짐 변형이 발생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에 대한 적기의 재긴장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가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1997년 특허출원 제82358호로 선 출원된 바 있다.Therefore, in view of the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bridge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only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tension of the strand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the prestressed structure is constructed as a bridge beam When prestress loss occurs in the state, the internal strand can be re-stretched to repeat the prestressed structure in which the deflection strain is generated, and means for checking and checking the change in stress loss of the strand at any time are provided. The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configured to allow timely re-tensioning construction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in which deflection deformation is generated has been previously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atent application No. 82358 in 1997.

상기 선 출원 발명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 구조물의 양단부에 노출 설치되는 정착구(10)에 응력손실이 발생된 강연선(5)을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재긴장할 수 있는 긴장수단(T)을 함께 설치함과 아울러, 이와 같은 긴장수단(T)에 강연선(5)의 응력손실을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P)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재긴장수단(T)은 각 강연선(5)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 고정되는 정착구(10)의 단부에 부설되어 그 정착구(10)의 후방으로 인출된 강연선(5) 들을 인장하는 인장잭(20)과, 이 인장잭(20) 및 정착구(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강연선(5)을 잡아 고정하는 지지체(30) 및 간격유지구(40)와, 상기 인장잭(2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인장된 각 강연선(5)의 단부를 잡아 고정하는 고정구(50)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계(P)는 인장잭(2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강연선(5)의 인장에 소요되는 힘을 상기 인장잭(20)의 내부에 작용하는 유압으로써 나타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line application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tension means (T) that can be easily re-stretched repetitively re-stretched the strand (5) the stress loss is generated in the anchorage (10) exposed to both ends of the beam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together, the tension means (T) is provided with a pressure gauge (P) that can easily check the stress loss of the strand (5) with the naked eye, the re-tension means (T) is each of the strands (5) A tension jack 20 which is attached to an end of the anchorage 10 to which both ends of the anchorage are respectively supported and tensions the strand wires 5 drawn out to the rear of the anchorage 10, and the tension jack 20 and the anchorage 10 ) Between the supporter 30 and the spacing holder 40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er 30 to hold and hold the stranded wire 5, and an end portion of each of the stretched stranded wire 5 which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ension jack 20 and is tensioned. It is composed of a fastener 50 for holding and fixing, the hydraulic system (P)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ension jack 20 It is to be represen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acting force that is required for the tensioning of the strand groups (5) in the interior of the tension jack (20).

상기 고정구(50)는 강연선(5)의 단부 둘레에 결합되는 콜렛(51)과, 이 콜렛(51)을 수용하여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52)와, 이 고정부재(52)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인장잭(20)의 플런저(21) 단부에 지지되는 지지부재(54)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의 각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기술하게 될 본 고안의 구조에 준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fastener 50 includes a collet 51 coupled around an end of the strand 5, a fixing member 52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collet 51, and receiving the fixing member 52. In addition, it is composed of a support member 54 which is supported at the end of the plunger 21 of the tension jack 20, and the description of each other reference numerals conform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와 같은 선 출원 발명의 보수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교량 빔 보수방법, 즉, 피씨빔의 양단부에 다수의 관통공을 천공함에 따른 빔 구조물 자체의 강성 저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게 되고, 인장잭(20)이 장착되어 있어 별도의 장비 없이도 강연선(5)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보수공법에 비해 간편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그 공사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압력계(P)의 수치를 육안으로 점검하여 교량 빔의 재긴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량의 차량 재하시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기에 시공이 이루어져 보수 시기의 지연에 따른 교량의 붕괴나 파손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을 갖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repair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apply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existing bridge beam repair method, that is, the concern about the rigidity degradation of the beam structure itself by drill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t both ends of the PC beam, tension Since the jack 20 is installed, the tension of the strand 5 can be adjusted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strand 2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than in the conventional repair metho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By visually checking the value of P),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bridge beam is re-tension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of vehicle loading test of the bridge, as well as timely construction, It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prevent the risk of collapse or breakdown of the bridge.

