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857Y1 -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 Google Patents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857Y1
KR200207857Y1 KR2020000020276U KR20000020276U KR200207857Y1 KR 200207857 Y1 KR200207857 Y1 KR 200207857Y1 KR 2020000020276 U KR2020000020276 U KR 2020000020276U KR 20000020276 U KR20000020276 U KR 20000020276U KR 200207857 Y1 KR200207857 Y1 KR 200207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reel
top guide
fishing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학
Original Assignee
김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학 filed Critical 김형학
Priority to KR2020000020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8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
낚시대의 톱가이드와 도사환 그리고 릴시이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낚시대의 조립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낚시대의 구성품 즉 톱가이드, 도사환, 릴시이트고정장치의 재질과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낚시대의 기능성과 내구성 뿐 아니라 부품상호간의 호환성이 있는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톱가이드의 프레임을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낚시대의 끝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탄성이 좋은 코일스프링으로 톱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톱가이드를 통과한 낚시줄에 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낚시대의 굴신력을 본 고안 톱가이드가 보완함으로써 낚시대의 파손이 방지되게 하고,
도사환 또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낚시대의 각 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견고성을 향상시켜 손망실을 막아주며,
릴을 낚시대에 고정하는 릴시이트고정장치 역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함으로써 규격이 다른 릴과 낚시대의 조합도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부품이 모두 분해조립 가능한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대낚시대나 릴 낚시대를 구분 하지 않고 상기 부품만 분해 조립하여 사용하면 대낚이나 릴 낚시대로 겸용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A COMBINATION SPINNING TACKLE AND FISHING ROD}
본 고안은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
낚시대의 톱가이드와 도사환 그리고 릴시이트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낚시대의 조립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줄은 톱가이드와 도사환에 안내 되어 낚시줄의 꼬임현상과 처짐현상을 방지하는 것인데,
종래의 대낚시대 또는 릴 낚시대에 장착되는 톱가이드의 재질은 금속제로써 프레임과 안내링을 일체로 구성하여, 프레임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낚시대 끝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은 제조공정을 복잡하게 하여 제조단가가 높아지게 되며, 또한 톱가이드나 낚시대의 끝단이 파손 되면 더 이상 낚시대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한 교체용 제품도 시중에 나와 있으나 단가가 높고 동일 규격의 것을 구하기가 쉽지 않음으로써 끝단이 파손된 낚시대가 많이 버려지고 있다.
또한 탄성이 없는 금속재질로 톱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낚시줄의 꼬임방지가 완벽하지 못하고 굴신력이 없으므로 낚시줄상의 과부하로 인한 낚시대의 파손을 방지하지 못한다.
그리고 종래의 도사환은 일반적으로 낚시대의 각 단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프레임과 낚시줄을 안내하는 안내구를 일체로 구성되고,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제조함으로써 사용 또는 보관시 충격으로 인하여 도사환이 쉽게 파손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낚시대에 도사환을 장착함으로써 온.