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505Y1 - 마사지용 진동기구 - Google Patents

마사지용 진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505Y1
KR200208505Y1 KR2020000021140U KR20000021140U KR200208505Y1 KR 200208505 Y1 KR200208505 Y1 KR 200208505Y1 KR 2020000021140 U KR2020000021140 U KR 2020000021140U KR 20000021140 U KR20000021140 U KR 20000021140U KR 200208505 Y1 KR200208505 Y1 KR 200208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ssage
finger
skin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만
Original Assignee
김홍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만 filed Critical 김홍만
Priority to KR2020000021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505Y1/ko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사지에 사용되는 진동기구, 특히 안면이나 두부(頭部)를 마사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마사지용 진동기구에 대한 고안으로 진동체와, 진동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용 소켓과,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본체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서 본체가 발생하는 진동을 손가락을 통하여 피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용 진동기구에 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마사지용 진동기구{a vibrator for massage}
본 고안은 마사지에 사용되는 진동기구에 대한 고안으로, 특히 얼굴과 두부(頭部)에 대한 마사지에 주로 사용함을 목적으로 하는 진동기구에 대한 고안이다.
여성의 미용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을 위한 마사지는 상당히 비중 있는 부분으로, 특히 안면(顔面)의 마사지는 여성이라면 누구나 관심을 갖고 행하는 분야인 것이다.
이러한 여성들의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에 부응하여 다양한 종류의 안면 마사지기구가 출원되고 또한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이 지향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의 몇 가지 출원을 사례로 들고자한다.
얼굴 마사지를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진동방식은 전기모터로 동작되는 진동장치를 사용하는 방식과 초음파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겠는데 여기에서는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구를 위주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진동장치를 사용하여 안면을 마사지하기 위한 고안으로 가장 적극적인 장치의 일례로는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0185058 호와 같은 마스크의 형태의 마사지기구가 있다.
반면에 휴대와 운영에 편리한 간이형의 구조로는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179499 의 사례를 들 수 있겠는데, 이 경우에는 전기로 동작하는 진동체와 배터리를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여 휴대와 사용의 편리성을 높였다.
상기 두 가지의 유형이 안면에 사용되는 마사지기구의 대체적인 유형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이 두 가지 유형의 고안의 공통점은 마사지장치를 피부에 밀착시켜 마사지장치가 발생하는 진동을 피부에 직접 전달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여성들의 안면 마사지방식을 다시 한번 면밀히 관찰하여볼 필요가 있다. 안면 마사지를 하기 위해서는 주로 양손의 두 손가락, 즉 검지와 중지를 모아 얼굴의 피부를 일정방향으로 문질러 주거나 두드려주며 특정부위를 지압도 하여 준다.
여성들의 이러한 동작에는 얼굴피부와 손가락이라는 인체의 두 부위가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마사지기구들은 얼굴 마사지에 있어서 손가락의 역할을 배제하고 진동장치로서 손가락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물론 피부에 진동을 가해주는 기능적인 능력은 마사지기구가 훨씬 유효하다고 보겠으나, 이는 피부에 짧은 시간 내에 다량의 진동을 가해준다는 기능적인 면에만 치중하여 얼굴 마사지에 있어서 손가락의 역할을 과소평가한 면이 있는 것이다.
마사지를 하는 동안 얼굴피부와 손가락의 피부는 상호 정보를 받아들인다.
즉 마사지를 스스로 행하는 사람은 안면피부로 손가락의 압력을 인식함으로서 피부에 가해지는 손가락의 힘을 조절하며, 동시에 손가락의 피부로 안면의 각 부분의 피부상태를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여 손가락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렇게 사람이 스스로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피부를 통한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하여 자신의 안면피부의 상태에 가장 알맞은 마사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볼 때 종래의 마사지기구의 문제점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몇 가지로 나누어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상기에 설명한바와 같이 손가락을 사용하는 대신에 종래의 마사지기구의 진동부를 직접 안면피부에 접촉하면 손가락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얻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섬세한 마사지동작이 불가능해지므로 안면피부의 각 부위의 상태를 무시하는 획일적인 마사지가 이루어져 피부에 무리를 주는 결과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의 문제로 안면의 마사지의 과정이란 단순히 안면피부를 문질러주는것이 아니며 안면의 각 부위를 어느 방향으로 문질러줄것인가하는 방식이 정해져 있으며, 더구나 일정부위에 대한 지압(指壓)의 과정이 포함되어있다.
