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705Y1 -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705Y1
KR200208705Y1 KR2020000020248U KR20000020248U KR200208705Y1 KR 200208705 Y1 KR200208705 Y1 KR 200208705Y1 KR 2020000020248 U KR2020000020248 U KR 2020000020248U KR 20000020248 U KR20000020248 U KR 20000020248U KR 200208705 Y1 KR200208705 Y1 KR 200208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cope
barrel
photographing
lens
observ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엠.코퍼레이션
배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엠.코퍼레이션, 배춘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00020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1Optical details, e.g. image relay to the camera or image sens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CD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수단과 현미경 대안렌즈 경통을 촬영장치로 결합한 다음 상기 대안렌즈 경통을 현미경의 대안렌즈 부분에 삽입시켜 현미경 관찰영상을 간편하고 쉽게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영수단이 부가설치된 종래 현미경은 대안렌즈와는 별도의 위치에 어댑터를 설치하여 전용 촬영수단을 장착하는 구성이므로 어댑터로 별도의 광로(光路)를 설정해야 하고, 또한 촛점거리를 고려하여 어댑터의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를 사용하므로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정밀도가 요구되며 전용 촬영수단이 1 세트로 구비되어 제품화되므로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할 뿐 아니라 범용성이 떨어지고 촛점거리 조정이 까다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CCD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수단을 쉽게 탈ㆍ부착 할 수 있는 촬영장치의 선단부에 대안렌즈가 결합된 구성의 경통을 나사결합하여 촬영수단의 대물렌즈와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되 관찰영상을 촬영할 때 상기 경통을 현미경의 대안렌즈 부분에 결합시켜 현미경의 관찰영상을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촬영장치는 촬영수단을 쉽게 탈ㆍ부착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이므로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나사결합된 경통을 회전시켜 촬영수단과 경통의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별도의 포커싱 렌즈가 필요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촛점거리를 한 번만 셋팅하면 되므로 현미경의 관찰영상을 촬영할 때마다 매 번 촛점거리를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며, 촬영수단의 종류나 크기에 구애됨이 대부분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사용으로 필터링 된 관찰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Observation image the photographing device using the microscope ocular lens}
본 고안은 현미경의 대안렌즈(ocular lens) 부분에 간편히 끼워 현미경 관찰영상을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촬영할 수 있는 현미경 관찰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물학(미생물학)을 비롯한 여러 과학분야 및 산업분야와 반도체 관련분야, 의학 관련분야, 학교에서의 관찰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현미경은 미시세계 또는 극미세계를 크게 확대하여 육안으로 관찰 또는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실험에 있어 광학현미경을 이용할 경우 관찰영상(피검사체 화상)의 연속적인 변화 및 운동 등을 확대하여 볼 수는 있으나 기록으로 남기기에는 몇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이를 해결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현미경의 일단에 별도의 어댑터를 설치하여 전용 촬영수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현미경이 안출된 바 있으며, 대안렌즈와는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전용의 촬영수단이 연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어댑터로 향하는 광로(光路)를 별도로 설정 및 설계하여야 하고 또한 촛점거리를 고려하여 어댑터의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를 사용하게 되므로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정밀도가 요구되고 전용 촬영수단이 1 세트로 구비되어 제품화되므로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며, 전용 촬영수단을 사용하는 형편이므로 범용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촛점거리 조정이 까다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CCD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수단과 현미경 대안렌즈가 결합된 경통을 현미경의 대안렌즈 부분에 삽입시켜 현미경 관찰영상을 쉽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촬영장치의 일단 또는 광로(光路)의 중간에 크로스 필터ㆍ편광필터ㆍ접사필터ㆍ색광필터 등과 같은 각종 필터를 설치하여 필터처리 된 관찰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현미경 관찰영상을 정지영상(정지 이미지)이나 동영상으로 캡쳐(갈무리)하고자 할 때 대안렌즈를 갖는 현미경의 내통을 제거한 다음 촬영수단과 현미경용 대안렌즈가 미리 결합된 촬영장치를 내통이 제거된 상기 현미경의 외통에 삽입시켜 현미경의 관찰영상(피사체 화상)를 간단하고 편하게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촬영수단이 결합되는 외통과, 외통과 경통를 결합하는 연결구와,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영상(피검체 화상)을 촬영할 때 현미경의 외통에 결합되는 경통과, 경통의 대안렌즈와 촬영수단의 대물렌즈의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하는 촛점조정수단으로 구성하여 촬영수단으로 현미경 관찰영상을 정지영상(정지 이미지)이나 동영상으로 캡쳐(갈무리) 및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촬영수단을 쉽게 탈ㆍ부착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촬영장치를 현미경의 외통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현미경의 관찰영상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구에 나사결합되는 경통을 회전시켜 촬영수단의 대물렌즈와 경통 대안렌즈와의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처럼 별도의 포커싱 렌즈가 필요없도록 하고, 촛점거리를 한 번만에 셋팅할 수 있도록 하여 현미경의 관찰영상을 촬영할 때마다 촛점거리를 매번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촬영수단이 결합되는 삽입공의 내경은 촬영수단의 종류나 크기에 부합하는 크기로 형성하여 촬영수단의 종류나 크기에 구애됨이 대부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 종래 고안의 외관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촬영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촬영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4 : 본 고안 촬영장치의 삽지부 부분 단면도.