습도가 높은 곳에서 낚시대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 접착제의 변형으로 낚시대와 도사환이 쉽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릴시이트고정장치는 릴을 낚시대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릴 상면에 릴시이트가 장착되고, 릴시이트는 낚시대의 손잡이부에 릴 고정장치 즉 홀더와 조임부로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릴시이트고정장치는 구성품이 많고 조립이 복잡하여 제조가격이 비싸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낚시대는 제조회사에서 생산되는 낚시대의 종류에 따라 낚시대를 구성하는 구성품 즉 톱가이드, 도사환, 릴시이트 고정장치 등의 규격이 달라짐으로서 낚시대를 이루는 구성품중 어느 하나가 손망실되면 낚시대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대낚시대와 릴낚시대를 겸하여 사용할 수 없어서 이를 각각 구입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낚시대의 구성품 즉 톱가이드, 도사환, 릴시이트고정장치의 재질과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낚시대의 기능성과 내구성 뿐 아니라 부품상호간의 호환성이 있는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톱가이드의 프레임을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낚시대의 끝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탄성이 좋은 코일스프링으로 톱가이드를 형성함으로써 톱가이드를 통과한 낚시줄에 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낚시대의 굴신력을 본 고안 톱가이드가 보완함으로써 낚시대의 파손이 방지되게 하고,
도사환 또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낚시대의 각 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견고성을 향상시켜 손망실을 막아주며,
릴을 낚시대에 고정하는 릴시이트고정장치 역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호 규격이 틀린 릴과 낚시대의 조합도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부품이 모두 분해조립 가능한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대낚시대나 릴 낚시대를 구분 하지 않고 상기 부품만 분해 조립하여 사용하면 대낚이나 릴 낚시대로 겸용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A부 확대도
도3은 도1의 B부 확대도
도4는 도1의 C부 확대도
도5는 도1의 C부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A부의 확대도
도3은 도1의 B부의 확대도
도4는 도1의 C부의 확대도
도5는 도1의 C부의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로서
화이버수지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소정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원형대롱으로 이루어지는 낚시대(1), 손잡이부(2), 손잡이부 하부면에 릴시이트(36)를 장착하는 릴시이트 고정장치(31)(31a), 릴시이트(36)에 장착되는 릴(35), 릴(35)에 권취되는 낚시줄(4), 낚시대(1)에 고정되어 낚시줄(4)을 안내하는 도사환(21), 낚시대(1)의 선단에 장착된 톱가이드(11) 등으로 이루어진 낚시대(1)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으로 안내링(11a)과 프레임(11b)을 일체로 구성하며, 프레임(11b)을 끝단으로 갈수록 페이퍼지게 형성한 톱가이드(11)를 구비하고,
도사환(21)은 안내구(21a)와 프레임(21b)을 일체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낚시대롱의 각 단에 억지끼움 함으로써 낚시대(1)의 조립성과 굴신력을 개선하고,
릴시이트고정장치(31)(31a)를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좌.우 한쌍의 릴시이트고정장치(31)(31a)를 릴(35)이 장착된 릴시이트(36)를 낚시대(1)의 손잡이부(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5)는 낚시줄 중간통과 안내구를 지칭하고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한 톱가이드(11)는 낚시대(1)의 끝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견고히 장착함으로 온도나 습도에 따라 톱가이드(11)가 낚시대 끝단(3)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하고,
낚시를 할 때 어신이 와서 낚시대(1)를 낚아 챌 때에 낚시대(1)에는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됨으로써 낚시대(1)가 파손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탄성이 뛰어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한 톱가이드(11)로 인하여 낚시대(1)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는 한편,
낚시대(1)의 끝단(3)이 파손될 경우, 그 윗단 크기에 맞는 규격의 톱가이드(11)를 윗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움으로서 낚시대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사환(21)은 코일스프링으로 된 프레임(21b)을 낚시대(1) 각 대롱의 주면상에 억지끼움 시키고 릴시이트고정장치(31)(31a)역시 좌.우 한쌍으로 구성된 코일스프링을 낚시대 손잡이부(2)의 주면상에 끼워 손잡이부(2) 하단에 안착된 릴시이트(36)측으로 억지끼움 시키면 억지끼움된 부위는 도5에서와 같이 테이퍼지게 결합되어 릴시이트(36)를 낚시대 손잡이부(2)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도사환(21)과 릴시이트고정장치(31)(31a)를 대 낚시대에 적용하면 릴 낚시대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릴(35)의 릴시이트(36)를 대낚시대의 손잡이부(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한 좌.우 한 쌍의 릴시이트고정장치(31)(31a)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시키고,
