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232Y1 -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 Google Patents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232Y1
KR200208232Y1 KR2019980008929U KR19980008929U KR200208232Y1 KR 200208232 Y1 KR200208232 Y1 KR 200208232Y1 KR 2019980008929 U KR2019980008929 U KR 2019980008929U KR 19980008929 U KR19980008929 U KR 19980008929U KR 200208232 Y1 KR200208232 Y1 KR 200208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flow rate
gas
flow
ga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180U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비아이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비아이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2019980008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23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232Y1/ko

Link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 상측에 내부로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구가 체결되고, 타면 하측에는 내부로 유입공이 형성되어 결합구가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표시눈금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면이 밑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된 밀폐구가 체결되어 표시볼이 내장될 수 있도록 유로부가 형성되는 투명의 유량 표시부와; 상기 결합구와 체결될 수 있도록 일면에 내부로 공급공이 형성된 체결구가 체결되며, 내부에는 밑면에 개폐돌기가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면에는 밀폐패킹이 설치되고,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잡이부가 형성된 조절구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가스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로의 하단에는 가스압력용기의 배출구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밀폐링이 설치된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유량 조절부로 구성된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므로서, 가스압력용기에 주입되어 있는 가스를 사용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만큼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측으로 설치된 표시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배출되는 가스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A metering regulator with a flow meter).
본 고안은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스압력용기에 주입되어 있는 가스를 사용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만큼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측으로 설치된 표시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배출되는 가스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으로 가스압력용기에 주입되어 있는 가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스압력용기의 개폐구에 이 개폐구를 개폐시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감압식 압력조절기와, 이 압력조절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를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5에 의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내부로 상, 하조절 가능한 조절구(92)가 나사 체결되며, 일측에는 배출연결부(94)가 형성된 몸체(95)로 구성되는 압력조절기(90)를 설치하고, 이 압력조절기(90)의 배출연결부(94)에는 연결관(110) 등을 사용하여 상기 압력조절기(90)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밑면에 결합부(82)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연결부(84)가 형성된 유입부(85)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85)의 상면에는 볼(86)이 설치된 눈금부(88)와, 그 외주을 감싸는 캡(89)이 설치된 유량계(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스압력용기(100)에 주입된 가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조절기(90)의 조절구(92)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구(92)가 하강되면서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 개방된 개폐구(102)를 통하여 가스압력용기(100) 내에 주입되어 있는 가스가 압력조절기(90)의 몸체(95) 내부를 거쳐 배출연결부(94)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관(110)을 통하여 유량계(80)의 결합부(82)로 유입되어 지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부(82)를 통하여 유입된 가스는 유입부(85)의 상면으로 형성된 눈금부(88)의 내부에 재치되어 있는 볼(86)이 유입되는 가스 압에 의하여 일정 높이 만큼 상승됨에 따라 배출되는 가스량을 눈금부(88)에 표시된 눈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눈금부(88)를 거친 가스는 캡(89)의 내부에서 유입부(85)의 연결부(84)를 통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곳으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볼(86)이 내장되어 있는 눈금부(88)는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므로서, 볼(86)과 눈금부(88)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이 협소한 관계로 볼(86)에 가해지는 가스압이 대부분 볼(86)에 인가됨으로서, 배출되는 가스압에 따라 볼(86)이 부양되는 높이가 커지는 관계로 유량계(80) 자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스압력용기(100)에 주입된 가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으로 분리되어 있는 압력조절기(90)와 유량계(80)를 연결되게 설치하여 사용하므로서, 그 설치작업이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가스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량계(80)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여 확인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가스압력용기에 주입되어 있는 가스를 사용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만큼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측으로 설치된 표시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배출되는 가스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가스압력용기의 개폐구에 체결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종래 가스가 주입되어 있는 압력용기에 압력조절기를 설치하고, 이와 연결관으로 가스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유량계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유량 표시부 11 : 배출공