그러나, 상기 선 출원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인장잭(20)의 내부에서 작동되는 플런저(21)와 이 플런저(21)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강연선(5)의 단부를 잡아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52) 사이에 상기 고정부재(52)를 안착시켜주는 별도의 지지부재(54)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플런저(21)의 위치를 초기 상태로 재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부재(52)와 지지부재(54)를 각각 분리하여야 하고, 상기 지지부재(54)가 차지하는 길이만큼 상기 인장잭(20)의 작동 거리가 증가하므로 구조물의 단부에 형성되는 좁은 요입 공간부 내에서의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re-tensioning device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line application is arranged at the rear end of the plunger 21 and the plunger 21 and the plunger 21 which is operated inside the tension jack 20 by hydraulic pressure. When a separate support member 54 for seating the fixing member 52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members 52 for holding and fixing the ends, when the position of the plunger 21 is to be adjusted to an initial state. The fixing member 52 and the support member 54 mus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working distance of the tension jack 20 is increased by the length occupied by the support member 54 so that the narrow recessed space formed at the end of the structu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inside is inconvenien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처짐 변형 등의 스트레스 손실이 발생된 피씨빔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좁은 공간 내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인장잭의 작동거리를 최소화 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the tension of a prestressed structure such as a PC beam in which stress loss such as sag deformation is generated is to be controlled, it is easy to work in a narrow sp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tensioning device for prestressed structures that minimizes the working distance of tension jack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교량 구조물의 부분 측면도,1 is a partial side view of a bridge structure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e-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상태의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isassembled stat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결합 상태의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re-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작용을 보인 것으로,5a to 5e is to show the action of the re-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시공 후 교량 구조물에 처짐 변형이 발생할 때까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5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until the deflection deformation occurs in the bridge structure after construction,

도 5b는 교량 구조물의 처짐 변형시 본 고안에 적용된 인장잭을 적정 유압으로 작동시켜 강연선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된 상태의 종단면도,Figure 5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adjusted to maintain the initial tension of the strand by operating the tension ja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flection deformation of the bridge structure with proper hydraulic pressure,

도 5c는 강연선의 장력조절 후 교량 구조물에 처짐 변형이 계속 진행되어 상기 인장잭의 내압이 저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5c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flection deformation is continued to the bridge structure after the tension control of the strand wire is lower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ension jack;

도 5d는 교량 구조물의 재차 처짐 변형시 상기 인장잭을 적정 유압으로 작동시켜 강연선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조절된 상태의 종단면도,Figure 5d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djusted state to maintain the initial tension of the strand by operating the tension jack with proper hydraulic pressure upon deflection deformation of the bridge structure again,

도 5e는 도 5d에서와 같이 상기 인장잭이 최대한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교량 구조물에 처짐 변형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에, 상기 인장잭 내의 플런저 위치를 최초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그 단부의 콜렛 고정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종단면도,FIG. 5E shows the collet fixing member at its end to restore the plunger position in the tension jack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deflection deformation continues in the bridge structure while the tension jack is fully operated as shown in FIG. 5D. Longitudinal section in the removed state,

도 6은 본 고안의 콜렛 및 이를 수용하는 콜렛 고정부재의 분리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 separation structure of the co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llet fixing member for receiving the same;

도 7은 도 6에 따른 A-A선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according to FIG.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P ; 압력계 T ; 긴장수단P; Pressure gauge T; Tension

