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433Y1 -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 Google Patents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433Y1
KR200207433Y1 KR2020000014181U KR20000014181U KR200207433Y1 KR 200207433 Y1 KR200207433 Y1 KR 200207433Y1 KR 2020000014181 U KR2020000014181 U KR 2020000014181U KR 20000014181 U KR20000014181 U KR 20000014181U KR 200207433 Y1 KR200207433 Y1 KR 200207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neutral buoyancy
buoyancy
spher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태형
Original Assignee
사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태형 filed Critical 사태형
Priority to KR2020000014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6Trimm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0Steer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 B63G2008/005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remotely controlled
    • B63G2008/007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remotely controlled by means of a physical link to a base, e.g. wire, cable or umbil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동력케이블은 수중에서 음성부력을 가지므로 무인잠수정의 중성부력 유지를 위해 중성부력을 갖는 별도의 수중용 동력케이블이 제작되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a, 도 2b, 도 2c 에서와 같이, 통상의 동력케이블(10)에 별단의 중성부력구(12)가 장착된 것으로, 중성부력구(12)는 유선형 몸체로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거나, 측단에 절개부(18)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동력케이블(10)이 이 절개부(18)를 통해 중성부력구에 끼워지거나, 케이블 형상으로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권취되는 등의 형태로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장착됨으로써, 수중에서 동력케이블(10)의 음성부력을 상쇄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수중에서 음성부력을 가지는 통상의 동력케이블에 중성부력구가 장착되어 통상의 동력케이블이 중성부력을 가지는 수중의 동력케이블로 전환됨에 따라, 소량 수요품인 수중 동력케이블을 제작하거나 수입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수중의 동력케이블에 있어서 제작이 용이한 부품으로 대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Power cable of submarine.}
본 고안은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부력을 지닌 통상의 동력케이블이 수중에서 중성부력 상태를 유지하도록 별도의 중성부력구가 설치된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이다.
통상 인간의 잠수한계를 초월한 지역, 예를 들면 심해저 등과 같이 생리학상 인간의 잠수 수심한계를 초과한 지역이나, 오염지역 난파선 등과 같이 위험지역의 탐사 또는 군 수색용으로 무인잠수정이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예시도면 도 1 은 이러한 무인잠수정을 나타낸 개요도로서, 무인잠수정은 유선형 동체(1)를 위시하여 동력장치(2) 및 조타장치(3) 등이 장착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체(1)에는 별도의 부력조절기구는 장착되어 있지 않고, 탑재되는 기구의 무게 등이 고려되어 동체자체가 물과 동일한 비중을 갖도록 제작되므로, 무인잠수정은 그 자체의 형상(부피)과 무게로 중성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조타장치(3)는 좌우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러더(rudder)와 잠수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브 블레이드(dive blade)로 구분되며, 모우터 등에 의한 엑튜에이터로 사용자의 제어를 받고 있다.