12 : 배출구 13 : 유입공
14 : 결합구 15 : 표시눈금
16 : 밀폐구 16a : 지지돌기
17 : 표시볼 18 : 유로부
20 : 유량 조절부 21 : 공급공
22 : 체결구 24 : 조절구
24a : 개폐돌기 24b : 잡이부
25 : 밀폐패킹 26 : 가스로
27 : 밀폐링 28 : 결합홈부
28a : 나선부 100 : 가스압력용기
102 : 개폐구 280 : 지지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스압력용기 내에 주입되어 있는 가스를 배출시켜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일면 상측에 내부로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구가 체결되고, 타면 하측에는 내부로 유입공이 형성되어 결합구가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표시눈금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면이 밑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된 밀폐구가 체결되어 표시볼이 내장될 수 있도록 유로부가 형성되는 투명의 유량 표시부와; 상기 결합구와 체결될 수 있도록 일면에 내부로 공급공이 형성된 체결구가 체결되며, 내부에는 밑면에 개폐돌기가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면에는 밀폐패킹이 설치되고,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잡이부가 형성된 조절구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가스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로의 하단에는 가스압력용기의 배출구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밀폐링이 설치된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유량 조절부로 구성된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를 제공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량 표시부의 유로부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로서, 일면 상측에 내부로 배출공(11)이 형성된 배출구(12)가 체결되고, 타면 하측에는 내부로 유입공(13)이 형성되어 결합구(14)가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표시눈금(15)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면이 밑면에 지지돌기(16a)가 형성된 밀폐구(16)가 체결되어 표시볼(17)이 내장될 수 있도록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되어 있는 유로부(18)가 형성되는 투명의 유량 표시부(10)와;
상기 결합구(14)와 체결될 수 있도록 일면에 내부로 공급공(21)이 형성된 체결구(22)가 체결되며, 내부에는 밑면에 개폐돌기(24a)가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면에는 밀폐패킹(25)이 설치되고,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잡이부(24b)가 형성된 조절구(24)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가스로(26)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로(26)의 하단에는 가스압력용기의 개폐구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밀폐링(27)이 설치된 결합홈부(28)가 형성되는 유량 조절부(20)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로서,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일면으로 투명의 유량 표시부(10)가 부착된 유량 조절부(20)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부(28)를 결합시키고, 유량 조절부(20)의 가스로(26)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조절구(24)를 회전시켜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를 개방하므로서, 유량 조절부(20)의 가스로(26)에서 체결구(22)의 공급공(21)으로 공급공(21)에서 유량 표시부(10)의 유입공(13)으로 유입공(13)에서 유로부(18)를 통하여 배출구(12)의 배출공(11)을 거쳐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로부(18)에 내장되어 있는 표시볼(17)이 배출되는 가스량에 따라 상승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이 가스압력용기의 개폐구에 체결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로서,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체결되는 유량 조절부(20)의 결합홈부(28) 외주면에 나선부(28a)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28a)에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구(280)를 형성하여 유량 조절부(20)를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체결시 상기 지지구(280)가 가스압력용기(100)의 상면과 맞닿도록 체결시켜 더욱더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절구(24)가 가스로(26)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유량 조절부(20)의 일측에 체결구(22)와 결합구(14)에 의하여 투명의 유량 표시부(10)가 도 2에서와 같이 결합되어 지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유량 조절부(20)의 결합홈부(28)를 사용하여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유량 조절부(20)의 체결이 완료되면 유량 조절부(20)의 가스로(26)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조절구(24)를 상단으로 형성된 잡이부(24b)를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구(24)가 하강하면서 하면으로 형성된 개폐돌기(24a)가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 개폐구(102)가 개방되므로서, 가스압력용기(100) 내에 주입되어 있던 가스가 개폐구(102)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유량 조절부(20)의 가스로(26) 내로 유입되어 지는 것이다.