1 ; 피씨빔 1a ; 요입 공간부One ; PC beam 1a; Urine space

2 ; 교각 3 ; 교좌장치2 ; Pier 3; Device

4 ; 상판 5 ; 강연선4 ; Top plate 5; Strand

6 ; 쉬스관 10 ; 정착구6; Sheath tube 10; Anchorage

11 ; 고정판 20 ; 인장잭11; Fixed plate 20; Signet Jack

21 ; 플런저 21a ; 내주경사면21; Plunger 21a; Inner slope

22 ; 실린더 23 ; 중공부22; Cylinder 23; Hollow part

24 ; 인장측 유압실 25 ; 인장측 포트24; Tension-side hydraulic chamber 25; Tension side port

26 ; 첵밸브 29 ; 이완측 유압실26; Check valve 29; Relaxation side hydraulic chamber

30 ; 지지체 31, 51 ; 콜렛30; Support 31, 51; Collet

33, 53 ; 지지공 40 ; 간격유지구33, 53; Support hole 40; Spacing

42 ; 유동공 43 ; 통공42; Flow hole 43; Through

50 ; 고정구 52 ; 고정부재50; Fixture 52; Fixing member

52a ; 외주경사면 55 ; 분리면52a; Outer slope 55; Pla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는 빔 구조물의 양단부로 인출되는 내부 강연선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정착구의 단부에 부설되어 그 후방으로 상기 강연선을 인장시켜주기 위한 플런저 및 실린더로 구성되는 인장잭과, 이 인장잭 및 정착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강연선을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강연선의 둘레에 각각 콜렛이 결합되고 이 콜렛의 작동을 안내 및 제어하는 지지체 및 간격유지구와, 상기 인장잭의 플런저에 의해 인장된 각 강연선의 단부를 잡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콜렛을 수용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이 고정부재가 상기 플런저의 후단부에 직접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ensioning device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anchorage is installed to support each of the internal strand drawn out to the both ends of the beam structure, the plunger for tensioning the strand in the rear And a tension jack composed of a cylinder, and a support and a gap for interposing between the tension jack and the anchorage so that the collet is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strand so as to hold and fix the strand, and guid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llet. And a holding member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collets for holding and fixing the ends of each of the stranded wires tensioned by the plunger of the tension jack, and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directly to the rear end of the plunger.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와,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교량 구조물의 부분 측면도, 도 2는 상기 재긴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분해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결합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콜렛(51) 및 이를 수용하는 고정부재(52)의 분리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A-A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1 to 4 and 6 and 7 show a retensioning device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bridge structure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e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tension device,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assembled state,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ed state, Figure 6 is a collet 5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xing member 52 for receiving it 7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본 고안의 재긴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교량에 적용 가능하다. 즉, 양측 교대 사이에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교각(2)의 상단부에 걸쳐 복수개의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즉, 피씨빔(1)이 교량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각 피씨빔(1)의 양단부가 교각(2)의 상면에 설치된 각 교좌장치(3)에 각각 안착되며, 이와 같이 연속 설치되는 각 피씨빔(1)의 상부에는 상판(4)이 설치된다.The retensio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conventional bridge as shown in FIG. That is, a plurality of prestressed structures, that is, PC beams 1 are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over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bridges 2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both side shifts, and each PC beam ( Both ends of 1) are respectively seated on each of the bridge devices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2), the upper plate (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PC beam (1) continuously installed in this way.

상기 피씨빔(1)은 소정폭과 두께 및 길이를 가지는 빔 구조물의 내부에 다수개의 강연선(5)을 내입 수용한 복수 열의 쉬스관(6)이 빔 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형태 및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각 강연선(5)의 양단부는 기존의 경우에 비하여 확장된 폭을 가지는 빔 구조물의 양단부에 형성된 요입 공간부(1a) 내에 노출되어, 그 요입 공간부(1a)의 측벽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각 정착구(10)에 의해 긴장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쉬스관(6)에는 윤활유(Grease)가 주입된다.The PC beam 1 has a plurality of sheath pipes 6 in which a plurality of strands 5 ar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a beam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ickness, and length. And both ends of each of the strands 5 are exposed in the concave space portion 1a formed at both ends of the beam structure having an expanded width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on the side walls of the concave space portion 1a. It is supported in a tensioned state by each fixing device 10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sheath pipe 6 is injected with grease.

이와 같은 교량용 피씨빔(1)에 적용되는 본 고안의 재긴장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구조물의 양단부로 인출되는 내부 강연선(5)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정착구(10)의 단부에 부설되어 상기 강연선(5)의 인장시 본래의 장력으로 재조정하기 위한 긴장수단(T)과, 상기 강연선(5)의 인장에 소요되는 힘을 상기 긴장수단(T)의 내부에 작용하는 유압에 의해 나타내어 그 응력손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긴장수단(T)의 일측에 장착된 유압계(P)로 구성되어 있다.The re-tensio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bridge PC beam 1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anchorage is installed so as to support each of the internal strands (5) drawn to both ends of the beam structure Tension means (T) to be attached to the end of the (10) to re-adjust to the original tension at the tension of the strand 5, and the force required to tension the strand (5) inside the tension means (T) It is composed of a hydraulic system (P) mounted on one side of the tension means (T) so as to be shown by the hydraulic pressure acting on the naked eye to check the stress loss.

상기 긴장수단(T)은 정착구(10)의 후방으로 상기 강연선(5)을 인장시켜주기 위한 플런저(21) 및 실린더(22)로 구성되는 인장잭(20)과, 상기 정착구(10)의 후면에 접촉되어 상기 각 강연선(5)을 잡아 고정하기 위한 콜렛(31)이 각각 결합되고 이 각 콜렛(31)의 작동을 안내 및 제어하는 지지체(30)와, 상기 지지체(30)와 인장잭(20)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유지구(40)와, 인장된 각 강연선(5)의 단부를 잡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콜렛(51)을 수용하여 상기 플런저(21)의 후단부에 직접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52)로 구성되어 있다.The tension means (T) is a tension jack 20 composed of a plunger 21 and a cylinder 22 for tensioning the strand 5 to the rear of the anchorage 10, and the rear of the anchorage (10) A collet 31 for engaging and holding each of the strands 5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upport 30 for guid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llet 31, the support 30, and a tension jack ( 20 is interposed between the interval holding portion 40 and a plurality of collets 51 for holding and fixing the ends of each of the tensioned strand 5 is inserted directly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lunger 21 It consists of the fixing member 52.

