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181Y1 - 경운기용 썬바이저 - Google Patents

경운기용 썬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181Y1
KR200208181Y1 KR2019980014861U KR19980014861U KR200208181Y1 KR 200208181 Y1 KR200208181 Y1 KR 200208181Y1 KR 2019980014861 U KR2019980014861 U KR 2019980014861U KR 19980014861 U KR19980014861 U KR 19980014861U KR 200208181 Y1 KR200208181 Y1 KR 200208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ides
seat
support frames
sun vi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427U (ko
Inventor
송종명
Original Assignee
송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명 filed Critical 송종명
Priority to KR2019980014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18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4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181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촌에서 경작용 또는 운송용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운기의 운전석 상부를 보호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경운기용 썬바이저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본 고안은
경운기의 적재부 구조에 있어서,
적재부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운전석의 직후방 양측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는 "ㄴ"자 채널 상단에 각각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운전석 상부의 전방으로 하향연장되며, 대향하는 양측의 외주면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연결봉이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폭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 프레임과;
운전석 상부에서 양측의 지지 프레임간으로 씌워지는 커버와;
상기 양측 지지 프레임의 전단부에서 체해결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은 각도조정이 자유로운 측후방 감시용 미러로 구비되므로서 운행 중 직접적인 태양열과 비나 눈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도로 운행시 보다 광범위한 상황감시가 가능토록 하므로서 안전운행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경운기용 썬바이저
본 고안은 농촌에서 경작용 또는 운송용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운기에서의 운전석 상부를 보호해 주는 동시에 운행 중 가시범위가 확대되도록 하는 경운기용 썬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같이 경운기는 농촌에서 모종하거나 논밭을 일굴 때 경작용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육상에서는 각종 화물을 운송하는 운송용으로도 사용되는 다목적 운송수단이다.
즉 경운기는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크게 전방의 구동부(100)와 후방의 적재부(200)로서 나누어져 사용목적에 따라 논밭에서 논밭을 일굴때에는 구동부(100)와 적재부(200)를 분리하여 단순히 구동부(100)만을 이용하는 반면 운송용으로 사용하게 될 때에는 구동부(100)와 함께 적재부(200)를 서로 연결시켜 이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동부(200)에는 통상의 구동수단인 엔진과 변속장치가 구비되고, 그와함께 양측으로는 핸들(110)이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한 적재부(200)에는 상기의 구동부(1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 프레임(210)과 운전석(220)이 전방에 구비되고, 후방에는 적재함(230)을 마련한 구성이다.
따라서 구동부(100)와 적재부(200)는 조인트 프레임(210)으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체해결시키므로서 사용목적에 따라 이들을 분리 또는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바 이러한 경운기가 운송수단으로서 가장 특이한 점은 운전석이 완전 외부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경운기는 대부분 사용 기간이 농사를 짓는 계절인 하절기에 편중되어 있어 이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강한 태양열 또는 폭우에 노출되므로서 각종 피부질환이나 질병에 시달리게 하는 사례가 많다.