도 5 :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6 : 본 고안 도 5의 일부분 단면도.
도 7 :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촬영장치 (12)--촬영수단
(14)--외통 (16)--경통
(18)--대안렌즈(ocular lens) (20)--대물렌즈
(22)--연결구 (24)--현미경
(26)--현미경 외통 (28)(30)--삽입공
(32)--나사부 (34)(56)--단턱부
(36)--삽지부 (38)--돌출테
(40)--조임링 (42)--조임링의 경사면
(44)--촬영수단의 경통 (46)(48)(52)--나사부
(50)--걸림테 (54)--통공
(f)--필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현미경(24)의 대안렌즈 부분과 CCD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각종 촬영수단(12)을 결합시키는 촬영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체 부품이 결합되고 또한 상기 촬영수단(12)이 탈ㆍ부착되는 외통(14)과, 외통(14)과 경통(16)를 원만하게 결합(연결)하는 연결구(22)와,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영상(피검체 화상)을 촬영할 때 현미경(24)의 내통(대안렌즈 경통)을 대신하여 외통(26)에 결합되는 경통(16)과, 경통(16)을 움직여 경통(16)의 대안렌즈(18)와 촬영수단(12)의 대물렌즈(20) 간(間)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하는 촛점조정수단으로 크게 구성되며, 도 2는 이러한 본 고안 촬영장치(10)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촬영장치(10)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외통(14)은 중공부가 형성되는 관체형상으로 크고 작은 내경의 삽입공 (28)(30)이 선ㆍ후단에 각각 형성된다. 직경이 다소 큰 선단 삽입공(30)의 내주면에는 연결구(22)가 체결되는 나사부(32)가 빙둘러 형성되며, 외통(14)의 후단에는 단턱부(34)에 의해 직경이 다소 작은 삽지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삽지부(36)의 외면 끝자락에는 바깥방향으로 만곡된 돌출테(38)가 빙둘러 형성되고, 돌출테(38)와 단턱부(34) 사이에는 조임링(40)이 헐겁게 끼워진다.
상기 조임링(40)의 내경은 돌출테(38)의 외경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구성되며, 조임링(40)의 내주면에는 도 4와 같이 돌출테(38) 방향으로 향 할수록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경사면(42)이 형성되어 돌출테(38)를 눌러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선단 삽입공(28)에 촬영수단(12)의 경통(44)을 끼운 다음 조임링(40)을 촬영수단(12) 방향으로 밀게되면 경사면(42)의 가압작용에 의해 돌출테(38)가 가압되고 삽지부(36)가 협소해지면서 촬영수단(12)의 경통(44) 외면을 가압 지지하게 되므로 촬영수단(12)이 삽지부(36)에 견고히 고정되며 그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외통(14)에 체결되는 연결구(22) 역시 관체형상이나 외통(14)보다는 다소 두꺼운 구조이며, 그 외면에는 외통(14)의 나사부(32)에 체결되는 나사부(46)가 빙둘러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현미경(24)의 내통(58)과 같은 구조의 경통(16)을 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나사부(48)가 빙둘러 형성되며, 연결구(22)의 선단에는 걸림테(50)가 형성되어 외통(14)으로의 과도한 진입이 방지되고 경통(16)의 외주면에는 연결구(22)가 결합되는 나사부(52)가 빙둘러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도 3, 도 6과 같이 광로(光路)의 중간 이를테면, 대물렌즈(20)와 대안렌즈(18) 사이 또는 경통(16)의 내부 또는 외통(14)과 경통(16) 사이에 크로스 필터, 편광필터ㆍ접사필터ㆍ색광필터 등과 같은 각종 필터(f)를 설치하여 필터처리 된 관찰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처럼 광로의 중간에 필터(f)를 사용하는 경우 필터를 사용할 수 없는 자동카메라에도 필터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경통(16)을 움직여 촬영수단(12)과 경통(16)의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하는 촛점조정수단은 상기 연결구(22)와 경통(16)에 빙둘러 형성되는 나사부(48)(52)가 담당하게 된다.