안면에는 지압을 가해주면 효과가 좋다고 권장되는 부위가 많이 있는데, 지압이란 문자 그대로 손가락으로 특정부위를 눌러주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다.
즉 안면의 마사지의 과정에서 지압의 과정을 함께 시행하는 것이 권장되는데
종래의 마사지기구는 단지 진동에 의한 마사지 기능만을 중시한 구조로 인하여 안면의 각 부위를 정해진 방향으로 문질러주는 섬세한 동작이 어려우며 더구나 특정한 위치를 적절하게 눌러주는 지압동작은 마사지기구의 구조상 손가락의 섬세함을 따라갈 수 없다.
세 번째의 문제는 상기에 지적한 종래의 마사지기구의 기능적인 문제 외에 여성이 자신의 손으로 자신의 얼굴을 어루만지며 가꾸는데서오는 오는 심리적인 만족감에 대하여 간과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안면 마사지기구는 피부에 단시간에 다량의 진동을 가해준다는 장점 외에는 간과하고있는 문제가 많은 것이며, 그 결과 아직도 여성들에게 안면 마사지기구가 전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요인이 되고있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마사지기구를 사용하면서 손으로 하는 마사지동작도 추가로 행할 수는 있겠으나 이는 시간과 노력의 절약이라는 마사지기구의 취지에도 맞지 않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종래의 고안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하여 주로 안면의 마사지의 예를 인용하였으나, 두부(頭部)의 마사지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두드러진다.
두부에도 지압을 하면 좋다고 권장되는 부위가 많이 분포되어 있고, 탈모증을 예방하는 방식의 하나로는 두피(頭皮)에 대한 마사지가 권장되고 있는데 두피에 대한 마사지와 지압은 모발이 주는 장애로 말미암아 마사지기구의 사용이 안면보다도 더 어려운 문제가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마사지기구는 피부에 주는 진동의 효과면 에서는 뛰어나나 손으로 하는 마사지만큼 다양하거나 섬세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제는 여성이 자신의 손으로 자신의 얼굴을 마사지하면서도 그 효과는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는 만큼의 성과를 주는 방식의 고안은 없을까하는 문제를 검토할 시점에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피부의 마사지에 있어서 피부를 문지르고 마찰하며, 지압을 가해주는 종래의 손가락의 역할을 그대로 보장하면서도, 피부의 마사지효과는 크게 높여주는 방식의 마사지용 진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후면도.
도 4는 도 2의 A-A′단면도.
도 5는 본체와 코드 플러그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외형 사시도.
도 6은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한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한 다른 실시예의 외형 사시도.
도 8은 일측에 삽입구를 형성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배터리 팩을 본체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외형 사시도.
도 10은 배터리 팩을 본체에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외형 사시도.도 11은 본 고안의 본체를 손가락에 삽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사용 예시도.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용 예시도.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손가락 삽입고리 3. 커버
4. 스위치 5. 탄성소재 6. 삽입구
7. 연결용 소켓 8. 진동체 8-a. 회전축
8-b. 진동추 9-a. 상부 요홈부 9-b. 하부 요홈부
10. 코드 플러그 11. 코드선 12. 배터리 팩
13-a. 상부 탄성돌기 13-b. 하부 탄성돌기 14. 플러그15. 배터리 수용부 15-a. 수용부 커버 15-b. 양극접속도체15-c. 스프링 16. 배터리 17. 지압돌기
이러한 기술적 과제는 전기에 의해 동작되는 진동체를 내장하는 본체를, 본체에 형성되어있는 손가락 삽입고리를 이용하여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게하는 본 고안의 방식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외형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과 같이 본 고안의 마사지용 진동기구의 몸체(이하'본체'(1)로 약칭하기로 한다.)에서 가장 큰 외형적인 특징은 본체(1)의 하단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손가락 삽입고리(2)이다. 손가락 삽입고리(2)란 마치 반지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의 경우 두 개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형태의 손가락 삽입고리를 보여주는데 많은 손가락을 삽입하는 구조일수록 손가락 삽입고리(2)의 내부공간의 면적은 커지게된다.
