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567Y1 - 다운 컷 시어의 전단클리어린스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다운 컷 시어의 전단클리어린스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567Y1
KR200207567Y1 KR2019960021991U KR19960021991U KR200207567Y1 KR 200207567 Y1 KR200207567 Y1 KR 200207567Y1 KR 2019960021991 U KR2019960021991 U KR 2019960021991U KR 19960021991 U KR19960021991 U KR 19960021991U KR 200207567 Y1 KR200207567 Y1 KR 200207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knife
fixed
shear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909U (ko
Inventor
조일형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21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567Y1/ko
Publication of KR9800069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9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567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판을 분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다운 컷 시어의 스트레이트 나이프에지가 마모 및 파손으로 인하여 교체된 경우 나이프간의 클리어린스를 조절하기 위한 클리어린스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운 컷 시어의 몸체후면에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가 커플링을 통하여 연결된 나선축을 설치하고, 상기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는 각각 커플링을 사이에 두고 이동슬라이더와 압착부를 설치하며, 나이프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이동슬라이더와 경사접촉하는 고정슬라이더 및 상기 고정슬라이더를 이동슬라이더에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부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나선축의 핸들을 회전시키면 이동슬라이더가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슬라이더와 경사접촉된 고정슬라이더에 의해 나이프몸체가 전후로 이동하여 상하부나이프의 클리어린스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운 컷 시어의 전단클리어린스 조절장치
본 고안은 강판을 분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다운 컷 시어의 스트레이트 나이프 에지가 마모 및 파손으로 인하여 교체된 경우 나이프간의 클리어린스를 조절하기 위한 클리어린스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부나이프의 클리어린스를 한곳에서 동시에 조절할수 있도록 하여 나이프의 휨을 방지하고 작업이 손쉬우며 안전재해를 방지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다운 컷 시어의 클리어린스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운 컷 시어의 몸체(10)상단에 하부나이프(22)가 부착된 나이프몸체(20)를 다수의 고정볼트(30)로 체결하고, 상기 몸체전면과 나이프몸체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드로우인볼트(Draw In Bolt, 40)와 트러스트볼트(Thrust Bolt, 50)를 체결하며, 나이프몸체(20)의 상측에 상부나이프(21)를 위치시켰던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치는 상하부나이프(21)(22)의 에지가 마모 및 파손되어 교체한후 이들 상하부나이프사이의 클리어린스를 조절하고자 할경우에는 먼저, 몸체(10)와 나이프몸체(20)의 고정볼트(30)를 느슨하게 풀고, 다운 컷 시어의 후면에 위치한 드로우인볼트(40)를 풀어준 다음, 트러스트볼트(5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하부나이프(21)(22)사이의 클리어린스가 충분히 벌어지도록 나이프몸체(20)를 전면쪽으로 밀어주었던 것이다.
이후, 상부나이프(21)를 하강시켜 제자리에 고정시킨 다음, 트러스트볼트(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완시키고, 드로우인볼트(40)를 다운 컷 시어의 전면에 위치한 타 작업자의 신호에 따라 서서히 돌려 하부나이프가 상부나이프와 근접되도록 한 다음 정지시켰던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운 컷 시어의 전면에 위치한 작업자가 두께게이지(Thickness Gauge)를 이용하여 근접된 상하부나이프(21)(22)사이의 클리어린스를 측정한 다음, 측정값에 따라 드로우인볼트(40)와 트러스트볼트(50)를 조작하여 상하부나이프의 클리어린스를 조절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드로우인볼트(40)와 트러스트볼트(50)의 개수가 적어 이들 사이에서 휨이 발생하기 때문에 클리어린스의 균일한 조절이 어렵고, 조절에 따른 시간과 인원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드로우인볼트(40)를 조이면 좌우의 클리어린스 조절은 잘 되어도 드로우인볼트와 드로우인볼트 사이의 중간부분은 휨으로 인하여 클리어린스가 많이 벌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다운 컷 시어의 협소한 후면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안전재해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리어린스의 조절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드로우인 및 트러스트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핸들의 회전을 통하여 상하부나이프의 클리어린스를 조절하므로서 상하부나이프의 휨을 방지하고, 조절작업이 손쉬우며, 조절에 따른 안전재해를 방지할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a),(b),(c)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의 좌측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
제3(a),(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장치의 정면도와 측단면도.
