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454Y1 -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454Y1
KR200207454Y1 KR2020000017106U KR20000017106U KR200207454Y1 KR 200207454 Y1 KR200207454 Y1 KR 200207454Y1 KR 2020000017106 U KR2020000017106 U KR 2020000017106U KR 20000017106 U KR20000017106 U KR 20000017106U KR 200207454 Y1 KR200207454 Y1 KR 200207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elt
cylinder
conveyor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정장영
윤재광
강충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7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15B15/06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향으로 동작되는 실린더(111)를 구비한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실린더(111)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슬라이드관(13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슬라이드관(111)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132)을 설치하며 피스톤(132)의 중앙에 결합하여 컨베이어 벨트(141) 상측에 설치되는 리프팅롤러(134)를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컨베이어벨트(14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130)와, 상기 실린더(111)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12)와 피스톤(132)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33)의 하단 각각을 레버(121)의 양단에 부착시킨 동력전달부(120)로 구성하므로 컨베이어벨트에 고인 물을 원활하게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할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공벨트 운전시간을 단축하고 물의 흡수로 인한 제품의 훼손과 화물의 막힘 및 쏟아짐을 억제시키며 설비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 {Draining device of Belt conveyor}
본 고안은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석탄·곡물과 같은 원자재 등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오목한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가 노천 등에 설치되어 우천 등으로 인하여 물이 고인 경우 이를 완전하고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대량의 생산공장 등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데, 고무·직물·철망·강판(鋼板)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이다. 그 가운데 고무로 된 벨트가 가장 많이 쓰인다. 이것을 일정속도로 움직여 위에 물품을 올려놓고 운반·가공·조립 등을 한다. 이 벨트를 고리모양으로 벨트바퀴에 걸고, 벨트바퀴를 전동기로 회전시켜 움직이게 한다. 벨트가 하나인 경우, 그 길이는 수평으로 2000m까지도 가능하다. 도중에 벨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들러가 사용된다. 운반 물이 상자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납작한 모양의 아이들러가 쓰이며, 석탄·곡물과 같은 것을 운반할 때는 벨트의 가운데를 약간 오목하게 하기 위하여 홈모양의 아이들러를 사용한다. 다른 컨베이어에 비하여 장거리 운반이 가능하고 운반능력이 크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나타낸 화물 운반 상태 구성도이고,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나타낸 배수 작업 상태 구성도이며, 도 3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배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 배수 장치(100)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향으로 동작되는 실린더(111)를 구비한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실린더(111)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슬라이드관(13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슬라이드관(131)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132)을 설치하며 피스톤(132)의 중앙에 리프팅롤러(134)를 결합하되 리프팅롤러(134)가 컨베이어 벨트(141)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작동부(130)와, 상기 실린더(111)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12)와 피스톤(132)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33)의 하단 각각을 레버(121)의 양단에 부착시킨 동력전달부(120)로 구성하였다.
상기 작동부(130)의 슬라이드관(131)에는 피스톤(132)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137)를 상하에 각각 설치한다.
이러한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 배수 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141)에 물이 고이면 구동부(110)의 실린더(111)를 동작시켜 상승상태의 로드(112)를 하강시킨다.