즉, 연결구(22)에 나사결합되는 경통(16)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경통(16)의 대안렌즈(18)와 촬영수단(12)의 대물렌즈(20) 간(間)의 이격거리를 적절히 조정하여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처럼 별도의 포커싱 렌즈가 불필요해질 뿐 아니라 허상의 명료도나 선명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촛점거리를 한 번만 셋팅하면 되므로 현미경 (24) 관찰영상을 촬영할 때마다 매 번 촛점거리를 조정하는 불편성이 없어진다.
본 고안에서 현미경(24)의 외통(26)에 결합되는 경통(16)은 촬영을 위하여 분리되는 현미경(24)의 내통(58)과 같은 구성을 띄게 된다.
예를들면 도 3, 도 6과 같이 경통(16)의 후단에 대안렌즈(18)가 고정되고, 내부 중간 부위에 색수차 제거용 통공(54)과 복수 개의 단턱부(56)가 형성되므로 현미경(24)으로 관찰하는 수준의 연속영상, 동영상,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서 대안렌즈를 갖는 내통(58)은 본 고안 촬영장치(10)를 현미경(24)의 외통(26)에 결합하기 위하여 현미경(24)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이다.
미 설명 부호 (60)은 대물렌즈부, (62)는 지지봉, (64)는 받침대, (66)은 죄임구, (68)은 연결부재, (70)은 배율조정구, (72)는 슬라이드 탄지편, (74)는 촬영수단의 셔터, (76)은 촬영수단의 보조셔터, (78)은 입사광, (80)은 광로(光路)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촬영장치(10)는 도 6과 같이 촬영수단(12)이 결합되고 경통(16)의 회전에 의해 렌즈(18)(20) 끼리의 촛점거리가 무한대로 맞춰진 상태로 촬영준비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미경(24)으로 피사체를 관찰하다가 촬영이 필요한 경우 또는 영상 데이터(이미지 데이터)로 남기거나 여러명이 볼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현미경에 부가 설치되는 별도의 어댑터에 전용 촬영수단을 결합하여 촬영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CCD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수단(12)이 결합된 경통(16)의 선단 부분을 도 7과 같이 내통(58)이 제거된 현미경(24)의 외통(26)에 결합시켜 현미경(24)으로 관찰되는 영상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으며, 모니터나 빔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여러명이 동시에 볼수 있게 된다.
상기 경통(16)의 후단에는 대안렌즈(18)가 고정되고, 내부 중간 부위에 색수차 제거용 통공(54)과 복수 개의 단턱부(56)가 형성되어 현미경(24)의 내통(58)과 똑 같은 구성과 조건이므로 현미경(24)으로 관찰하는 수준의 연속영상, 동영상, 정지영상을 그대로 촬영하거나 여러명이 동시에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촬영셔터는 촬영수단(12)의 본체에 설치된 셔터(74)를 이용하거나 아니면 보조셔터(76)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관찰영상의 촬영이 끝나 촬영장치(10)를 현미경(24)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외통(26)에 삽입된 경통(16)을 분리하면 쉽게 분리되며, 촬영을 위하여 분리하였던 내통(58)은 본래 위치인 현미경의 외통(26)에 결합시키면 현미경 본래의 기능으로 회복된다.
또한, 촬영수단(12)과 촬영장치(14)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6에서 조임링(40)을 외통(14)이나 단턱부(34) 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지부(36)와 돌출테(38) 사이에 위치시키면 삽지부(36)의 협지력이 쉽게 해지되므로 촬영수단(12)과 본 고안 촬영장치(10)를 힘 안들이고 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촬영수단(12)이 본연의 촬영기능으로 회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현미경을 통해 관촬영상(피검체)를 확대해서 관찰한 후 이 화상을 촬영장치가 결합된 CCD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컴퓨터로 편집하거나 VCR에 기록하거나 또는 모니터나 빔 프로젝터 등으로 영상처리하면 많은 사람이 동시에 현미경 관찰영상(피검체 화상)을 볼 수 있게된다.