상기 정착구(10)는 나팔관 형태로 된 몸체가 빔 구조물의 측벽에 매립고정되어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정착구(10)의 고정판(11)에는 상기 지지체(30)의 전면이 접촉 지지되어 있으며, 그 지지체(3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원추형 지지공(33)에는 상기 각 강연선(5)의 일단부를 잡아 고정하는 다수개의 콜렛(31)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The anchorage 10 has a body in the form of a fallopian tube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eam structure, the front of the support 30 is supported by the fixing plate 11 of the anchorage 10 exposed to the outside, The plurality of conical support holes 33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support 30 are inserted and fixed with a plurality of collets 31 for holding and fixing one end of each of the strands 5.

상기 콜렛(31)은 2개 이상으로 분할된 몸체의 외주면 일단부가 결속링에 의해 결속되어 원추 형상의 결합체를 이루도록 조립되어 있고, 상기 콜렛(31)의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에는 톱니형 요철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그 각 삽입공 내에 끼워지는 강연선(5)을 단단히 잡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llet 31 is assembled such th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divided into two or more is bound by a binding ring to form a conical coupling, and the insertion hol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ollet 31 has a serrated uneven portion. (Not shown) is formed, and the stranded wire 5 fitted in each insertion hole can be hold | maintained firmly.

상기 인장잭(20)은 실린더(22)의 인장측 유압실(24)과 이완측 유압실(29) 내에 작용하는 유압으로 플런저(21)가 전후진 작동되면서 상기 각 강연선(5)을 후방으로 당겨주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22)의 외측에는 오일이 유출입되는 인장측 포트(25)와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첵밸브(26) 및 이완측 포트(27)가 상기 인장측 유압실(24) 및 이완측 유압실(29)과 각각 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22)의 내측에는 강연선(5)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23)가 형성되어 있다.The tension jack 20 is a hydraulic pressure acting in the tension-side hydraulic chamber 24 and the loose-side hydraulic chamber 29 of the cylinder 22, and the plunger 21 is moved back and forth while the respective strands 5 are rearward. A tension side port 25 through which oil flows in and a check valve 26 and a relaxation port 27 for controlling the flow of hydraulic pressure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ylinder 22. And a hollow side 23 through which the stranded wire 5 can pass are formed inside the cylinder 22.

상기 플런저(21)는 그 단부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52)의 외주경사면(52a)과 동일 경사도의 내주경사면(21a)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52)를 직접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plunger 21 has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lope 21a of the same inclination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lope 52a of the holding member 52 at an inner side of the end thereof, thereby directly inserting and fixing the holding member 52. It is supposed to be.

상기 고정부재(5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공(53)을 각각 양분하도록 일방향으로 형성된 분리면(55)에 의해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콜렛(51)은 지지체(30)의 콜렛(31) 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fixing member 52 is divided into several pieces by the separating surface 55 formed in one direction so as to divide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holes 53 arranged as shown in FIGS. 6 and 7. Since the collet 51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collet 31 of the support 3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실린더(22)의 일측에 형성된 인장측 포트(25)에는 실린더(22)의 인장측 유압실(24)내에 작용되는 유압을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P)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력계(P)는 인장측 유압실(24)의 현재 내압을 눈금 및 지침으로 나타내어 줌으로써 상기 강연선(5)의 재인장 여부를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계(P)의 외측에는 상기 첵밸브(26)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22)의 외주면에는 반복 시행되는 인장작업 현황 즉, 인장작업 후 압력계(P) 상에 나타나는 압력 수치를 매회 기록하여, 차후의 점검시 실린더(22) 내부의 압력저하 여부를 대조 확인하기 위한 인장기록표(28)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side port 25 formed at one side of the cylinder 22 is provided with a pressure gauge P capable of confirming the hydraulic pressure acting in the tension-side hydraulic chamber 24 of the cylinder 22. The pressure gauge P may immediately recognize whether the strand 5 is re-tensioned by indicating the current internal pressure of the tension-side hydraulic chamber 24 as a scale and a guide, and on the outside of the pressure gauge P The valve 26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2 is recorded repeatedly the current state of the tension operation, that is, the pressure value appearing on the pressure gauge (P) after the tensioning operation every time, to check whether the pressure drop inside the cylinder 22 in the subsequent inspection Tension record table 28 is attached.