제4도는 종래 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나이프몸체
21 : 상부나이프 22 : 하부나이프
60 : 나선축 61 : 오른나사부
62 : 왼나사부 63 : 핸들
70 : 커플링 71 : 고정형커플링
72 : 가동형커플링 72a : 장공
80,80′ : 이동슬라이더 81,81′ : 가이드돌기
90,90′ : 고정슬라이더 100,100′ : 압착부
101,101′ : 브라켓트 102,102′ : 볼트축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운 컷 시어의 몸체후면에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가 커플링을 통하여 연결된 나선축을 설치하고, 상기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는 각각 커플링을 사이에 두고 이동슬라이더와 압착부를 설치하며, 나이프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이동슬라이더와 경사접촉하는 고정슬라이더 및 상기 고정슬라이더를 이동슬라이더에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부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나선축의 핸들을 회전시키면 이동슬라이더가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슬라이더와 경사접촉된 고정슬라이더에 의해 나이프몸체가 전후로 이동하여 상하부나이프의 클리어린스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작동하는 상부나이프(21)와, 나이프몸체(20)에 다수의 고정볼트(30)를 통하여 부착된 하부나이프(22) 및, 상기 나이프몸체가 설치되는 몸체(10)로 구성되는 다운 컷 시어에 있어서,
상기 다운 컷 시어의 몸체(10)후면에 2개의 측면지지대(64)(64′)와 샤프트지지대(65)(65′)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플링(70)을 통하여 연결된 오른나사부(61)와 왼나사부(62) 및 회전수단인 핸들(63)을 구비하는 나선축(60)과;
상기 커플링을 사이에 두고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나선축의 회전과 동시 좌우이동하는 이동슬라이더(80)(80′)와;
상기 나이프몸체(20)의 후면에 고정되어 이동슬라이더와 경사접촉되므로서 이동슬라이더의 이동과 동시 나이프몸체를 전후작동시키는 고정슬라이더(90)(90′) 및;
상기 몸체(10)후면에 설치되어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고정슬라이더를 이동슬라이더에 압착시키는 압착부(100)(100′)로 구성된다.
나선축(60)은 2개의 측면지지대(64)(64′)와 샤프트지지대(65)(65′)에 베어링(68,68′,69,69′)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오른나사부(61)와 왼나사부(62)는 커플링(70)을 통하여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므로서 동일한 회전력을 부여받으며, 회전수단인 핸들(63)은 오른나사부의 단부에 축설된다.
상기 측면지지대(64)(64′)와 샤프트지지대(65)(65′)는 각각 몸체 (10)후면에 부착되고, 또한 측면지지대(64)(64′)의 상단과 하단 및 후면에는 착탈가능한 상부덮개(66)와 하부덮개(66′) 및 후면덮개(67)가 부착되어 평상시는 이들 덮개에 의해 본 고안의 장치가 밀폐되며, 상기 후면덮개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67a)이 형성된다.
상기 커플링(70)은 제2도와 같이 나선축(60)의 오른나사부(61)에 고정된 고정형 커플링(71)과, 왼나사부(62)에 고정된 가동형커플링(72)및, 상기 고정 및 가동형커플링을 체결하는 복수개의 볼트(73)로 구성되며, 이중 가동형커플링의 볼트체결공은 최초의 클리어린스 조절시 양측의 이동슬라이더(80)(80′)를 정확히 같은 위치에 맞추기 위하여 장공(72a)으로 형성된다.