또한, 광로(光路)의 중간에 필터(f)를 사용한 경우 필터링 된 관찰영상이 찰영되며, 상기와 같이 모니터나 빔 프로젝트 등을 이용하면 필터링 된 관찰영상을 여러 사람이 볼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촬영수단을 쉽게 탈ㆍ부착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촬영장치를 현미경의 외통에 결합하는 것으로 현미경의 관찰영상을 쉽고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므로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연결구(22)에 나사결합된 경통(16)의 위치를 이동시켜 촬영수단(12)과 경통(16)의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허상의 명료도나 선명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종래처럼 별도의 포커싱 렌즈가 불필요하며, 촛점거리를 한 번만 셋팅하면 되므로 현미경(24) 관찰영상을 촬영할 때마다 매 번 촛점거리를 조정해야하는 불편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장치에 필터(f)를 부가 설치하여 필터처리된 관찰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모니터나 빔 프로젝트를 사용하면 여러사람이 확대 및 필터처리된 관찰영상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장치의 광로 중간에 필터(f)가 부가 설치되므로 필터를 사용할 수 없는 자동카메라도 필터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수단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촬영수단(12)이 결합되는 삽입공(28)의 내경을 이에 부합하는 크기로 형성하면 촬영수단(12)의 종류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대부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현미경 관찰영상 촬영수단이 결합되는 촬영장치에 있어서, 촬영수단이 탈ㆍ부착되는 외통과, 외통과 경통를 결합하는 연결구와,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영상(피검체 화상)을 촬영할 때 현미경의 대안렌즈 부분에 결합되는 경통과, 경통의 대안렌즈와 촬영수단의 대물렌즈의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하는 촛점조정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수단(12) 결합용 삽입공(28)이 형성된 외통(14)의 삽입공(30) 내주면에 연결구(22)가 체결되는 나사부(32)를 형성하고, 외통(14)의 삽지부(36)에 돌출테(38)를 형성하고, 돌출테(38)와 단턱부(34) 사이에 돌출테 방향으로 확개 경사면(42)이 형성된 조임링(40)을 헐겁게 끼우고, 외통(14)에 체결되는 연결구(22)의 외면에 나사부(46)를 형성하고, 연결구(22)의 나사부(48)에 대안렌즈 (18)를 가지면서 현미경(24)의 내통(58)과 같은 구조의 경통(16)을 체결하고, 연결구(22)의 선단에 걸림테(5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구(22)에 나사결합되는 경통(16)은 결합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경통(16)의 대안렌즈(18)와 촬영수단(12)의 대물렌즈(20) 사이(間)의 촛점거리를 무한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촬영수단(12)은 CCD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 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촬영장치(10)의 광로(光路)의 중간에 필터 (f)를 설치하여 필터처리 된 관찰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KR2020000020248U 2000-07-14 2000-07-14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KR200208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48U KR200208705Y1 (ko) 2000-07-14 2000-07-14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48U KR200208705Y1 (ko) 2000-07-14 2000-07-14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586A Division KR20000063466A (ko) 2000-07-14 2000-07-14 현미경 접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705Y1 true KR200208705Y1 (ko) 2001-01-15

Family

ID=7308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248U KR200208705Y1 (ko) 2000-07-14 2000-07-14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7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25B1 (ko) * 2002-01-09 2005-03-17 (주)피엘엠 현미경의 영상처리용 연결장치
CN109491070A (zh) * 2019-01-08 2019-03-19 杜升烨 一种用于显微镜双目镜上方的传像放大显视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225B1 (ko) * 2002-01-09 2005-03-17 (주)피엘엠 현미경의 영상처리용 연결장치
CN109491070A (zh) * 2019-01-08 2019-03-19 杜升烨 一种用于显微镜双目镜上方的传像放大显视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3787B2 (en) Magnifying attachment for a camera
JP5802885B2 (ja) カメラホルダと光学系アダプタとを備えたカメラアダプタ
US20050111088A1 (en) Microscope camera
JP2008152251A5 (ko)
US20070247541A1 (en) Image recording device for connection to an observation device and observation device having an image recording device of this type
US7843646B2 (en) Switchable magnification lens and 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197406A (ja) 撮像装置
KR200208705Y1 (ko) 현미경 대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장치
JP2001159733A (ja) 撮像補助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KR20000063466A (ko) 현미경 접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방법 및 그 장치
JP4277422B2 (ja) 光学装置
JP3934975B2 (ja) デジタルカメラ用アダプタ
CN112639572B (zh) 全光目镜装置
CN101726824B (zh) 倍率变换镜头及摄像装置
JP2001159735A (ja) リレーレンズ装置
RU48228U1 (ru) Фототубус для микроскопа
KR100263320B1 (ko) 실물화상기용 접안렌즈 겸용 접사렌즈 유니트
JP2002031765A (ja) 顕微鏡用アダプタ
JPH0738909Y2 (ja) 撮影アダプタ
JP7217442B2 (ja) 鏡筒用カメラアダプタ
JP3093414U (ja) デジタルカメラ用高倍率拡大撮影装置
JPH0455808A (ja)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装置
JP2006126586A (ja) アイカップ兼望遠鏡側アダプタ並びにこれを備えたアイピース及び望遠鏡
JP2003202626A (ja) 撮影アダプタ
US20040099809A1 (en) Image intensifying visual scann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