한편, 상기 간격유지구(40)는 상기 인장잭(20)의 전방단부와 지지체(30)의 후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장잭(20)의 작동에 따라 인장되는 각 강연선(5) 및 그 각 강연선(5)과 함께 지지체(30)로부터 이탈되는 각 콜렛(31)이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구(40)에는 지지체(30)의 각 콜렛(31)을 통해 인출된 강연선(5)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공(4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각 통공(43)의 입구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체(30)의 지지공(33)으로부터 이탈되는 각 콜렛(31)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동공(42)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acer 40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tension jack 20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 30, each of the stranded wire (5) is tension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ension jack 20 and its Each collet 31 separated from the support 30 together with each of the strands 5 is supported so as not to move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gap holding portion 40, through-holes 43 for passing the strands 5 drawn out through the collets 31 of the support 30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the inlets of the through-holes 43 are formed. At the side end, a flow hole 42 is formed so as to move the collet 31 separated from the support hole 33 of the support 30 to the rear.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재긴장장치의 외부에는 원통형 보호커버(미도시)가 씌워진다. 상기 보호커버는 일단이 정착구(10)의 고정판(11)에 고정되고, 그 보호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인장잭(20)의 각 포트(25)(27) 및 압력계(P)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보호커버의 단부에는 강연선(5)의 인장작업시 개방하는 보호캡(미도시)이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re-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vered with a cylindrical protective cover (not shown). One end of the protective cover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11 of the fixing unit 10, and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may expose each port 25, 27 and the pressure gauge P of the tension jack 20. It has a structure, and a protective cap (not shown) that is opened during the tensioning operation of the strand 5, the end of the protective cover is screw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재긴장장치를 이용한 강연선(5)의 인장방법 및 그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tensile method and the action of the strand 5 using the re-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작용을 보인 것으로, 도 5a는 시공 후 교량 구조물에 처짐 변형이 발생할 때까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b는 교량 구조물의 처짐 변형시 본 고안에 적용된 인장잭(20)을 적정 유압으로 작동시켜 강연선(5)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c는 강연선(5)의 장력조절 후 교량 구조물에 처짐 변형이 계속 진행되어 상기 인장잭(20)의 내압이 저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d는 교량 구조물의 재차 처짐 변형시 상기 인장잭(20)을 적정 유압으로 작동시켜 강연선(5)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조절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e는 도 5d에서와 같이 상기 인장잭(20)이 최대한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교량 구조물에 처짐 변형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에, 상기 인장잭(20) 내의 플런저(21) 위치를 최초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그 단부의 고정부재(50)를 분리한 상태의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ures 5a to 5e shows the action of the re-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until the deflection deformation occurs in the bridge structure after construction, Figure 5b is a deflection deformation of the bridge structu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jack 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to maintain the initial tension of the strand 5 by operating with proper hydraulic pressure, FIG. 5C is a deflection deformation of the bridge structure after tension adjustment of the strand 5. 5D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ension jack 20 is lowered, and FIG. 5D shows the initial tension of the strand 5 by operating the tension jack 20 with proper hydraulic pressure when the bridge structure sag again. 5E shows the tension jack 20 when the deflection deformation continues to the bridge structure i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on jack 20 is fully operated as shown in FIG. 5D. Within Low-21 position a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eparate fixing member 50, the state diagram of its ends in order to restore to the initial position, respectively.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5)의 인장은 피씨빔(1)의 시공단계에서 설계된 초기의 적정 긴장상태를 유지하다가 소정 기간이 경과 후 처짐 변형이 발생하면, 도 5a에서와 같이 압력계(P)가 저압 상태를 나타내고, 이를 확인하여 피씨빔(1)의 확장된 요입 공간부(1a) 내에 고정 설치된 인장잭(20)을 도 5b와 같이 후진시켜 상기 강연선(5)을 재긴장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ension of the strand 5 is maintained in the initial proper tension state designed in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PC beam 1, when the deflection deformation occurs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ressure gauge as shown in Figure 5a (P) indicates a low pressure state, and checks this to reverse the tension jack 20 fixedly installed in the expanded concave space portion 1a of the PC beam 1 as shown in FIG. 5B to retension the strand 5. do.