또한 경운기는 일반 차량과는 달리 운전석 전방의 구동부(100)가 적재부(200)에 비해서는 소형인 동시에 폭이 좁아 사이드 미러나 룸미러와 같은 일반 차량에서와 같은 측방 또는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의 설치가 대단히 불리하다. 한편 일각에서는 특히 구동부(100) 중 가장 폭이 넓고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핸들(110)에 상기와 같은 측방 및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미러수단을 구비하기도 하지만 핸들이 항상 고정되어 있지 않고 회전방향에 따라서 대단히 심한 유동을 하게 되므로 거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육상에서 운송수단으로 운행시에는 오로지 시야가 전방에 한정되고, 차량의 측방이나 후방을 보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고개를 돌려야만 하므로 사고의 위험성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경운기의 적재부에서 운전석 직후방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된 폴에 착탈이 가능하게 지지 프레임과 커버수단과 측후방 감시용 미러의 결합구조물이 고정장착되게 하므로서 하절기의 강력한 태양열과 비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운행 중 보다 광범위한 시야를 확보하므로서 안전운행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운기용 썬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운기의 적재부 구조에 있어서,
적재부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운전석의 직후방 양측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는 "ㄴ"자 채널 상단에 각각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운전석 상부의 전방으로 하향연장되며, 대향하는 양측의 외주면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연결봉이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폭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 프레임과;
운전석 상부에서 양측의 지지 프레임간으로 씌워지는 커버와;
상기 양측 지지 프레임의 전단부에서 체해결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은 각도조정이 자유로운 측후방 감시용 미러로 구비되는 구성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썬바이저의 일실시예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 구조도,
도 3은 양측의 지지 프레임간 연결봉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ㄴ"자형 채널에지지 프레임이 고정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종전 경운기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 프레임 11 : 연결봉
12 : 압입 보울트 20 : 커버
30 : 측후방 감시용 미러 50 : 연결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크게 지지 프레임(10)과 커버(20)와 측후방 감시용 미러(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도면부호 10의 지지 프레임은 각각의 일단이 경운기의 적재부 전단부측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도록 한 양측의 "ㄴ"자 채널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지지수단이며, 이러한 체결단부는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면서 다시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그 전단부가 운전석보다 더 전방으로 하향연장되게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특히 이들의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간으로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관설시킨 하나 이상의 연결봉(11)에 의해서 연결이 가능토록 하여 지지 프레임(10)간 간격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이다. 연결봉(11)을 이용한 지지 프레임(10)간의 간격 조절은 직경이 큰 일측의 연결봉(11) 단부에 체결된 압입 보울트(12)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적재부의 "ㄴ"자 채널에 체결되는 지지 프레임(10)의 체결단부에는 주면으로 직접 체결구멍(13)을 천공시켜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게 할 수도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적재부의 "ㄴ"자 채널(40)에는 지지 프레임(10)의 직경과 같은 직경으로서 파이프(41)를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용접등에 의해서 구비되도록 하고, 내주면 직경이 상기 지지 프레임(10) 및 파이프(41)의 외주면 직경보다 최소한 크게 형성되도록 한 관상의 연결구(50)를 별도로 구비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10) 및 파이프(41)간으로 삽입되게 하여 체결 보울트(51)에 의해서 고정체결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양측 지지 프레임(10)은 전방으로 하향 연장되는 양측간 폭이 전방측으로 점차 확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호 20의 커버는 한쌍의 지지 프레임(10)간으로 씌워지는 차단수단이다.
즉 전방으로 하향 연장되는 한쌍의 지지 프레임(10)간 상부로 견고하게 씌워져 저부에서 운전자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커버(20)로는 천막을 이용할 수도 있고, 아크릴판과 같은 수지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부호 30의 측후방 감시용 미러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와 마찬가지로 경운기의 양측방 및 후방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수단으로서, 이또한 한쌍으로 구비하여 양측 지지 프레임(10)의 하향연장시킨 전단부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체결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측후방 감시용 미러(30)는 일반 차량의 사이드 미러와 마찬가지로 운전석에서 운전자에 의해 자신의 체격조건등에 따라서 미러의 각도 조정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경운기의 적재부에 수직으로 입설시킨 양측의 "ㄴ"자형 채널 상단부에 지지 프레임(10)이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고정장착되는 구조이다.
즉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양측 지지 프레임(10)의 각각을 일단이 "ㄴ"자형 채널 상단부에 직접 또는 별도의 연결구(50)를 개입시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고, 양측 지지 프레임(10)간 대향되게 관설한 연결봉(11)의 삽입정도에 따라 적절한 폭으로서 지지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이같은 지지 프레임(10)의 상부로는 천막이나 수지판과 같은 커버(20)로서 씌운다.
