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523Y1 - 다기종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다기종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523Y1
KR200208523Y1 KR2020000022565U KR20000022565U KR200208523Y1 KR 200208523 Y1 KR200208523 Y1 KR 200208523Y1 KR 2020000022565 U KR2020000022565 U KR 2020000022565U KR 20000022565 U KR20000022565 U KR 20000022565U KR 200208523 Y1 KR200208523 Y1 KR 200208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ousing
charging
power suppl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2020000022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523Y1/ko

Link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기종에 맞도록 제작된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교체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면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휴대폰 설치대와, 상기 휴대폰 설치대에 구비되어 휴대폰을 거치 시키는 휴대폰 홀딩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전원공급부와, 일측이 상기 충전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타측과 연결되고 하우징 상면에 형성된 수개의 고정홈을 통해서 외부로 상향 노출되어 고정되는 수개의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1커넥터와 연결되어 각 기종의 휴대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휴대폰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수개의 제 2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으로, 각 기종의 휴대폰 충전기를 구비하여 충전을 하였던 종래의 통합 충전기 사용시 발생하였던 비효율적인 공간형성을 배제하여 소형타입의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를 제공하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고, 모든 기종에 맞도록 커넥터를 구비하여 휴대폰에 따라 교체하여 전원공급을 효과적으로 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종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충전장치{Battery Charger allowing various kinds of portable phones to be charged}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체나 보험회사 영업소, 대중접객업소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다양한 기종의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제작된 여러 종류의 전원공급용 커넥터를 구비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폰은 대중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런 추세에 힘입어 다양한 휴대폰이 생산되고 있고, 각각의 휴대폰은 기종에 맞는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충전기는 휴대가 불편하고, 휴대하더라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는 충전이 불가능하며, 또한, 휴대폰을 사용하다가 충전 밧데리가 소모된 경우 업무적으로 낭패를 보게 된다.
상기 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보완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통신기기 통합충전대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기기 통합충전대의 구성을 설명하면 공간부를 갖는 케이스(2)내의 바닥면(4)에 충전기(6)가 결합 장착될 수 있는 결합홈(4a)을 형성하여 충전기(6)를 장착하게 되어 있고, 케이스(2)는 휴대폰(8)을 세워놓기에 충분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충전기(6)는 제조회사 및 제품모델에 따라 각각의 휴대폰(8)과 충전기(6)의 위치, 간격, 정격전압, 전류가 상이하므로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충전기(6)를 모두 구비하도록 하고, 그 수만큼 케이스(2)를 제작하여 상하, 좌우방향으로 배치하도록 한다.
각 충전기(6)는 전원공급부(1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전원공급부(12)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전원공급부(12)의 한쪽 끝단에 구비된 플러그(16)를 전원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기기 통합충전대는 각각의 케이스(2)에 제품회사 및 제품모델에 맞는 충전기(6)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만일 특정모델의 충전기를 구비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어 사용자의 욕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생산되고 있는 모든 휴대폰에 따른 충전기를 구비할 경우 충전기의 설치 면적이 크게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충전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기 위해 충전전원공급부가 설치되어있는 테이블이나 다리 등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기종의 휴대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 2커넥터를 구비하여, 각 기종마다 필요한 충전기의 사용을 배제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 휴대폰 모델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충전기를 설치할 때 야기되는 공간 차지 비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작된 소형의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 하우징으로 제작 가능하여 설치시 하우징에 홈을 형성하여 홈에 체결부재등을 사용하여 벽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하우징에 걸이부재등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설치할 수 있는 소형의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기기 통합충전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의 휴대폰 충전장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휴대폰 충전장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하우징 22; 고정홈
24; 휴대폰 설치대 28; 충전전원공급부
32; 제 1커넥터 34; 제 2커넥터
48; 충전표시램프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는 박스형상의 상면에 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연장 형성된 휴대폰 설치대와, 상기 휴대폰 설치대에 구비된 휴대폰 홀딩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전원공급부와, 일측이 상기 충전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타즉과 연결되고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수개의 고정홈을 통해서 외부로 상향 노출되어 고정되는 수개의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1커넥터와 연결되어 각 기종의 휴대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충전전원을 공급하도록 수개의 제 2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폰 홀딩부재는 부채꼴 모양의 판 형상으로된 자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폰 홀딩부재는 거치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커넥터의 전압은 3.6또는7.2V로 나누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상면의 고정홈 일측전방에는 육안으로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충전표시램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6개의 고정홈(22)을 형성하고, 하우징(20)의 후면에 상측으로 휴대폰 설치대(24)를 연장 형성시키며, 휴대폰 설치대(24) 후면벽에는 휴대폰 홀딩부재로 부채꼴 모양의 판 형상으로된 수개의 자석(36)을 삽입 설치한다.