본체(1)에 손가락 삽입고리(2)를 형성하여 본체(1)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한다는 것이 본 고안의 핵심적인 사항이다.
본 고안에서 하단부라는 용어의 정의는, 본체(1)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하면 본체(1)가 손가락의 상부에 놓이게 되고, 손가락 삽입고리(2)는 본체(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본체(1)에서 손가락 삽입고리(2)가 형성되는 방향을 본체(1)의 하단부로 간주한다.
본체(1)의 상부 측으로 설치된 스위치(4)는 전원을 단속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손잡이 부분이 상부로 돌출된 것이다.
상부의 점검커버(3)는 진동체(8)를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커버의 내부에 진동체(8)가 설치되어있다.
그림에서 종래의 마사지기구에 비하여 또 하나의 외형적 특징은 진동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종래의 마사지기구에는 기구의 일 측에 진동부분이 외부로 돌출 되게 설치되어 이 부분이 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본체(1)는 인체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본체(1)의 외측으로 진동부분이 돌출 되지 않는다.
도 2는 본체(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체(1)의 후면도로서 본체(1)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손가락 삽입고리(2)의 형태를 정확히 보여준다.
이 손가락 삽입고리(2)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것인데 손가락 삽입고리(2)에 삽입하는 손가락의 수는 특정한 숫자로 규정되는 것은 아니나 검지와 중지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면(顔面)이나 두부(頭部)에 대한 마사지의 행위시 주로 사용되는 손가락이 상기 두개의 손가락이기 때문이며 손가락을 여럿 삽입하는 구조의 손가락 삽입고리(2)일수록 손가락의 동작은 오히려 불편해지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는 두 개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가락 삽입고리(2)의 형태를 예시하였다.
손가락 삽입고리(2)의 하부에는 그림과 같이 스펀지나 고무와 같이 탄력성 있는 소재(이하'탄성소재'(5)로 칭한다.)를 부착시키는데 이는 손가락이 가는 사람이 사용할 때 손가락을 받쳐줌으로서 헐거움을 막아주려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A-A′단면도로서 본체(1)내부의 구성을 보여준다.
본체(1)의 내부에는 진동체(8)가 본체(1)의 내벽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된다.
본체(1)에 사용되는 진동체(8)는 전기로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지칭하는 것인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그림과 같이 마사지기구의 진동장치로 널리 쓰이는 모터의 회전을 이용한 진동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진동체(8)는 공지된 제품이므로 간략히만 설명하기로 한다.
진동체(8)인 모터의 회전축(8-a)에 무게중심을 벗어나 편심에 삽입되어 고정된 금속성의 중량체(이하'진동추'(8-b)로 칭한다.)를 회전시킴으로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이다. 그림에서 진동체(8)가 설치되는 방향, 즉 그림에서 우측을 본체(1)의 정면으로 칭하기로 한다.
본체(1)의 후면으로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전기 연결용 접속장치(이하'연결용 소켓'(7)으로 칭한다.)를 설치한다.
전기를 연결하는 접속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통상 잭(Jack)이라고도 부르는 형태의 연결용 소켓(7)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는 본체(1)의 후방으로 설치된 연결용 소켓(7)의 삽입구방향이 나타나 있다.
연결용 소켓(7)을 통하여 받아들여진 전기는 스위치(4)를 경유하여 진동체(8)에 공급된다. 이러한 전기적 회로구성은 상식적인 간결한 것이므로 회로도에 의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종단에 플러그가 설치된 코드선(11)이 본체(1)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 있는데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선(11)의 플러그(10)가 본체(1)의 연결용 소켓(7)에 삽입되어 진동체(8)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코드선(11)의 플러그는 다음에 설명하는 배터리 팩의 플러그와 구분하기 위하여 코드 플러그(10)로 칭하기로 한다.