이렇게, 가스로(26) 내로 유입되어진 가스는 다시 체결구(22)의 공급공(21)을 거쳐 유량 표시부(10)의 유입공(13)으로 유입공(13)에서 유로부(18)를 통하여 배출구(12)의 배출공(11)을 거쳐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로부(18)에 내장되어 있는 표시볼(17)이 배출되는 가스량에 따라 상승되어 지고, 그 상승된 위치에 따라 외주면으로 형성된 표시눈금(15)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밀폐구(16)의 밑면으로 형성된 지지돌기(16a)는 일정량 이상의 가스량이 배출되어 질때 표시볼(17)이 유로부(18)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에서 표시볼(17)이 내장되어 있는 유로부(18)는 상측이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되므로서, 표시볼(17)에 가해지는 가스압이 일정 높이에서는 표시볼(17)과 유로부(18) 사이에 형성되는 넓은 간격에 의하여 가스압이 낮아지게 되어 유로부(18)의 높이를 크게 갖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유량 표시부(10)에서 배출되는 가스량을 파악하면서 필요한 양만큼의 가스량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량 조절부(20)의 가스로(26)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절구(24)의 잡이부(24a)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구(24)가 상, 하측으로 조절되면서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조절구(24)의 잡이부(24b)를 회전시킴에 따라 밑면으로 형성된 개폐돌기(24a)가 가스압력용기(100) 개폐구(102)의 간격을 조절하므로서,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이 가스압력용기의 개폐구에 체결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로서,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체결되는 유량 조절부(20)의 결합홈부(28) 외주면에 나선부(28a)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28a)에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구(280)를 형성하여 유량 조절부(20)를 개폐구(102)에 체결시 상기 지지구(280)가 가스압력용기(10)의 상면과 맞닿아 체결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더욱더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량 조절기에 유량 표시부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므로서, 가스압력용기에 주입되어 있는 가스를 사용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만큼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측으로 설치된 표시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배출되는 가스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또한, 배출되는 유량을 파악할 수 있는 유량 표시부의 유로부를 상측은 넓게 하측은 좁게 형성시키므로서, 유량 표시부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

  1. 가스압력용기 내에 주입되어 있는 가스를 배출시켜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일면 상측에 내부로 배출공(11)이 형성된 배출구(12)가 체결되고, 타면 하측에는 내부로 유입공(13)이 형성되어 결합구(14)가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표시눈금(15)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면이 밑면에 지지돌기(16a)가 형성된 밀폐구(16)가 체결되어 표시볼(17)이 내장될 수 있도록 유로부(18)가 형성되는 투명재의 유량 표시부(10)와; 상기 결합구(14)와 체결될 수 있도록 일면에 내부로 공급공(21)이 형성된 체결구(22)가 체결되며, 내부에는 밑면에 개폐돌기(24a)가 형성되며, 그 상측 외주면에는 밀폐패킹(25)이 설치되고,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잡이부(24b)가 형성된 조절구(24)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가스로(26)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로(26)의 하단에는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결합할 수 있도록 밀폐링(27)이 설치된 결합홈부(28)가 형성되는 유량 조절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표시부(10)의 유로부(18)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부(20)의 결합홈부(28) 외주면에 나선부(28a)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28a)에는 가스압력용기(100)의 개폐구(102)에 체결시 상기 가스압력용기(100)의 상면과 맞닿게 체결되는 지지구(28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KR2019980008929U 1998-05-27 1998-05-27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KR200208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929U KR200208232Y1 (ko) 1998-05-27 1998-05-27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929U KR200208232Y1 (ko) 1998-05-27 1998-05-27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80U KR19980032180U (ko) 1998-08-17
KR200208232Y1 true KR200208232Y1 (ko) 2001-03-02

Family

ID=6970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929U KR200208232Y1 (ko) 1998-05-27 1998-05-27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2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557A (ko) * 2000-11-02 2001-04-16 이용준 액체 정량 조절용 튜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80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0940A (en) Temperature display device for attachment to a water outlet
US4317375A (en) Flowmeter with pressure release
KR200208232Y1 (ko) 유량 표시부가 부착된 유량 조절기
CN110068374A (zh) 一种一体式超声波水表
CN209706878U (zh) 一种一体式超声波水表
GB2177204A (en) Measurement of fluid flows
US3926051A (en) Frost protection plug for a water meter
US11566928B2 (en) Ultrasonic flow meter having four separate transducer assemblies mounted within mounts in a flow cell
KR890000161A (ko)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 및 기구
US6581457B2 (en) Compound fluid meter with flow distributor
CN212721605U (zh) 一种天然气输送管道用的气体流量计
US4434668A (en) Detector for use in measurement of flow speed or flow rate of a fluid
CN208769523U (zh) 聪明座和具有其的饮水机
JPH0344678Y2 (ko)
CA2288619C (en) Temperature and flow measuring apparatus
JP4602072B2 (ja) 定量塗布容器
KR20040083254A (ko) 전자식 유량계
KR200171729Y1 (ko) 액체 정량 조절용 튜브 장치
CN109368005B (zh) 一种倒药器
KR200236924Y1 (ko) 액체의토출량조절기능이부설된정량밸브
JP4176367B2 (ja) 定量液注出容器
US4489613A (en) Transmitting device for measuring the operating pressure in a system
JPH0443482Y2 (ko)
JPS6033878Y2 (ja) 液体容器
KR960005839Y1 (ko) 가스공급유량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