즉, 상기 인장잭(20)의 인장측 포트(25)에 설치된 압력계(P)로부터 인장측 유압실(24)에 작용하는 유압 상태를 확인하여 그 유압 상태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인장잭(20)의 인장측 포트(25)에 유압펌프(미도시)를 연결하여 적정압이 유지될 때까지 인장측 유압실(24) 내부로 유압을 가하게 되고, 상기 인장잭(20)의 플런저(21)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플런저(21)의 단부에 접촉된 고정부재(52)를 점차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콜렛(51)은 고정부재(52)의 지지공(53) 내에서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상기 강연선(5)의 단부를 외측으로 잡아 당기게 되고, 상기 지지체(30)의 콜렛(31)은 지지공(33)으로부터 자동 이탈하여 유동공(42)의 내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강연선(5)이 플런저(21)에 의해 적정 장력을 유지하면서 피씨빔(1)의 처짐 변형 상태를 복원하게 된다.That is, the hydraulic pressure acting on the tension-side hydraulic chamber 24 is checked from the pressure gauge P installed in the tension-side port 25 of the tension jack 20, and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low, the tension jack 20 is used. A hydraulic pump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tension side port 25 of the hydraulic pressure chamber 24 to a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tension side hydraulic chamber 24 until the proper pressure is maintained, and the plunger 21 of the tension jack 20 is connected. While moving backwards, the fixing member 52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plunger 21 is gradu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t this time, the collet 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hole 53 of the fixing member 52 to pull the end of the strand 5 to the outside, and the collet 31 of the support 30 By automatically moving away from the support hole 33 to move into the flow hole 42, the strand 5 is to restore the deflection deformation state of the PC beam 1 while maintaining the appropriate tension by the plunger 21. do.

상기와 같은 인장잭(20)의 작동에 따라 강연선(5)의 인장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장잭(20)의 인장측 유압실(24) 내에 작용되는 압력은 상기 압력계(P)에 표시되고, 유압이 증가됨에 따라 압력계(P)의 수치도 점차 상승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그 작업 일자와 상기 압력계(P)에 나타난 압력수치 등을 상기 인장기록표(215)에 기재한다.The pressure acting in the tension-side hydraulic chamber 24 of the tension jack 20 in the process of the tension of the strand 5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ension jack 20 as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on the pressure gauge (P) As the hydraulic pressure is increased, the value of the pressure gauge P may gradually increase, and when all the work is completed, the operator may indicate the working date and the pressure value shown in the pressure gauge P in the tensile record table 215. List it.

한편, 강연선(5)의 장력조절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여 도 5c에서와 같이 피씨빔(1)에 또 다시 처짐 변형(응력손실)이 발생하였음을 상기 압력계(P)를 통해 확인하게 되면, 상기의 방법으로 도 5d와 같이 강연선(5)을 재차 인장하여 적정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피씨빔(1)의 처짐 상태를 복원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trand 5 is confirmed through the pressure gauge (P) that the deflection deformation (stress loss) occurred again in the PC beam 1 as shown in Figure 5c, In the method of FIG. 5D, the stranded wire 5 is stretched again to maintain proper tension, thereby restoring the deflection state of the PC beam 1.

이와 같이 수차례의 장력 조절작업을 수행하여 도 5d와 같이 상기 인장잭(20)이 최대한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교량 구조물에 처짐 변형이 또 다시 발생한 경우에는, 더 이상의 장력 조절작업을 진행할 수 없으므로, 도 5e에서와 같이 상기 인장잭(20) 내의 플런저(21) 위치를 최초 위치로 복원시킨 후 재작동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deflection deformation occurs again in the bridge structure while the tension jack 20 is fully operated as shown in FIG. 5D, the tension adjustment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any more. As shown in FIG. 5E, the position of the plunger 21 in the tension jack 20 should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n restarted.

