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563Y1 -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563Y1
KR200208563Y1 KR2020000013879U KR20000013879U KR200208563Y1 KR 200208563 Y1 KR200208563 Y1 KR 200208563Y1 KR 2020000013879 U KR2020000013879 U KR 2020000013879U KR 20000013879 U KR20000013879 U KR 20000013879U KR 200208563 Y1 KR200208563 Y1 KR 200208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fragrance
terminal
housing
fragranc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익
Original Assignee
김주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익 filed Critical 김주익
Priority to KR2020000013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5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563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시거잭(2)의 소켓(6)에 향카트리지(10)를 결합한 플러그(8)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향카트리지(10)의 히터부(28)를 자동차 메인스위치와 연동시켜 자동차가 운행중에만 작동하게 하여 향카트리지(10)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비용절감 실현과 함께 교환주기를 보다 연장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향카트리지(1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수납부(12)와, 상기 수납부(12) 배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플러그(8)와, 상기 수납부(12)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플러그(8)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부(28)로 구성된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Perfume atomizer with cigar plug of passenge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시거잭의 소켓에 향카트리지를 결합한 플러그를 필요에 따라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카트리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비용절감 실현과 함께 방향제의 교환주기를 보다 연장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경우 좁은 실내로 인해 흡연 또는 매연의 유입으로 인하여 늘 불쾌한 냄새가 베어져 있게 되는데, 특히 여름에는 세균의 활동이 활발하여 불쾌한 냄새는 물론 위생상으로도 인체에 유해하다.
따라서, 자동차 실내에 베어져 있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품이 개발되어 있는데, 그 하나는 오존 발생기 등을 이용해서 소취작용을 하게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액체 또는 고체형 방향제를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 통에 넣은후 발산시켜 일정 기간동안 실내공간에 퍼져 나가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뚜껑이 분출구를 조정해 줌으로써 향기의 발산량이나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차량 탑승시간은 대부분 하루에 2-3 시간 정도에 지나지 아니할 뿐 아니라 대부분 차를 비워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시간동안 운전자가 일일이 방향제가 담겨져 있는 병뚜껑을 조작하여 닫아두지 않는 한 불필요하게 방향제가 발산하게 되어, 1-2 개월만에 방향제를 교환해 주어야 하는 등 낭비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차용 방향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 기술로써, 공개실용실안공보 제 97-60722호에서는 온/오프 스위치가 설치된 방향제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8-61067호에서는 소켓이 설치된 대쉬패널과, 상기 대쉬패널 속에 삽입되는 방향제 키트로 구성된 자동차용 방향제 키트를 공개하고 있는바, 상기 방향제 키트는 방향제 케이스와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부가 개구된 상자형으로써, 전기적 자극에 의해 방향물질이 차량 실내로 확산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63-140951호에서는 자동차의 시거잭에 탈착이 가능한 플러그를 일측에 갖는 자동차용 전자향로 장치를 공개하고 있는바, 이 전자 향로장치는 본체에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일정온도를 유지하도록 된 서모스타트 및 히타, 상기 히타의 일부에 향제를 수납하고 향기를 발산하게 하는 향로실을 가지며, 그리고 이들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해주는 전자회로기판 및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기술은 많은 부품이 결합되어 있어 그 구성이 복잡하고 사람이 일일이 스위치로 조작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방향제를 개발코자 여러 가지로 연구를 거듭한 끝에, 전기적인 가열에 의해 향을 발산하는 장치를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시거잭에 꽂으면, 자동차가 운행 중에만 전기가 들어오게 되어 있는 관계로 통상의 방향제로는 1-2개월밖에 사용 못하는 것도 6개월 이상 장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제 수납통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안출하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시거잭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자동차의 시거잭에 한번 꽂아 놓으면 일일이 스위치를 켜거나 조작하는 행위 없이도 수개월 이상 장기간을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케이스의 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소켓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시거잭 4:단자c 6:소켓
8:플러그 10:향카트리지 12:수납부
14:케이스 16:프론트패널 18:체임버
20:통풍구 22:가이드홈 24:돌출부
26, 32:걸림턱 28:히터부 30:하우징
34:리브 36:스프링 38:매스
40:플렌지 42:단자a 44:발열소자
46:단자b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시거잭(2)에 단자c(4)를 구비한 소켓(6)이 설치되는데, 상기 소켓(6)에는 전류를 공급받는 플러그(8)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8) 선단부에는 방향제가 담겨져 있는 향카트리지(10)를 결합하도록 된 수납부(12)가 설치된다.