이동슬라이더(80)(80′)는 각각 나선축(60)의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후면에는 이동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면덮개(67)의 가이드홈(67a)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81)(81′)가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슬라이더(90)(90′)는 각각 나이프몸체(20)의 후면에 고정된채 이동슬라이더(80)(80′)와 경사접촉되어 상기 이동슬라이더의 이동시 나이프몸체를 전후작동시키게 된다.
압착부(100)(100′)는 제3도와 같이 나이프몸체(20)의 후면에 부착되며 몸체(10)와는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는 브라켓트(101)(101′)와, 상기 몸체(10)후면에 고정되어 브라켓트를 관통하며 관통된 브라켓트의 후면부에 너트(104)(104′)가 체결되는 볼트축(102)(102′) 및, 상기 몸체(10)와 브라켓트(101)(101′)사이에 탄설되는 압축코일스프링(103)(103′)으로 구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이 브라켓트를 통하여 나이프몸체에 작용하므로서 나이프몸체에 고정된 고정슬라이더가 후면부쪽으로 밀리게 되어 이동슬라이더와 항상 견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클리어린스 조절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하부나이프(21)(22)의 에지가 마모 및 파손되어 교체한후, 이들 상하부나이프의 클리어린스를 조절하고자 할경우에는 먼저, 나이프몸체(20)의 고정볼트(30)를 느슨하게 풀어 가동상태로 유지시킨 다음 핸들(63)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핸들과 연결된 나선축(60)이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나선축의 오른나사부(61)와 왼나사부(62)에 나사결합된 이동슬라이더(80) (80′)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그와 경사접촉된 고정슬라이더(90)(90′)를 통하여 나이프몸체(20)를 전후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나이프몸체에 고정된 하부나이프(22)도 나이프몸체와 함께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상부나이프(21)와의 클리어린스가 충분히 벌어지게 된다.
이후, 상부나이프(21)를 하강시켜 고정시킨 다음, 다시 핸들(63)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이동슬라이더(80)(80′)가 반대방향으로 이송하여 고정슬라이더(90)(90′)를 밀게 되므로서 고정슬라이더와 함께 나이프몸체(20)가 전반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나이프몸체에 고정된 하부나이프(22)도 전진하여 상부나이프와의 클리어린스가 좁혀진다.
상기 동작중, 이동슬라이더(80)(80′)는 가이드돌기(81)(81′)가 후면덮개(67)의 가이드홈(67a)을 따라 이동하므로서 이동시의 유동이 방지되고, 압착부(100)(100′)는 압축코일스프링(103)(10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계속해서 고정슬라이더(90)(90′)를 이동슬라이더에 밀착시키므로서 이동 및 고정슬라이더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면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계속하여 상하부나이프(21)(22)가 거의 일치되었을 때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두께게이지로 상하부나이프의 클리어린스를 측정한다.
클리어린스가 크거나 작을때는 핸들(63)을 오른쪽 및 왼쪽으로 서서히 돌려가면서 클리어린스를 조절하고, 조절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부나이프를 상승시킨후 고정볼트(30)를 체결하며, 한 번의 시편을 절단하여 절단면을 확인한후 이상이 없으면 클리어린스의 조절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운 컷 시어의 몸체(10)후면에 오른나사부(61)와 왼나사부(62) 및 핸들(63)이 구비된 나선축(60)을 설치하고, 상기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는 각각 커플링(70)을 사이에 두고 좌우이동하는 이동슬라이더(80)(80′)와 압착부(100)(100′)를 설치하며, 나이프몸체(20)의 후면에는 상기 이동슬라이더와 경사접촉하는 고정슬라이더(90)(90′) 및 상기 고정슬라이더를 이동슬라이더에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부(100)(100′)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나선축의 핸들을 회전시키면 이동슬라이더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고정슬라이더를 통하여 나이프몸체에 고정된 하부나이프(22)를 전후이동시키므로서 상하부나이프(21)(22)의 클리어린스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하부나이프(21)(22)의 클리어린스 조절이 신속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하부나이프의 휨이 방지되고, 조절에 따른 안전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강판을 분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다운 컷 시어(Down Cut Shear)의 스트레이트 나이프 에지(Straight Knif Edge)가 마모 및 파손으로 인하여 교체되었을 때 나이프간의 클리어린스(Clearance)조절이 손쉽도록 함에 있다.