즉, 인장측 포트(25)에 연결된 첵밸브(26)를 개방하여 인장측 유압실(24) 내의 유압을 제거함과 아울러, 이완측 포트(27)를 통해 이완측 유압실(29) 내부로 유압을 가하여 플런저(21)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강연선(5)이 콜렛(31)과 함께 급속히 빨려 들어가면서 상기 콜렛(31)이 지지체(30)의 지지공(33)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상기 강연선(5)의 단부에는 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플런저(21)의 단부에 충격을 가하면 그 내주경사면(21a)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50)를 분리함과 아울러 그 콜렛(51)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강연선(5)의 단부를 잡아당겨 조절하고 상기 고정구(50)를 재 삽입 설치한 후, 인장잭(20)의 내부에 유압을 가하여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 상기 강연선(5)의 재긴장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check valve 26 connected to the tension side port 25 is opened to remove the oil pressure in the tension side hydraulic chamber 24, and the oil pressure is released into the relaxation side hydraulic chamber 29 through the relaxation side port 27. When the plunger 21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applying the plunger 5, the strand 5 is rapidly sucked together with the collet 31, and the collet 31 is firmly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33 of the support 30. The end of the strand 5 is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ension is not applied, and when the end of the plunger 21 is impacted, the fixing member 50 is sepa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lope 21a and the collet ( 51) can also be easily removed. After pulling and adjusting the end of the strand 5 in this state and reinserting the fixture 50, a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tension jack 20 to repeat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rand Retension of (5) becomes possible.

본 고안은 상기 인장잭(20)의 플런저(21)와 강연선(5)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2)를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 직접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소요 부품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인장잭(20)의 작동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요입 공간부(1a) 내에서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52 for fixing the plunger 21 and the end of the strand 5 of the tension jack 20 without a separate support member to reduce the required parts, the By minimizing the working distance of the tension jack 20,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work more easily in the recessed space portion (1a).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이 I형 피씨빔(1)으로 사용되는 일반 교량용 거더에 적용된 것을 일례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교량은 각종 형태의 상부구조 즉, T빔, 박스거더 등의 각종 빔 또는 트러스교, 슬래브교, 게르바교, 라멘교 등의 각종 상부 구조물 및 FCM 공법, ILM 공법 등이 적용되는 연속보 교량용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 이외에도 각종 구조물에 사용되는 골조용 거더 등의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tress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described as an example applied to the general bridge girders used as the I-type PC beam (1),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uitable for various types of superstructures such as T beams, box girders, or various superstructures such as truss bridges, slab bridges, gerba bridges, and ramen bridges, and prestressed structures for continuous beam bridges to which FCM, ILM, etc. are applied. In addition to the bridg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prestressed structures, such as frame girders used in various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bridg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재긴장장치는 피씨빔(1)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제작시 구조물이 양단부에 노출되는 정착구(10)의 후단에 그 정착구(10)의 후방으로 인출된 강연선(5)을 반복하여 인장할 수 있는 긴장수단(T)을 함께 설치하고 그 긴장수단(T)에 강연선(5)의 응력손실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P)를 장착하여 일차 시공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프리스트레스 힘에 손실 발생시 이를 수시 점검하여 응력손실이 발생된 강연선(5)을 재긴장할 수 있게 구성함에 있어서, 인장잭(20)의 플런저(21)와 강연선(5)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2)를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 플런저(21)의 삽입부 내에 직접 삽입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소용 부품을 절감하고,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장잭(20)의 작동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구조물 단부에 형성된 요입 공간부(1a) 내에서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tensio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anded wire 5 drawn to the rear of the anchorage 10 at the rear end of the anchorage 10 in which the structure is exposed at both ends when the prestress structure such as the PC beam 1 is manufactured. The prestressing force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pre-installed by installing the tension means (T) which can be repeatedly tensioned and the pressure gauge (P) which can check the stress loss of the strand (5) from time to time. In the case that the loss occurs at any time to check the reinforcement of the strand (5) where the stress loss is generated, the fixing member 52 for fixing the plunger 21 and the end of the strand (5) of the tension jack 20 By inserting directly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plunger 21 without a separate support member to reduce the use parts,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as well as minimize the working distance of the tension jack 2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work more easily in the recess space (1a) formed at the end of the structure.

Claims (1)

