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382Y1 - 버섯재배용 드릴 - Google Patents

버섯재배용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382Y1
KR200208382Y1 KR2019980023180U KR19980023180U KR200208382Y1 KR 200208382 Y1 KR200208382 Y1 KR 200208382Y1 KR 2019980023180 U KR2019980023180 U KR 2019980023180U KR 19980023180 U KR19980023180 U KR 19980023180U KR 200208382 Y1 KR200208382 Y1 KR 200208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depth
mushrooms
mushroom cultiva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772U (ko
Inventor
임인선
Original Assignee
임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인선 filed Critical 임인선
Priority to KR2019980023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38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7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382Y1/ko

Links

Landscapes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섯을 재배함에 있어 버섯균이 혼합된 배지를 나무에 식균하기 위한 구멍을 간편·용이하고도 신속·정확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한 버섯재배용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버섯재배용 드릴에 있어서, 원판형상의 스토퍼와 스토퍼의 양측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바로 이루어진 드릴깊이 조정구와, 양쪽 측판상에 횡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서로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체결편과 지지편이 돌출되며 바닥면에는 개구공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면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볼트에 의해 상기 받침대의 측판상에 돌출된 고정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보조 손잡이가 구비됨에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하면서도 신속·정확하고도 간편·용이하게 나무에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또한 구멍의 깊이 조절을 자유롭고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버섯균의 원활한 번식 및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버섯재배용 드릴
본 고안은 버섯재배용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을 재배함에 있어 버섯균이 혼합된 배지를 나무에 식균하기 위한 구멍을 간편·용이하고도 신속·정확하게 뚫을 수 있도록 한 버섯재배용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버섯균이 혼합된 배지를 나무(참나무 등)에 식균하되, 수동식 드릴 또는 전동식 드릴날을 이용하여 나무에 배지를 식균 할 수 있는 구멍을 뚫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섯균이 혼합된 배지를 식균하기 위해 나무에 구멍을 뚫음에 있어 전자인 수동식 드릴작업시에는 작업속도가 너무 느려 많은 작업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고, 후자인 전동식 드릴작업시에는 구멍의 깊이가 일정치 않게 되어 버섯균의 원활한 번식과 성장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회전수가 높은 전동식 모터를 이용하여 단시간내에 많은 구멍을 뚫을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구멍의 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버섯균의 원활한 번식과 정상적인 성장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버섯재배용 드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버섯재배용 드릴에 있어서, 원판형상의 스토퍼와 스토퍼의 양측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바로 이루어진 드릴깊이 조정구와, 양쪽 측판상에 횡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서로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체결편과 지지편이 돌출되며 바닥면에는 개구공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면에 고정편이 형성되고 볼트에 의해 상기 받침대의 측판상에 돌출된 고정브라켓에 의해 결합되는 보조 손잡이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재배용 드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재배용 드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재배용 드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드릴, 2:스토퍼,
4:가이드바, 6, 24, 32, 36:볼트,
10:드릴깊이 조정구, 12, 12':측판,
14, 14':고정브라켓, 16, 16':체결편,
18, 18':지지편, 20:받침대,
22:고정편, 30:보조 손잡이,
34:손잡이, W:나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재배용 드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버섯재배용 드릴에 있어서, 원판형상의 스토퍼(2)와 스토퍼(2)의 양측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바(4)로 이루어진 드릴깊이 조정구(10)와, 양쪽 측판(12, 12')상에 횡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14, 14')과 서로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체결편(16, 16')과 지지편(18, 18')이 돌출되며 바닥면에는 개구공(20a)이 형성된 받침대(20)와, 상면에 고정편(22)이 형성되고 볼트(24)에 의해 상기 받침대(20)의 측판(12, 12')에 돌출된 고정브라켓(14, 14')에 의해 결합되는 보조 손잡이(3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재배용 드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받침대(20)의 측판(12) 고정브라켓(14)에 볼트(24)에 의해 보조 손잡이(30)가 하방으로 약 ∠90°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방에는 가이드바(4)가 양쪽 측판(12, 12')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끼워지되, 체결편(16, 16')과 지지편(18, 18')에 의해 지지된 후 볼트(24)에 의해 고정되는 드릴깊이 고정구(10)가 결합된 받침대(20)를 개구공(20a)을 통하여 드릴체(40)의 상부에 볼트(32)로 결합한 것을 나타내며, 손잡이(34)는 볼트(36)를 기점으로 좌·우방향으로 회동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드릴깊이 고정구(10)의 스토퍼(2) 중앙에 형성된 통공(2a)에는 드릴날(38)이 관통되어 그 선단 일부분이 전방으로 드러나지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재배용 드릴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3a는 드릴날(38)을 이용하여 나무(W)에 구멍을 뚫는 것으로, 이때의 구멍은 깊이 L을 갖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3b는 드릴깊이 조정구(10)를 전방으로 일정거리 만큼 위치 이동시킨 후, 구멍을 뚫게 되는 것으로 이때의 구멍은 깊이 L'를 갖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4a는 장공이고, 40a는 드릴척이며, N1, N2는 너트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 나무(W)에 구멍을 뚫음에 있어, 그 구멍의 깊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거나 또는 구멍의 깊이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드릴체(40)의 상부에 손잡이(34)와 보조 손잡이(30)가 결합된 받침대(20)를 끼워 볼트(32)로 체결한 후, 드릴깊이 조정구(10)의 가이드바(4)를 받침대(10)의 양쪽 측판(12, 12') 외면과 밀착되도록 끼워 양쪽 측판(12, 12')상에 돌출된 체결편(16, 16')과 지지편(18, 18')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두부가 조이거나 풀기 용이하도록 나비볼트 형태로 된 볼트(6)를 체결편(16)에 형성된 체결공(16a)에 결합하여 가이드바(4)가 받침대(10)의 측판(12, 12')에 압박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받침대(20)의 전방에 드릴깊이 고정구(1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상태에서, 사용자는 드릴(1)에 전류를 공급하여 드릴날(38)이 회전되도록 한 후, 한 손은 손잡이(34)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보조 손잡이(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드릴(1)을 이용하여 나무(W)에 구멍을 뚫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 드릴깊이 조정구(10)의 스토퍼(2)가 나무(W)의 표면에 맞닿게 됨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시 구멍은 일정한 깊이 L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구멍의 깊이가 너무 깊거나 그 깊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드릴깊이 조정구(10)와 받침대(20)를 조이고 있는 볼트(6)를 위에서와는 역방향으로 돌려 압박상태를 해제시킨 후, 스토퍼(2)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가이드바(4)가 체결편(16, 16')과 지지편(18, 18')에 안내를 받으며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스토퍼(2)의 전방으로 드러나지게 되는 드릴날(38)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드릴날(38)의 길이에 맞춰 위치시킨 다음, 다시 볼트(6)를 조여 가이드바(4)와 받침대(20)의 측판(12, 12')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 L'를 갖는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 위치가 변하게 되면, 각각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드릴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손잡이(34)와 보조 손잡이(30)의 각도가 조절되며, 이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4)는 볼트(36)를 기점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좌·우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보조 손잡이(30)는 볼트(24)를 기점으로 하방으로 ∠90°회동이 자유로우며, 특히, 보조 손잡이(30)는 사용자의 편이를 위해 개인의 특성(왼손잡이, 오른손잡이)에 따라 받침대(20) 측판(12, 12')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버섯재배를 위해 나무에 구멍을 뚫음에 있어 드릴깊이 고정구가 구비된 드릴을 이용함에 따라,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하면서도 신속·정확하고도 간편·용이하게 나무에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또한 구멍의 깊이 조절을 자유롭고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버섯균의 원활한 번식 및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버섯재배용 드릴에 있어서,
    원판형상의 스토퍼(2)와 스토퍼(2)의 양측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바(4)로 이루어진 드릴깊이 조정구(10)와;
    양쪽 측판(12, 12')에 횡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14, 14')과 서로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체결편(16, 16')과 지지편(18, 18')이 돌출되며 바닥면에는 개구공(20a)이 형성된 받침대(20)와;
    상면에 고정편(22)이 형성되고 볼트(24)에 의해 상기 받침대(20)의 측판(12, 12')상에 돌출된 고정브라켓(14, 14')에 의해 결합되는 보조 손잡이(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드릴.
KR2019980023180U 1998-11-26 1998-11-26 버섯재배용 드릴 KR200208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180U KR200208382Y1 (ko) 1998-11-26 1998-11-26 버섯재배용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180U KR200208382Y1 (ko) 1998-11-26 1998-11-26 버섯재배용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772U KR20000010772U (ko) 2000-06-26
KR200208382Y1 true KR200208382Y1 (ko) 2001-01-15