또한 전방으로 하향연장되게 형성시킨 지지 프레임(10)의 연장된 전단부에는 각각 측후방 감시용 미러(30)가 체결되게 한 후 상기의 미러(30)를 조작하여 운전석에서 측후방 상황을 보다 광범위하게 볼 수 있도록 하므로서 완벽한 조립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지지 프레임(10)에 커버(20)를 씌우게 되면 경운기의 적재부(60)에 화물을 싣고 운송하거나 운행 중일 때 특히 한여름의 태양열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태양열로부터의 차단은 특히 농번기에 피부가 쉽게 그을려지면서 심한 경우에는 피부질환과 같은 악성질병으로까지 발전되는 사례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심한 폭우 속에서도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안전 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더불어 경운기를 일반 차도에서 운행하게 되는 경우 종전에는 운전 가시 범위가 전방에만 한정되어 자칫 후방으로부터 진행하는 차량에 의해 돌발적인 사고를 유발시키기도 하며, 실제 농촌에서는 이같은 사례로 경운기 사고가 사회 문제가 될 만큼 심각한 경우도 있었는바 본 고안의 측후방 감시용 미러(30)는 운행 중 전방의 상황 뿐만 아니라 측후방까지도 항상 운전자의 가시 범위안에 있도록 하므로서 후방 차량에 의한 안전 사고로부터 미연에 대처하면서 안전한 운행이 보장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썬바이저는 농사철 밭이나 논에서 종일토록 일을 해야하는 농민들에게 비록 적은 공간이지만 그늘지고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썬바이저는 종전의 경운기가 일반 차량에 비해 운전자를 보호하는 여타의 구조물이나 장비가 갖추어지지 않으므로서 특히 운행시 강렬한 태열열과 우천시의 비나 눈에 그대로 방치되는 열악한 운행 조건을 개선하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종전과 같은 경운기에 본 고안을 간단히 장착시키기만 하면 운행 중 태양열의 직사광선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면서 직접적으로 비나 눈에 의해 온몸이 젖는 사례를 방지시킬 수가 있게 되어 보다 쾌적한 운전 조건에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은 경운기 운행 중 운전자의 측후방 상황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운전자의 안전 운행을 보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경운기의 적재부 구조에 있어서,
    적재부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운전석의 직후방 양측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는 "ㄴ"자 채널 상단에 각각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운전석 상부의 전방으로 하향연장되며, 대향하는 양측의 외주면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연결봉이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폭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 프레임과;
    운전석 상부에서 양측의 지지 프레임간으로 씌워지는 커버와;
    상기 양측 지지 프레임의 전단부에서 체해결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은 각도조정이 자유로운 측후방 감시용 미러;
    로 구비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썬바이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고정단부로부터 전방의 연장단부측으로 양측간 간격이 점차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한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썬바이저.
KR2019980014861U 1998-08-07 1998-08-07 경운기용 썬바이저 KR200208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61U KR200208181Y1 (ko) 1998-08-07 1998-08-07 경운기용 썬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61U KR200208181Y1 (ko) 1998-08-07 1998-08-07 경운기용 썬바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427U KR20000004427U (ko) 2000-03-06
KR200208181Y1 true KR200208181Y1 (ko) 2001-02-01

Family

ID=6951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861U KR200208181Y1 (ko) 1998-08-07 1998-08-07 경운기용 썬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1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427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9171A (en) Reversible seat and steering console for tractors
US6149228A (en) Modular operator enclosure
US2256890A (en) Tractor enclosure
US4927117A (en) Riding tractor umbrella
US5232005A (en) Universal canopy for all riding lawn mowers
US5890507A (en) Portable shelter for releasable attachment to a snowblower, walker or other walking implement
US6059351A (en) Vehicle canopy apparatus
US3333888A (en) Walking tractor cabs
CA1185293A (en) Cab for walk-behind tractor
KR200208181Y1 (ko) 경운기용 썬바이저
KR101500903B1 (ko) 조립식 캐노피 및 이를 장착한 운송수단
US5401047A (en) Power lift hitch device
US20090183757A1 (en) Lawn mower shade
US4828071A (en) Self-propelled implement carrier
US3212118A (en) Road sweeper
US20030137159A1 (en) Sports/utility vehicle trailer
US1394084A (en) Windshield attachment
KR200456991Y1 (ko) 경운기 썬바이저
US7469929B2 (en) Bidirectionally and angularly adjustable fender attaching device
JPH0441771Y2 (ko)
GB2335898A (en) Mirror for a commercial vehicle
SU1426885A1 (ru) Каби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639523Y2 (ja) 耕耘機の残耕処理刃取付装置
SU1126486A1 (ru) Каби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060688B2 (ja) 車両の前面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