휴대폰 설치대(24)의 배면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4개의 자석고정홈(36a)을 형성한 후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4개의 자석(36)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또한, 휴대폰 설치대(24)의 배면에 설치한 자석(36)의 하면에 개폐가능한 문(50)을 형성하여 충전전원공급부(28)를 설치 가능하도록 하고, 고장시 문(50)으로 꺼내어 보수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충전전원공급부(28)를 설치하고, 충전전원공급부(28)의 일측면에는 소켓(30)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켓(30)의 타측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하우징(20) 상면의 고정홈(22)을 통해서 외부로 상향 노출되어 고정되도록 일반적인 아답터의 암커넥터잭 형상으로된 수개의 제 1커넥터(3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커넥터(32)에는 각 기종의 휴대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충전전원을 공급하도록 제 2커넥터(34)를 연결가능하도록 한다.
즉, 제 2커넥터(34)는 케이블(34a)의 양단으로 암커넥터잭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 1커넥터(32)와 결합되는 숫커넥터잭(34b)과 휴대폰(8)에 결합되는 전원공급잭(34c)으로 구비되어 있다.
숫커넥터(34b)는 하우징(20) 상면에 고정된 수개의 제 1커넥터들(32)중 어떤 것과도 결합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고, 전원공급잭(34c)은 각 기종의 휴대폰(8) 하면에 형성된 충전부에 맞도록 형성하여, 도 4에 도시된 제 2커넥터(34)를 원하는 휴대폰(8)의 충전부에 맞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20) 후면의 휴대폰 설치대(24)에는 걸이홈(42)을 형성하고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체결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은 걸이부재(52)를 구비하여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20) 상면 고정홈(22)의 일측전방에는 LED 등으로된 충전표시램프(48)를 설치하여 제 2커넥터(34)의 전원공급잭(34c)을 결합하여 휴대폰(8)에 충전전원공급을 할 경우 휴대폰(8)의 충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0) 내부 하면의 충전전원공급부(28)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면 고정홈(22)에 형성된 수개의 제 1커넥터(32)는 전압으로 3.6V(32a)가 4개소 설치되고 7.2V(32b)가 2개소 각각 구분하여 설치하므로 휴대폰(8)의 모델에 따른 다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44는 전원 스위치이고, 46은 방열공으로 하우징(2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방열공(46)은 하우징(20) 내부의 발생열을 환기시키도록 형성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로써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휴대폰(8) 기종에 맞게 제작된 제 2커넥터(34)를 선택한 후 전원공급잭(34c)을 휴대폰(8) 하면에 형성된 충전부에 연결한다.