도 11의 실시예에는 본체(1)의 연결용 소켓(7)에 코드선(11)의 코드 플러그(10)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에 설명한바와 같이 본체(1)의 구성요소는 간단하며 전원은 코드선(11)을 통하여 외부에서 공급받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체(1)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하고자하는 이유는 본체(1)의 사용위치가 손가락이라는 특징 때문이다. 손가락에 끼우고 사용하는 특징상 본체(1)의 크기가 커지거나 무게가 무거워지면 사용에 부담을 느끼게 되므로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으로 본체(1)를 구성하는 것인데 그러한 이유로 배터리를 내장하지 않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코드선(11)만으로 외부의 전원을 받아 사용하기에는문제가 있다. 본체(1)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드선(11)이란 주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소형의 어댑터의 2차측 코드선을 의미하게 되는데 주변에서 교류전원을 구하기 어려운 장소에서는 기기의 사용이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주변에서 교류전원을 구하기 어려운 옥외의 장소나 여행 등에서도 본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체(1)에 배터리를 삽입하는 구조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4의 실시 예에 비하여 내부의 구성요소는 같으나 다만 연결용 소켓(7)이 설치되있는 후단부측의 본체(1)를 연장하여 연결용 소켓(7)과 스위치(4)사이에 배터리(16)를 수용하는 공간(이하'배터리 수용부'(15)라 칭한다.)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배터리 수용부(15)에는 배터리(16)를 삽입하기 위한 커버(이하'수용부 커버'(15-a)라 칭한다.)가 설치되고, 배터리(16)의 양극(+)에 접촉되는 양극접속도체(15-b)와 배터리(16)의 음극(-)에 접촉되는 스프링(15-c)이 설치되어 배터리(16)의 전기를 진동체(8)에 공급하는 회로를 구성하는데 이와 같이 배터리 수용부(15)에 양극접속도체(15-b)나 스프링(15-c)을설치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사항이다.배터리 수용부(15)를 형성하더라도 배터리(16)의 소모에 대비하여 연결용 소켓(7)은 도 4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설치한다. 연결용 소켓(7)은 본 고안의 중요한 기본구성요소인 것이다.
도 7은 도 6과 같이 배터리 수용부(15)를 형성한 상태의 외형 사시도로서 도 1의 실시 예에 비하여 본체(1)의 길이가 크게 연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이와 같이 주변에서 전원을 공급받기 어려운 조건에 대비하여 본체(1)의 내부에 배터리 수용부(15)를 내장하는 방식은 가장 기본적인 대응방식이라 하겠다.
도 12는 도 7의 실시예의 본체(1)를 손가락에 삽입한 상태를 보여준다.그림과 같이 도 11의 실시 예에 비하여 본체의 길이가 크게 연장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도 6및 도 7에서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본체(1)에 배터리 수용부(15)를 형성하여 주변에서 전원을 구하기 어려운 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으나 역(逆)으로 주변에 전원이 있는 곳에서는 배터리(16)가 필요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본체(1)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15)로 인하여 크기가 커진 본체(1)를 그대로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배터리(16)가 필요한 경우에만 배터리(16)를 본체(1)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외부의 전원을 사용시에는 배터리(16)를 제거하여 본체(1)의 크기와 무게부담을 줄이는 또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의 실시 예에서 본체(1)의 후단부, 즉 연결용 소켓(7)이 설치된 방향으로 본체(1)를 연장하여 배터리 팩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하'삽입구'(6)라 한다.)을 형성한 것이다. 그림에는 형성된 삽입구(6)의 내측에 두 개의 요홈부(9-a),(9-b)가 형성되어있음을 보여준다.이렇게 본체(1)에 삽입구(6)를 형성함으로서 본체(1)의 길이는 도 1의 실시 예에 비하여 다소 길어지는데 도 9의 본체(1)는 내부에 삽입구(6)를 형성하여 길이가 다소 길어진 본체(1)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는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고 외부에 전원단자가 설치되는 배터리 용기(이하 '배터리 팩'(Pack)(12)이라 칭한다.)가 본체(1)와 분리된 상태로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배터리 팩(12)을 본체(1)의 삽입구(6)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그림의 배터리 팩(12)에는 배터리 팩(12)을 본체(1)의 삽입구(6)에 삽입하였을 때본체(1)의 삽입구(6)에 형성된 요홈부(9-a),(9-b)에 상응하는 위치에 탄력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한 스프링 구조의 돌기(이하'탄성돌기'(13-a),(13-b)라 칭한다.)를 형성하여 배터리 팩(12)을 본체(1)의 삽입구(6)에 삽입하면 배터리 팩(12)의 플러그(14)가 본체(1)의 연결용 소켓(7)에 삽입됨과 동시에, 배터리 팩(12)의 상부 탄성돌기(13-a)는 본체(1)삽입구(6)의 상부 요홈부(9-a)에 결합되고, 하부탄성돌기(13-b)는 삽입구(6)의 하부 요홈부(9-b)에 결합됨으로서 배터리 팩(12)이 본체(1)의 삽입구(6)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고있다.