이때, 레버(121)는 중심축(122)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측 단을 하강시키고 타측 단을 상승시키므로 타측 단에 결합된 로드(133)의 피스톤(132)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130)의 중앙에 결합된 리프팅롤러(134)도 연동하여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리프팅롤러(134)의 상측에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141)도 상승하여 평면을 이루며 스크레이퍼(143)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공회전 시켜 지속적으로 배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 배수 장치(100)는 컨베이어벨트(141)를 소정위치까지 들어올린 공회전 시키는 경우에 일측의 고인 물이 벨트를 따라 넘어가거나, 배출되지 못하고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노천에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140)는 지형의 특성상 높낮이를 차이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는 높은 측의 고인 물을 완전하게 배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실제 하물 등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시간 공벨트를 운전하여야할 뿐 아니라 완전하게 고인 물을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운반되는 화물에 물이 스며들고 이로 인하여 화물의 막힘이 발생되며 컨베이어벨트(141)의 클리닝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14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컨베이어벨트에 고인 물을 원활하게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공벨트 운전시간을 단축하고 물의 흡수로 인한 제품의 훼손 과 화물의 막힘 및 쏟아짐을 억제시키며 설비의 수명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나타낸 화물 운반 상태 구성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나타낸 배수 작업 상태 구성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배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나타낸 화물 운반 상태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의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나타낸 배수 작업 상태 구성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배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수장치 110; 구동부
111; 실린더 112; 로드
113; 지지대 120; 동력전달부
121; 레버 122; 중심축
130; 작동부 131; 슬라이드관
132; 피스톤 133; 로드
134; 리프팅롤러 135; 링크
136; 회전식 캐리어아이들러스탠드
137; 리미트 스위치
138; 지지대 139; 편심축
140; 벨트컨베이어 141; 컨베이어벨트
142; 아이들러 143 ; 스크레이퍼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향으로 동작되는 실린더를 구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실린더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슬라이드관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슬라이드관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을 설치하며 피스톤의 중앙에 결합하여 리프팅롤러를 결합하되 리프팅롤러가 컨베이어 벨트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하강하여 누를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와, 상기 실린더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와 피스톤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의 하단 레버의 양단에 각각 부착시킨 동력전달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나타낸 화물 운반 상태 구성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나타낸 배수 작업 상태 구성도이며,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를 배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100)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향으로 동작되는 실린더(111)를 구비한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실린더(111)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슬라이드관(13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슬라이드관(111)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132)을 설치하며 피스톤(132)의 중앙에 결합하여 컨베이어 벨트(141) 상측에 설치되는 리프팅롤러(134)를 위치하도록 설치한 작동부(130)와, 상기 실린더(111)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12)와 피스톤(132)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33)의 하단 각각을 레버(121)의 양단에 부착시킨 동력전달부(120)로 구성한다.
상기 구동부(110)는 컨베이어벨트(141)의 좌우측에 상호 대향되게 하고 실린더(111)를 하향으로 작동되게 설치하되 지지대(113)로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구동부(110)의 실린더(111)는 지지대(113)에 핀으로 결합하여 레버(121)의 회전에 따른 각도 변화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작동부(130)는 실린더(111)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슬라이드관(131)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컨베이어벨트(141)의 좌우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하여 지지대(138)로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또, 작동부(130)의 피스톤(132) 로드(133) 하부에는 링크(135)를 좌우로 대칭되게 설치하되 링크(135)의 타단에 캐리어아이들러스탠드(136)를 각각 편심되게 결합하되, 캐리어아이들러스탠드(136)는 컨베이어벨트(141)의 저면에 밀착되어 공회전 하거나 편심축(139)을 중심으로 컨베이어 벨트(141)의 하부로 내려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피스톤(132)에 로드(133)를 핀으로 결합하여 레버(121)의 회전에 따른 각도 변화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작동부(130)의 슬라이드관(111)에는 피스톤(132)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137)를 각각 설치하여 실린더(111)를 제어하여 피스톤(132)의 스트로크를 한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피스톤(132)의 하사점은 피스톤(132)에 결합되어 컨베이어벨트(141)의 상측에 위치하는 리프팅롤러(134)가 컨베이어벨트(141)를 눌러 평평하게 되는 위치까지로 한다.
더불어, 피스톤(132)의 상사점은 링크(135)의 작동으로 캐리어아이들러스탠드(136)가 컨베이어벨트(141)의 저면에 밀착되어 공회전 할 수 있는 위치까지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린더(111)의 로드(112)가 하강하여 레버(121)에 의해 피스톤(132)이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즉 하물 운반 위치에서 컨베이어(140)를 가동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벨트(141)에 고인 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린더(111)를 동작시켜 로드(112)를 상승시킨다.
이때, 레버(121)는 회전하여 타단의 로드(133)를 하강시키고 이로 인하여 로드(133)에 핀으로 결합된 피스톤(133)이 슬라이드관(131)의 하사점까지 하강하여 리미트스위치(137)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를 감지한 실린더(111)는 동작이 중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컨베이어벨트(141)의 좌우측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피스톤(132)의 중앙을 연결하여 컨베이어벨트(141) 상측에 위치하든 리프팅롤러(134)도 하강하여 컨베이어벨트(141)의 상부를 눌러 오목한 형상의 컨베이어벨트(141)를 평평하게 되도록 한다.
더불어, 로드(133)의 하강으로 링크(135)도 동작하여 편심축(139)을 중심으로 캐리어아이들러스탠드(136)가 컨베이어벨트(141)의 저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하측으로 이동되어 컨베이어벨트(141)와의 일정 간격을 유지하므로 리프팅롤러(134)의 누름이 원활하게 한다.