빔 구조물의 양단부로 인출되는 내부 강연선(5)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정착구(10)의 단부에 부설되어 그 후방으로 상기 강연선(5)을 인장시켜주기 위한 플런저(21) 및 실린더(22)로 구성되는 인장잭(20)과, 이 인장잭(20) 및 정착구(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강연선(5)을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강연선(5)의 둘레에 각각 콜렛(31)이 결합되고 이 콜렛(31)의 작동을 안내 및 제어하는 지지체(30) 및 간격유지구(40)와, 상기 인장잭(20)의 플런저(21)에 의해 인장된 각 강연선(5)의 단부를 잡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콜렛(51)을 수용하는 고정부재(52)로 구성되고, 이 고정부재(52)가 상기 플런저(21)의 후단부에 직접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The plunger 21 and the cylinder 22 which are attached to the end of the anchorage 10 installed to support each of the inner strand 5 drawn out at both ends of the beam structure to tension the strand 5 in the rear thereof. The collet 31 is interposed between the tension jack 20, and the tension jack 5 interposed between the tension jack 20 and the fixing device 10 so as to hold and fix the strand wire 5. End of each of the strands 5 which are coupled and tensioned by the plunger 21 of the tension jack 20 and the support 30 and the spacing 40 to guid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llet 31. It consists of a holding member 52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collets (51) for holding and fixing the, the holding member 52 is a member of the prestresse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is directly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lunger 21 Tension device.
KR2019980009747U 1997-12-31 1998-06-09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KR200209297Y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747U KR200209297Y1 (en) 1998-06-09 1998-06-09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US09/224,712 US6318038B1 (en) 1997-12-31 1998-12-31 Apparatus for retensing pre-stress structure
FR9816724A FR2773186B1 (en) 1997-12-31 1998-12-31 APPARATUS FOR TENSIONING A PRE-STRESSED STRUCTURE
JP11000192A JP3037943B2 (en) 1997-12-31 1999-01-04 Prestressed structure re-tensio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747U KR200209297Y1 (en) 1998-06-09 1998-06-09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59U KR20000000359U (en) 2000-01-15
KR200209297Y1 true KR200209297Y1 (en) 2001-01-15

Family

ID=6951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747U KR200209297Y1 (en) 1997-12-31 1998-06-09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297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633B1 (en) * 1999-12-08 2002-08-22 박재만 Apparatus to restrain prestress structure
KR100824972B1 (en) * 2007-04-26 2008-04-28 이인귀 Load a loss prevention for head
KR100950265B1 (en) * 2009-04-24 2010-03-31 이인귀 Retension cylin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486A (en) * 1999-10-08 2001-05-07 박상일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ulti-step tension prestressed girder
KR100434685B1 (en) * 2001-05-25 2004-06-07 이창남 Oil Pressure Pushing Instrument of Wedge Cone
KR101239314B1 (en) * 2009-11-24 2013-03-06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Fixing head to prevent wire from bending and wire tens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301712B1 (en) * 2010-12-27 2013-08-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Device for inducing uniform tension
CN110565545A (en) * 2019-08-21 2019-12-13 杭州钜力锚杆科技有限公司 stress low-loss, low-retraction and self-locking anchorag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633B1 (en) * 1999-12-08 2002-08-22 박재만 Apparatus to restrain prestress structure
KR100824972B1 (en) * 2007-04-26 2008-04-28 이인귀 Load a loss prevention for head
KR100950265B1 (en) * 2009-04-24 2010-03-31 이인귀 Retension cyl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59U (en)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237B1 (en) Method, member, and tendon for constructing an anchoring device
JP3037943B2 (en) Prestressed structure re-tensioning device
KR100858397B1 (en) Fixing system used in prestressed concrete beam having block-out upper portion at end thereof and method of applying prestress thereon using same
KR100261556B1 (en) Restrain apparatus for prestress structure
JPS6195104A (en) Apparatus used in attaching tensile member such as steel wire or steel twisted wire
KR200209297Y1 (en)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JP3890148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d tensioning a freely tensionable tension member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KR20110111907A (en) Saddle assembly
JP2005273392A (en) Method of reinforcing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steel
CN110184954B (en) Bridge prestressed body outer cable dismantling method
KR100348633B1 (en) Apparatus to restrain prestress structure
JP2709279B2 (en) Saddle structure for cable-stayed cable on main tower side of cable-stayed bridge
US2811773A (en) Method for prestressing stranded cable
KR0141551B1 (en) Repairing method of bridge beam and apparatus therefor
KR200255080Y1 (en)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JP6232300B2 (en) Re-fixing method for existing PC steel
KR102391522B1 (en) Outer steel wire fixing apparatus with double wedge anchorage and eccentricity adjustable saddle, and outer steel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JP3108619B2 (en) Method of introducing prestress into concrete block for anchoring outer cable of concrete girder
KR20040091350A (en) Prestressed steel girder
KR20040027293A (en) Method and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ucture Using Tendon and Saddle Apparatus therefor
KR101645007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wedge
KR102315988B1 (en) press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composite girder using thereof
KR200800042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by wire tensioning
JP2011190616A (en)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tensioning force of tendon
JP2005113539A (en) Bridge segment and its instal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