도 10에 나타낸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팩(12)을 본체(1)에 반매입한 상태로 사용하는데 배터리 팩(12)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터리 팩(12)을 외측으로 당기면 배터리 팩(12)의 플러그(14)가 본체(1)의 연결용 소켓(7)에서 분리되는 동시에 삽입구(6)의 요홈부(9-a),(9-b)에 결합되어있던 배터리 팩(12)의 탄성돌기(13-a),(13-b)가 분리되어 배터리 팩(12)이 본체(1)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배터리 팩(12)이나 외부전원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체(1)의 연결용 소켓(7)에 삽입되는 코드 플러그(10)와 배터리 팩(12)의 플러그(14)는 규격이 동일해야한다.
즉, 도 5에 나타낸 코드 플러그(10)와 도 9의 배터리 팩(12)의 플러그(14)는 규격과 형태가 동일하여 본체(1)의 연결용 소켓(7)에 삽입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한다.이와 같이 배터리 팩(12)을 사용하는 방식은 도 6과 도 7에서 나타낸 실시예와는 달리 배터리(16)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터리 팩(12)을 본체(1)에서 쉽사리 분리시킴으로서 본체(1)의 무게와 크기를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상기에 설명한바와 같이 본체(1)에 배터리 팩(12)을 삽입한 상태로 손가락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도 11과 도 12 및 도 13의 사용 예와 같이 본 고안의 본체(1)를 손가락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손가락의 활동은 자유스러우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피부를 직접 마사지하는 종래의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마사지를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손가락에 끼운 본체(1)의 스위치(4)를 동작시키면 진동체(8)가 동작하면서 본체(1)전체가 진동한다. 본체(1)의 진동은 손가락을 경유하여 손가락이 접촉하는 피부에 진동을 전하게 되므로 피부에는 손가락으로 행하는 마사지와 본체(1)가 전해주는 진동이 동시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렇게 손가락으로 피부에 마사지를 행하면서 본체(1)의 진동도 손가락을 통하여 동시에 피부에 가해주는 것이 본 고안의 핵심적인 사항인 것이다.
손가락은 인체의 말단부위로서 근육질이 많은 인체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진동의 전달이 잘 되는 부위이다.
도 11,12,13의 실시 예에는 본체(1)가 손으로부터 첫 번째 마디에 끼워져 있으나 사용자가 피부에 가해주는 진동의 강도를 더 높이려면 본체(1)를 손가락의 가운데 마디로 옮김으로서 본체(1)에서 피부에 이르는 경로를 단축시킴으로서 피부에 전달되는 진동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4는 본체(1)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고리(2)의 하부에 돌기(이하'지압돌기'(17)로 칭한다.)를 형성한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피부를 마사지하면서 본체(1)의 진동을 피부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좀더 강한 진동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본체(1)의 진동을 직접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손가락 삽입고리(2)에 지압돌기(17)를 형성한 실시예를 손가락에 부착한 상태는 도 12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바닥을 펴 지압돌기(17)를 피부의 일정 부위에 대면 본체(1)의 진동이 손가락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에 비하여 강하게 전달된다. 지압돌기(17)는 본체(1)와 같은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고무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만들어 부착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더 좋은 촉감을 전해줄 수 있다.이와 같이 본 고안의 마사지용 진동기구는, 손가락에 의한 마사지를 배제하고 기계의 진동을 직접 피부에 가하는 종래의 방식을 개선하여, 손가락을 사용하는 마사지의 섬세함과 기계가 제공하는 진동의 장점을 적절하게 배합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서 좀더 편리하고 효과 있는 마사지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이러한 기술적 사상에 다소나마 근접한 종래의 고안으로는 한국 실용신안 등록 20-0179499 가 있다. 이 고안에서는 진동기구를 골무형태로 만들어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마사지기구에 있어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활용하려는 점에서는 진보성이 있으나 아쉽게도 골무형태의 기기를 손가락에 끼워 사용함으로서 기기의 진동이 직접 피부에 전달되는 종래의 방식을 답습함으로서 피부와 손가락의 상호 촉감의 교류가 단절된다는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손가락에 씌우는 골무의 형태와 크기로 인하여 마사지를 행하는 손가락의 자연적이고 섬세한 움직임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어 본 고안과 구별되는 것이다.