한편, 무인잠수정은 그 작동의 제어를 위해 별도의 동력케이블(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수중에서의 전파손실로 무선으로 무인잠수정을 제어하기가 까다롭고, 전력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동력케이블(4)이 방수를 위한 수중커넥터로 동체를 관통하여 내부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조종제어와 전력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력케이블(4)은 무인잠수정 등 수중에서 사용되는 기구만을 위해 별도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동력케이블은 수중에서 음성부력을 가지며, 이러한 동력케이블을 사용하면 동체에 음성부력을 가하게 되어 무인잠수정의 동작제어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무인잠수정에 사용되는 동력케이블(4)은 중성부력을 갖는 무인잠수정의 동체와 마찬가지로 동력케이블(4) 자체의 중성부력을 위해 물과 동일한 비중을 가질 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무인잠수정에 사용되는 동력케이블(4)은 중성부력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재질로 개발되어야 하는데, 소량생산을 위한 동력케이블(4)의 개발이 번거롭고 이것 자체가 고가인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과 조타장치 등은 차치하더라도 수중장비를 위해 별도의 동력케이블(4)을 제작하는 것은 상기 무인잠수정의 대량 생산 체제가 갖추어지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생산하기 번거로운 것이며, 이러한 제반 문제점들이 우리나라에서의 수중장비 개발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된 동력케이블(4) 등 부품의 대체는 해결해야 할 과제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수중케이블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통상의 동력케이블을 수중의 동력케이블로 전환가능케 한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동력케이블에 별단의 중성부력구가 장착된 것으로, 중성부력구는 유선형 몸체로 동력케이블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거나, 측단에 절개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동력케이블이 이 절개부를 통해 중성부력구에 끼워지거나, 케이블 형상으로 동력케이블의 외주에 권취되는 등의 형태로 동력케이블의 외주에 장착됨으로써, 동력케이블의 음성부력을 상쇄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수중에서 음성부력을 가지는 통상의 동력케이블에 중성부력구가 장착되어 통상의 동력케이블이 중성부력을 가지는 수중의 동력케이블로 전환됨에 따라, 소량 수요품인 수중 동력케이블을 제작하거나 수입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수중의 동력케이블에 있어서 제작이 용이한 부품으로 대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무인잠수정을 나타낸 외관설명도,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케이블을 나타낸 제 1 의 실시예,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케이블을 나타낸 제 2 의 실시예,
도 2c 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케이블을 나타낸 제 3 의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동력케이블, 12 - 중성부력구,
14 - 클램프, 16 - 보울트,
18 - 절개부.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2a, 도 2b, 도 2c 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케이블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은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수중에서 이 동력케이블(10)의 음성부력을 상쇄시켜 중성부력을 유지시키는 중성부력구(12)가 설치된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성부력상태를 보조하는 중성부력구(12)를 제공하여 통상의 동력케이블(10)을 상기된 수중의 동력케이블로 전환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제 1 의 실시예로서, 도 2a 와 같이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유선형의 중성부력(12)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중성부력구(12)는 수지재로서 수중에서 양성부력이며, 이러한 중성부력구의 양성부력이 동력케이블(10)의 음성부력과 상쇄된다.
중성부력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중성부력구(12)의 배치 즉, 동력케이블(10)의 단위길이당 중성부력구(12)의 배치수는 사용되는 동력케이블(10)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되어 지며, 수중에서의 조류 등을 감안하여 최대한 유선형으로 형태가 결정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성부력구(12)는 그 배치에 의해 동력케이블(10)의 전체적인 중성부력이 결정되므로, 동력케이블(10)의 각 종류별로 탄력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중성부력구(12)가 배치된 후 고정될 것이 요구되는데, 중성부력구(12)의 체결은 클램프(14)와 보울트(16) 등에 의하며, 중성부력의 보조를 위해 클램프(14)와 보울트(16) 역시 수지재인 것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중성부력구의 제 2 실시예로서, 이는 수지재의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 형상의 중성부력구(12) 역시 동력케이블(10)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중성부력을 유지하기 위한 재질과 두께 등 물리적인 형태가 결정되어 진다.
이 파이프형의 중성부력구(12)는 그 장착이 용이하도록 측단에 절개부(18)가 형성되어 동력케이블(10)이 간단히 끼워지게 되며, 장착 후 탈거가 방지되도록 클램프(14)가 절개부(18)에 일정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클램프(14)는 보울트(16) 등으로 체결되며, 상술된 바와 같은 이유로 클램프(14)와 보울트(16) 등은 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성부력구(12)는 동력케이블(10)의 외주 대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므로, 중성부력의 유지역할과 더불어 동력케이블(10)의 보호구 역할을 하게된다.
즉, 동력케이블(10)이 수중의 암초 등에 충돌되거나 마찰될 때 이 중성부력구(12)가 암초와 동력케이블(10) 사이의 완충재로서 작용을 함과 더불어 마찰에 의한 동력케이블(1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c 는 본 고안에 따른 중성부력구의 제 3 실시예로서, 이는 수지재의 케이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케이블 형상의 중성부력구(12)가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권취되어 동력케이블(10)의 중성부력을 유지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된 제 1 과 제 2 실시예의 복합적 형태이다.