대낚시대의 각 단 크기에 맞는 도사환(21)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릴(35)에 권취된 낚시줄(4)을 도사환(21)의 안내구(11a)를 거쳐 톱가이드(11)의 안내링(11a)을 통하게 하면 릴 낚시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톱가이드를 장착함으로써 낚시대의 조립성과 굴신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톱가이드가 장착된 낚시대의 끝단이 파손되더라도 끝단 윗단 크기에 맞는 규격의 톱가이드를 장착함으로써 낚시대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사환과 릴시이트고정장치를 대낚시대에 적용하면 대낚시대가 릴 낚시대로 전용할 수 있어 릴낚시와 대낚시 겸용의 낚시대로 사용할 수 있고,
릴 낚시대에 적용할 경우는 릴의 종류에 따라 낚시대가 한정되지 않고 범용성을 가짐으로써 낚시대의 사용성이 넓어지는 것이고,
낚시대를 사용하거나 보관시에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막고 부품수를 대폭 줄임으로써 제조단가나 제조공정이 간편해지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화이버수지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소정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원형대롱으로 이루어지는 낚시대(1), 손잡이부(2), 손잡이부 하부면에 릴시이트(36)를 장착하는 릴시이트 고정장치(31)(31a), 릴시이트(36)에 장착되는 릴(35), 릴(35)에 권취되는 낚시줄(4), 낚시대(1)에 고정되어 낚시줄(4)을 안내하는 도사환(21), 낚시대(1)의 선단에 장착된 톱가이드(11) 등으로 이루어진 낚시대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으로 안내링(11a)과 프레임(11b)을 일체로 구성하며, 프레임(11b)을 끝단으로 갈수록 페이퍼지게 형성한 톱가이드(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2. 제1항에 있어서, 낚시줄(4)을 안내하는 도사환(21)은 안내구(21a)와 프레임(21b)을 일체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낚시대롱의 각 단에 억지끼움 함으로써 낚시대(1)의 조립성과 굴신력을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3. 제1항에 있어서, 릴시이트고정장치(31)(31a)를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좌.우 한쌍의 릴시이트고정장치(31)(31a)를 릴(35)이 장착된 릴시이트(36)를 낚시대(1)의 손잡이부(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KR2020000020276U 2000-07-14 2000-07-14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KR200207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76U KR200207857Y1 (ko) 2000-07-14 2000-07-14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76U KR200207857Y1 (ko) 2000-07-14 2000-07-14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857Y1 true KR200207857Y1 (ko) 2000-12-15

Family

ID=1966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276U KR200207857Y1 (ko) 2000-07-14 2000-07-14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8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1263B2 (en) Spider arrangement for electromagnetic vibrator
EP1325894A3 (en) Multimode optical fibers with increased bandwith
ATE326998T1 (de) Führungsdraht
KR200207857Y1 (ko) 릴 및 대낚 겸용 낚시대
US20100231848A1 (en) Fixing mechanism of gut for half rim
KR0175151B1 (ko) 고정가이드
CN220655338U (zh) 双头挂钩
US20060187405A1 (en) Assembly of sunshade clip and spectacles using nose pad means
US5119997A (en) Tubular bobbin and spindle assembly for a yarn
KR970077042A (ko) 분리형 타입과 일체형 타입을 겸할 수 있는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CN214508903U (zh) 一种带有组合装饰件的卷线盘
CN210987806U (zh) 一种勾线机构、组合式勾线器、线轮及钓竿
KR200203936Y1 (ko) 투포원 연사기의 크레들
KR200166846Y1 (ko) 낚시용 도래.
KR970000005Y1 (ko) 낚시줄 감개
CN219720034U (zh) 一种可拆卸环保化妆刷
CN219195345U (zh) 一种缝纫机底线供给装置
US20070113585A1 (en) Necklace/bracelet connector
CN211513340U (zh) 一种球和拍一体式新型乒乓球拍
CN220875256U (zh) 一种带有拼接固定结构的黄瓜栽培爬架
CN220213223U (zh) 一种头部设有耳勺的掏耳镊子
US11156785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device
JP4295198B2 (ja) 端部取付キャップ及びミシン用巻芯連結具セット
JP3009879U (ja) キーホルダー
KR20180024441A (ko) 릴낚시대의 라인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