상기에 설명한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손가락으로 마사지하는 종래의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피부에 효과적인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섬세하면서도 효과가 높은 마사지용 진동기구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정정)마사지에 사용하는 진동기구에 있어서;
    진동체(8)와,
    상기 진동체(8)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용 소켓(7)과,
    상기 진동체(8)와 상기 연결용 소켓(7)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4)로 구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부에 손가락 삽입고리(2)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하는 마사지용 진동기구.
  2. (정정)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단을 연장하여 배터리 팩(12)을 삽입하는 삽입구(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사지용 진동기구.
  3. (신설)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단을 연장하여 배터리(16)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5)를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용 진동기구.
  4. (신설)제 1항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고리(2)의 하부에 지압돌기(1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지용 진동기구.
KR2020000021140U 2000-07-25 2000-07-25 마사지용 진동기구 KR200208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140U KR200208505Y1 (ko) 2000-07-25 2000-07-25 마사지용 진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140U KR200208505Y1 (ko) 2000-07-25 2000-07-25 마사지용 진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505Y1 true KR200208505Y1 (ko) 2001-01-15

Family

ID=7308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140U KR200208505Y1 (ko) 2000-07-25 2000-07-25 마사지용 진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5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89Y1 (ko) 2010-10-05 2010-12-07 황원우 진동 마사지기
KR101250989B1 (ko) 2013-02-26 2013-04-05 서은아 화장용 진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89Y1 (ko) 2010-10-05 2010-12-07 황원우 진동 마사지기
KR101250989B1 (ko) 2013-02-26 2013-04-05 서은아 화장용 진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129B1 (ko) 휴대용 전동식 피부관리 장치
JP2015091341A (ja) 柔軟な下部構造を有するマッサージ装置
JP7026731B2 (ja) 美容器
KR101817973B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안구 세척기 및 이를 통한 안구 세척방법
US20030065280A1 (en) Electrically-driven scalp massager
KR200208505Y1 (ko) 마사지용 진동기구
KR101005916B1 (ko) 가슴 마사지 장치
KR100787926B1 (ko) 휴대용 안마기
JPH0584328U (ja) 美容具
CN209847034U (zh) 一种洁面仪
US20060224092A1 (en) Massaging apparatus
KR102380552B1 (ko) 소형 피부 미용기기
CN212118772U (zh) 带滚珠按摩功能的射频美容仪
KR200451289Y1 (ko) 진동 마사지기
KR102025131B1 (ko) 미세전류 및 진동 마스크
CN213129304U (zh) 美容装置
WO2002051348A1 (en) Hand held massage device
CN213608113U (zh) 一种颈椎震动按摩器
KR20040103601A (ko) 안면 마사지기
KR102342294B1 (ko) 굴곡진 안면에 맞춰 편안한 자세로 용이하게 세안되게 하는 진동 세안기.
CN210354484U (zh) 加热按摩与振动按摩二合一洁面仪
CN213526337U (zh) 手持式按摩器
KR20130079797A (ko) 세정 장치
KR200179499Y1 (ko) 골무진동마사지기
CN220309381U (zh) 一种设有用于滞留精油的凹槽的手持按摩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