즉, 케이블 형상의 중성부력구(12)가 결정되어 진 상태에서, 중성부력을 유지하기 위한 중성부력구(12)의 권취량 즉, 동력케이블(10)의 단위길이당 중성부력구(12)의 장착 길이가 실험적으로 결정되어 진다.
따라서, 동력케이블(10)의 종류에 따라 중성부력구(12)의 권취량이 다르게 적용되며, 이것은 각종의 동력케이블(10)에 탄력적으로 상기 중성부력구(12)가 적용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중성부력구(12)는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권취되어 동력케이블(1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구의 역할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중에서 음성부력을 가지는 통상의 동력케이블에 중성부력구가 장착되어 통상의 동력케이블이 수중의 동력케이블로 전환됨에 따라, 소량 수요품인 수중 동력케이블을 제작하거나 수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수중의 동력케이블에 있어서 제작이 용이한 부품으로 대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수중에서 이 동력케이블(10)의 음성부력을 상쇄시켜 중성부력을 유지시키는 중성부력구(12)가 설치된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중성부력구(12)는 유선형 몸체로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중성부력구(12)는 파이프 형상으로 그 측단에 절개부(18)가 형성되어 동력케이블(10)이 상기 절개부(18)를 통해 중성부력구(12)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중성부력구(12)는 케이블 형상으로 동력케이블(10)의 외주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KR2020000014181U 2000-05-19 2000-05-19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KR200207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181U KR200207433Y1 (ko) 2000-05-19 2000-05-19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181U KR200207433Y1 (ko) 2000-05-19 2000-05-19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433Y1 true KR200207433Y1 (ko) 2000-12-15

Family

ID=1965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181U KR200207433Y1 (ko) 2000-05-19 2000-05-19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4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437A (ko) 2019-09-27 2021-04-06 김수용 수중 드론용 엄빌리컬 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437A (ko) 2019-09-27 2021-04-06 김수용 수중 드론용 엄빌리컬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8068B2 (en) Mechanical tether system for a submersible vehicle
JP5389564B2 (ja) 潜水機システム
US7559288B2 (en) Recoverable optical fiber tethered buoy assembly
BRPI0821888B1 (pt) Dispositivo de controle para controlar a posição de um cabo instrumentalizado rebocado na água
JP6187799B2 (ja) 潜水機のプロペラ用の保護ハウジング、接続ケーブルを備えた接続システムおよび接続ケーブルを組み込むためのこの種の保護ハウジングの使用
WO2013016553A1 (en) Internal winch for self payout and re-wind of a small diameter tether for underwater remotely operated vehicle
CN111204671B (zh) 水气界面收放探测仪器的微小型绞车
US4737940A (en) Trolling motor with sonar transducer
KR102311739B1 (ko) 파랑에 강한 해양관측부이의 구조
KR200207433Y1 (ko) 무인잠수정 동력케이블
CN207658000U (zh) 深海耐压浮球
KR102328877B1 (ko) 수중 드론용 엄빌리컬 케이블
CN112093015A (zh) 水下机器人
US20210071480A1 (en) Bend Stiffener
JP6646865B2 (ja) 水中浮遊体の浮力調整装置及び海流発電装置
CN212951074U (zh) 无人船的动力装置、船体和无人船
CN115520359A (zh) 一种水下机器人定位系统
KR101224893B1 (ko) 수중로봇 비상 대응모듈
CN211479740U (zh) 一种船舶电缆
CN113155103A (zh) 漂流式海洋观测系统
CN113492956A (zh) 一种水下机器人
CN201408586Y (zh) 耐挠曲高柔性漂浮电缆
CN214493310U (zh) 无人船的动力部、船体和无人船
SU981085A1 (ru) Всплывающий буй
CN214667333U (zh) 边界层温度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