제 2커넥터(34)의 숫커넥터(34b)를 제 1커넥터(32)와 연결하여 자석(36) 또는 거치대(40)에 거치 시키고, 충전표시램프(48)로 충전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구성은, 종래에 각 기종의 충전기를 설치하여 발생하는 공간의 효율성문제를 해결하고, 높이 조절을 위해 걸이홈(42) 또는 걸이부재(52)를 사용하여 원하는 곳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휴대폰 설치대(24)에 설치되는 휴대폰 홀딩부재로 수개의 휴대폰 거치대(40)가 설치되어 있다. 각 휴대폰 거치대(40)는 휴대폰(8)의 기종에 따라 상이한 규격 및 크기의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사용하여 수종의 휴대폰(8)을 동시에 충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는 각 기종의 휴대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 2커넥터를 구비하여, 각 기종마다 필요한 충전기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각 기종에 맞는 휴대폰 충전기들을 구비하여 사용할 때 발생하는 공간활용의 비효율성을 향상시켜 소형타입의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를 제공하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설치시 하우징에 홈을 형성하여 체결부재등으로 벽면에 설치하거나, 하우징에 걸이부재등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외 부가적으로 충전전원공급부나 휴대폰 홀딩부재는 고정타입으로 구성하고, 전원공급용 제 2커넥터를 각 휴대폰의 기종에 맞게 제작하여 한셋트의 충전기로 20여종 이상의 휴대폰에 제 2커넥터를 교체하여 선택적으로 충전 할 수 있어 충전기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또한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여 공공장소에 설치시 소비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5)

  1.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휴대폰 설치대와,
    상기 휴대폰 설치대에 구비되어 휴대폰을 거치시키는 휴대폰 홀딩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전원공급부와,
    일측이 상기 충전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타측과 연결되고 하우징 상면에 형성된 수개의 고정홈을 통해서 외부로 상향 노출되어 고정되는 수개의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1커넥터와 연결되어 각 기종의 휴대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휴대폰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도록 수개의 제 2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홀딩부재는 휴대폰 설치대의 후면에 요입설치되는 부채꼴 모양의 판 형상으로된 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홀딩부재는 휴대폰 설치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수개의 휴대폰 거치대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커넥터의 전압은 3.6V 타입과 7.2V타입의 2종류로 구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면의 고정홈 일측전방에는 충전시 점등상태를 유지하는 충전표시램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장치.
KR2020000022565U 2000-08-08 2000-08-08 다기종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충전장치 KR200208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65U KR200208523Y1 (ko) 2000-08-08 2000-08-08 다기종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65U KR200208523Y1 (ko) 2000-08-08 2000-08-08 다기종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523Y1 true KR200208523Y1 (ko) 2001-01-15

Family

ID=7308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565U KR200208523Y1 (ko) 2000-08-08 2000-08-08 다기종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5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0313B2 (en) DC power outlets in fixed power distribution systems in or on wall installations
US20180277804A1 (en) Battery pack, battery charger and battery pack kit for power tool
US20060125445A1 (en) Portable power supply with computer port
US20160218536A1 (en)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ies of Devices at a Selected DC Voltage
TW201320489A (zh) 模組化的牆壁插座
CN201893486U (zh) 便携式电源适配器及用于其的可拆下的连接器和成套元件
CN211456715U (zh) 移动电源
KR20110091615A (ko) 유도 결합된 작업면
CN114421630A (zh) 组合式感应充电器
KR20060055407A (ko) 다양한 휴대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복합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208523Y1 (ko) 다기종 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충전장치
JP3207668U (ja) 卓上充電スタンド
CN209982140U (zh) 一种多功能充电器
KR20170004101U (ko) 휴대폰 충전기구
US20190173299A1 (en) Mobile charging device capable of battery replacement
CN207530553U (zh) 可更换插头的移动电源充电器
CN217445087U (zh) 组合式感应充电器
US20100285847A1 (en) Cell phone mount
TWM497847U (zh) 具有可動式連接模組的電氣裝置
JP3223524U (ja) 壁掛け柱状木製usb充電装置
CN216773739U (zh) 一种可拓展式的插座
CN214332366U (zh) 一种电子电工用便携式照明装置
CN213402495U (zh) 一种多功能充电宝
CN210073949U (zh) 一种用于散热器的电池座
CN220628087U (zh) 一种可拆卸式充电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