상기한 수납부(12)에는 상자모양을 한 케이스(14)가 구성되고, 이 케이스(14) 전면에는 판 형상을 한 프론트패널(16)이 설치되는데, 상기 케이스(14)와 프론트패널(16)사이에는 상기한 향카트리지(10)가 삽, 탈될 수 있도록 한 체임버(18)가 상, 하부를 개방하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16)에는 체임버(18)가 가열되면서 방향제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다수개의 통풍구(20)가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임버(18) 양측벽에는 향카트리지(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22)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체임버(18) 후면 중간부에는 상기 향카트리지(10)가 균형을 잡으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돌출부(24)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체임버(18) 하단부에는 상기 향카트리지(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바쳐주는 걸림턱(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4) 내부에는 상기한 향카트리지(10)가 방향제를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가열시키는 히터부(28)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4) 배면에 설치된 플러그(8)는 슬리브 타입으로 이루어진 하우징(3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우징(30) 중간부에는 지지역할을 하는 걸림턱(32)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이탈을 방지하는 리브(34)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32)과 리브(34)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6)이 설치되고, 이 스프링(36) 선단부에는 상기 하우징(30)내에 슬립되게 결합되는 매스(38)가 설치되는데, 이 매스(38) 후단부에는 상기 리브(34)에 걸려짐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는 플렌지(40)가 형성된다.
상기 매스(38)에는 상기한 단자c(4)에 접촉하면서 전류를 전달받는 단자a(42)가 봉형상을 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단자a(42) 후단부에는 상기한 히터부(28)를 구성하는 발열소자(44)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30) 외주에는 상기한 소켓(6)의 내부벽에 접촉하면서 전류를 전달받는 단자b(46)가 다수개 설치되는데, 이 단자b(46) 후단부는 상기 하우징(30)을 관통하면서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단자b(46) 후단부는 상기 발열소자(44)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향카트리지(10)는 중공형 타입으로 이루어진 팩과 그 속에 들어가는 액체향료로 구성되는데, 상기 팩 한쪽 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체임버(18)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24)와 슬라이딩되게 결합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팩의 다른 한 쪽 면은 기체로 된 향기만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향카트리지(10)를 상기 체임버(18)에 결합하면, 상기 향카트리지(10)의 양측단부는 상기 체임버(18)의 가이드홈(22)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계속하여 상기 향카트리지(10)의 배면은 상기 돌출부(24)를 따라 하강하다가 걸림턱(26)에 의하여 멈추어지면서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향카트리지(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패널(16)의 양측단부를 손으로 잡고 플러그(8)를 소켓(6)측으로 밀어넣어 결합하면, 상기 단자a(42)의 선단부가 상기 단자c(4)에 부딪치면서 후미로 밀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후미로 밀려지는 매스(38)는 단자a(42)와 함께 하우징(30)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렌지(40)는 스프링(36)을 압축하면서 상기 매스(38)와 단자a(42)등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단자a(42)는 면접촉하고 있는 단자c(4)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소자(44)로 전달하고, 동시에 상기 단자b(46)는 면 접촉하고 있는 상기 소켓(6) 내부면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발열소자(44)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열소자(44)는 공급받는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열을 발산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발열소자(44)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상기 케이스(14)를 통하여 체임버(18)측으로 전달된다. 계속하여 상기 열은 체임버(18)내에 결합된 향카트리지(10)를 가열하여 방향제가 발산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발산되는 방향제는 상기 체임버(18)의 개방된 상부와 통풍구(2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며 차량의 실내에 퍼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차량에서 방향제 플러그를 뽑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프론트패널(16)의 양측단부를 붙잡고 당기면, 상기 플러그(8)는 소켓(6)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매스(38)의 선단부에 돌출되게 위치한 단자a(42)가 상기 단자c(4)로부터 이격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단자c(4)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발열소자(44)의 발열은 중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매스(38)는 외력이 제거되는 상태임으로 반발하는 스프링(36)에 의하여 밀려지면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플러그(8)가 후진하면, 상기 하우징(30) 외측에 위치한 단자c(46)가 소켓(6) 내부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다가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임버(18)내에 결합된 