따라서, 컨베이어벨트(141)의 상면에 고인 물이 컨베이어벨트(141)의 눌러진 좌우측을 통하여 배수되고 이러한 상태로 공벨트 운전하면 고인 물은 신속하게 완전하게 배수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100)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향으로 동작되는 실린더(111)를 구비한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실린더(111)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슬라이드관(13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슬라이드관(111)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132)을 설치하며 피스톤(132)의 중앙에 결합하여 컨베이어 벨트(141) 상측에 설치되는 리프팅롤러(134)를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컨베이어벨트(14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130)와, 상기 실린더(111)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12)와 피스톤(132)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33)의 하단 각각을 레버(121)의 양단에 부착시킨 동력전달부(120)로 구성하므로 컨베이어벨트에 고인 물을 원활하게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할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공벨트 운전시간을 단축하고 물의 흡수로 인한 제품의 훼손과 화물의 막힘 및 쏟아짐을 억제시키며 설비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향으로 동작되는 실린더(111)를 구비한 구동부(110)와,
    상기 구동부(110)의 실린더(111)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슬라이드관(131)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슬라이드관(131)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132)을 설치하며 피스톤(132)의 중앙에 결합하여 컨베이어 벨트(141) 상측에 설치되는 리프팅롤러(134)를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컨베이어벨트(14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130)와,
    상기 실린더(111)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12)와 피스톤(132)에 하향으로 형성된 로드(133)의 하단 각각을 레버(121)의 양단에 부착시킨 동력전달부(12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30)의 피스톤(132) 로드(133) 하부에는 링크(135)를 좌우로 대칭되게 설치하고 링크(135)의 타단에 회전식캐리어아이들러스탠드(136)를 편심되게 각각 결합하되, 회전식캐리어아이들러스탠드(136)는 컨베이어벨트(141)의 저면에 밀착되어 공회전 하거나 편심축(139)을 중심으로 컨베이어 벨트(141)의 하부로 내려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피스톤(132)과 로드(133)는 핀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
KR2020000017106U 2000-06-16 2000-06-16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 KR200207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06U KR200207454Y1 (ko) 2000-06-16 2000-06-16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06U KR200207454Y1 (ko) 2000-06-16 2000-06-16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454Y1 true KR200207454Y1 (ko) 2000-12-15

Family

ID=1966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106U KR200207454Y1 (ko) 2000-06-16 2000-06-16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4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8401A (zh) * 2021-09-09 2022-01-07 上海申传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井下电机车用云-车-轨协同的智能管控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8401A (zh) * 2021-09-09 2022-01-07 上海申传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井下电机车用云-车-轨协同的智能管控系统
CN113898401B (zh) * 2021-09-09 2024-01-26 上海申传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井下电机车用云-车-轨协同的智能管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40535U (zh) 输送装置
US4926999A (en) Right angle flow-through jump transfer conveyor system
AU632692B2 (en) A method for removing liquid from a mixture of liquid and solid matter
EP0999152B9 (en) Device for transferring goods
KR200207454Y1 (ko) 벨트 컨베이어의 배수 장치
CN211140701U (zh) 一种能够实现成品烟箱转向和翻转的输送机
CN211687472U (zh) 一种物流用稳定型皮带输送机
US2981399A (en) Apparatus for handling rigid sheet material
KR20100078929A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US4265360A (en) Article transfer arrangement
CN215709243U (zh) 一种用于砂石物料输送的链传动送料机
CN209956989U (zh) 一种装车高度可调的货物装车机
CN210117031U (zh) 混匀堆料机液压控制装置
CN209554206U (zh) 平移升降装置
JP3059363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溜水排出装置
US3037612A (en) Portable elevator
KR200225825Y1 (ko) 화물 상하 이송용 콘베이어장치
GB2282118A (en) Temporary stoppage of conveyed goods
CN208150301U (zh) 用于电子商务的物流运输装置
CN220312813U (zh) 一种铝模板打磨装置
CN217263003U (zh) 转向输送机
JPH0890295A (ja) 空容器圧縮機
US3179242A (en) Transfer pulley mounting for conveyors
CN210064190U (zh) 一种防侧翻桁架横向装皮带机
CN209195050U (zh) 一种卸料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4

Year of fee payment: 7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