Family

ID=6950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180U KR200208382Y1 (ko) 1998-11-26 1998-11-26 버섯재배용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3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772U (ko) 200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0993A (en) Pivot assembly for tool guide
US6854938B2 (en) Automatic locking depth guide for cutting tools and the like
US4679606A (en) Router table
US4049059A (en) Combined garden cultivator and lawn edger
US4745834A (en) Cross cutting guide fence and gauge means for radial arm saws
US5662440A (en) Router attachment
US3635268A (en) Multijob router guide kit
US7337812B2 (en) Multi-function adjustable router base
TWI224544B (en) Multi-direction adjustable laser marking device for cutting machine
US4209045A (en) Combination table saw
US4449867A (en) Dowel drill fixture
US4199283A (en) Drill jig
AU2014290528B2 (en) Multifunction cutting tool guide
US4220311A (en) Clamping block for electrical hand drill
KR200208382Y1 (ko) 버섯재배용 드릴
US4433710A (en) Power planing tool
CN209737803U (zh) 一种木板夹具
US11178802B2 (en) Gardening tool
CA2019681C (en) Scroll saw wrench
CA2336239A1 (en) Cutting tool and system for coring a bowl using a lathe
JP2000107929A (ja) バッテリ駆動式丸鋸工具
US6868612B2 (en) Cutting guide device for circular saws
GB2541786A (en) Jig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283003B1 (en) Knife attachment for a sheet cutting system
US3016933A (en) Power operated tool attachment for electric drill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