향카트리지(10)로부터의 방향제 발산은 중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달리 소켓(6)에 플러그(8)가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의 엔진을 오프시키면, 상기 단자c(4)로부터의 전류공급은 중단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발열소자(44)는 더 이상 가열되지 않게 되어 상기 향카트리지(10)의 방향제 발산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내부에 설치되는 소켓에 향카트리지를 결합한 플러그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향카트리지의 히터부를 자동차의 메인스위치와 연동시켜 자동차가 운행중에만 작동하게 하여 향카트리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비용절감 실현과 함께 교환주기를 보다 연장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의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에 전기가 통하게 되면 히팅엘레멘트의 가열 작용으로 향카트리지가 데워지고 플라스틱 팩 속에 들어 있는 액상 향로는 기화하여 향기를 발산하게 되고, 자동차 운전자가 시동을 끄게되면 시거잭의 전류도 자동으로 차단되어 히팅엘레멘트의 가열작용이 중단되고 향기의 발산도 자동으로 멈추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자동차용 방향제는 특별한 조작이 필요 없이 한번 꽂아놓으면 6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낭비를 줄이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용 방향제 장치에 있어서,
    향카트리지(1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수납부(12)와, 상기 수납부(12) 배면에는 자동차의 시거잭(2)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부(28)를 갖는 플러그(8)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8)는 슬리브 타입으로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부(28) 일단에 연결된 단자a(42)와, 상기 하우징(30)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히터부(28) 타단에 연결된 단자b(46)와, 상기 하우징(30) 선단부에 슬립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단자a(42)를 결합한 매스(38)와, 상기 매스(38) 후미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30)내에 설치되는 스프링(3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2)는 상기 히터부(28)를 내부에 설치하고 있는 상자형 케이스(14)와, 상기 케이스(14) 전면에 통풍구(20)를 구비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론트패널(16)과, 상기 케이스(14)와 프론트패널(16)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24)와 가이드홈(22)을 각각 구비하며 위치하는 체임버(1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KR2020000013879U 2000-05-16 2000-05-16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KR200208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879U KR200208563Y1 (ko) 2000-05-16 2000-05-16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879U KR200208563Y1 (ko) 2000-05-16 2000-05-16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563Y1 true KR200208563Y1 (ko) 2001-01-15

Family

ID=7308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879U KR200208563Y1 (ko) 2000-05-16 2000-05-16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5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40B1 (ko) 2008-12-12 2009-07-22 김성중 자동차용 향기 발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740B1 (ko) 2008-12-12 2009-07-22 김성중 자동차용 향기 발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137A (en) Vehicle air freshener powered from cigarette lighter receptacle
US4808347A (en) Fan driven air freshener
US4686353A (en) Aroma-generating automobile cigarette lighter
US4200229A (en) Aroma-dispensing cartridge and holder assembly
US6619559B2 (en) Scent delivery system
US4571485A (en) Cube type aroma generator
US20050163670A1 (en) Heat activated air freshener system utilizing auto cigarette lighter
US4346059A (en) Aroma-generating lamp structure
US6783117B2 (en) Scent delivery system
US8301019B2 (en) Fragrance emanation system
US20020176704A1 (en) Air freshener for motor vehicles
US6249645B1 (en) Potpourri kettle that is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US6592828B2 (en) Rechargeable electric air-freshener for cars
US20060193610A1 (en) Aromatic emitting apparatus for using cigarjack
KR200208563Y1 (ko) 자동차용 방향제 플러그
DE10346182A1 (de) Beduf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zum Beduften eines Kraftfahrzeugs
US20050281718A1 (en) Electric air freshener for a vehicle
US20060113687A1 (en) Remote control HVAC air freshener
KR100377411B1 (ko) 방향제 발산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200250915Y1 (ko) 훈증기
WO2008066378A1 (en) Fragrance generator
JPS63282421A (ja) 自動車用芳香器
JPH056993Y2 (ko)
KR200315962Y1 (ko) 시거잭을 이용한 향 발현장치
CN219769599U (zh) 香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