Claims (1)

  1. 상하작동하는 상부나이프(21)와, 나이프몸체(20)에 다수의 고정볼트(30)를 통하여 부착된 하부나이프(22) 및, 상기 나이프몸체가 설치되는 몸체(10)로 구성되는 다운 컷 시어에 있어서, 상기 다운 컷 시어의 몸체(10)후면에 2개의 측면지지대(64)(64′)와 샤프트지지대(65)(65′)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플링(70)을 통하여 연결된 오른나사부(61)와 왼나사부(62) 및 회전수단인 핸들(63)을 구비하는 나선축(60)과; 상기 커플링을 사이에 두고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나선축의 회전과 동시 좌우이동하는 이동슬라이더(80)(80′)와; 상기 나이프몸체(20)의 후면에 고정되어 이동슬라이더와 경사접촉되므로서 이동슬라이더의 이동과 동시 나이프몸체를 전후작동시키는 고정슬라이더(90)(90′)및; 상기 몸체(10)후면에 설치되어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고정슬라이더를 이동슬라이더에 압착시키는 압착부(100)(1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컷 시어의 전단클리어린스 조절장치.
KR2019960021991U 1996-07-25 1996-07-25 다운 컷 시어의 전단클리어린스 조절장치 KR200207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991U KR200207567Y1 (ko) 1996-07-25 1996-07-25 다운 컷 시어의 전단클리어린스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991U KR200207567Y1 (ko) 1996-07-25 1996-07-25 다운 컷 시어의 전단클리어린스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909U KR980006909U (ko) 1998-04-30
KR200207567Y1 true KR200207567Y1 (ko) 2001-01-15

Family

ID=5396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991U KR200207567Y1 (ko) 1996-07-25 1996-07-25 다운 컷 시어의 전단클리어린스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5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309B1 (ko) * 2002-08-12 2008-04-28 주식회사 포스코 나이프 교환이 용이한 플라잉 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909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311B1 (ko) 전기 면도기
US2327223A (en) Sheet trimmer
ATE66853T1 (de) Raspel- oder schneidwerkzeugsanordnung zum zerkleinern von nahrungsmitteln, insbesondere fuer kuechenmaschinen.
JPH06103969B2 (ja) ケーブル被覆剥離用工具
GB114689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trimming the edges of metal strip
ITMI950142A1 (it) Sega circolare manuale con carter di protezione oscillante e con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dell'angolo di taglio
KR20030046466A (ko) 칩 제거 공구
USRE28345E (en) Guillotines and like shearing machines
KR200207567Y1 (ko) 다운 컷 시어의 전단클리어린스 조절장치
EP2030692A1 (de) Grobstoffzerkleinerer
US3985488A (en) Material guide jaw for two co-operating rolls of a rolling mill or calender
JPH0240310B2 (ko)
US4858507A (en) Mat board cutter with adjustable cutter-carrying body
EP2086709A1 (en) Clamp for a key cutting machine.
JPH0639935Y2 (ja) 鉋盤におけるカッターブロックのガード
EP0038562B1 (en) Web section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knife engagement
US2093867A (en) Cutter for plastic substances
US5370027A (en) Guillotine for cutting tabs
RU2334597C1 (ru)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кромкообрезных устройств и такое кромкообре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721008B1 (ko) 사이드 트리머용 나이프 미세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US2823565A (en) Glass nipping pliers with floating jaw
DE3730631C2 (ko)
JP4444391B2 (ja) 剪断加工装置
KR200247320Y1 (ko) 절단장치의고정구
US834715A (en) Shade-trim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