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380Y1 -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 - Google Patents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380Y1
KR200207380Y1 KR2020000022381U KR20000022381U KR200207380Y1 KR 200207380 Y1 KR200207380 Y1 KR 200207380Y1 KR 2020000022381 U KR2020000022381 U KR 2020000022381U KR 20000022381 U KR20000022381 U KR 20000022381U KR 200207380 Y1 KR200207380 Y1 KR 200207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olumn
jig
circular
p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석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22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원형 교각을 이루는 기둥 철근(1)이 구축되되, 상기 기둥 철근(1)은 중앙과 상하부의 뼈대를 이루는 지그(2)가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되고, 상기 지그(2)를 중심으로 내부에 원통형의 공간을 갖도록 다수의 주철근(3)이 설치되며, 상기 주철근(3)의 일측 선단에 후크(4)를 구비한 연결부재(5)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주철근(3)의 외측에 주철근(3)을 따라 감겨지는 곡선 커플러(6)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원형 교각의 기둥 철근이 지상에서 선조립되어 크레인으로 일괄 거치되기 때문에 고공 철근조립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이 빨라지기 때문에 인건비 등과 같은 시공경비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 기둥 철근을 조립하기 때문에 철근조립의 철저한 확인작업이 가능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A column's reinforcing rod for a round pier}
본 고안은 교량의 원형 교각을 시공하기 위해 철근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 교각 형상의 철근을 곡선 커플러를 이용하여 미리 제작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은 교량의 거더나 트러스를 지지할 목적으로 교대 사이에 1개 또는 여러 개의 기둥형의 벽체로 지주를 만든 구조물로서, 교량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기초 지반에 전달하는 동시에 다른 외력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특히 하천에 축조하는 교각은 유수의 방해을 적게 받고, 선박 운항에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교각은 사용되는 재료에 의해 목조 교각, 벽돌쌓기 교각, 돌쌓기 교각, 콘크리트 교각, 철근콘크리트 교각 및, 강제 교각 등으로 분류되어 다양한 시공법에 의해 축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각 중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철근콘크리트 교각으로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교각은 다수의 철근으로 뼈대를 구축한 후,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라 원형 교각을 구축하기 위해 설치되는 철근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다수의 주철근(101)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주철근(101)과 주철근(101)을 철사(102)로 이어줌으로써 원통형의 철근 구조물(103)을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철근 구조물(103)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원형 교각(104)을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원형 교각(104) 시공시 철근 조립작업이 철근공의 기능에만 의존하여 개개의 철근을 높은 곳에서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고, 원형 교각(104)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에는 작업이 더욱 힘들어 질 뿐만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되며, 철근 조립작업의 과다로 공사기간이 늘어날 뿐만아니라 인건비에 의한 공사비도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형 교각 형상의 철근을 곡선 커플러를 이용하여 미리 제작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작업자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과 상하부의 뼈대를 이루는 지그가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되고, 상기 지그를 중심으로 내부에 원통형의 공간을 갖도록 다수의 주철근이 설치되며, 상기 주철근의 일측 선단에 후크를 구비한 연결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주철근의 외측에 주철근을 따라 감겨지는 곡선 커플러가 연결설치된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교각용 기둥 철근은 기초가 되는 지그와 주철근 및, 이를 연결하는 곡선 커플러가 설치되고, 상기 주철근의 일측에 후크를 구비한 연결부재가 설치됨으로써 크레인을 통해 원형 교각이 시공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원형 교각의 기둥 철근이 지상에서 선조립되어 크레인으로 일괄 거치되기 때문에 고공 철근조립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이 빨라지기 때문에 인건비 등과 같은 시공경비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 기둥 철근을 조립하기 때문에 철근조립의 철저한 확인작업이 가능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의 종래의 기술에 따라 원형 교각을 구축하기 위해 설치되는 철근 구조물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둥 철근 2 : 지그
3 : 주철근 4 : 후크
5 : 연결부재 6 : 곡선 커플러
7 : 크레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교량의 원형 교각을 이루는 기둥 철근(1)이 구축되되, 상기 기둥 철근(1)은 중앙과 상하부의 뼈대를 이루는 지그(2)가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되고, 상기 지그(2)를 중심으로 내부에 원통형의 공간을 갖도록 다수의 주철근(3)이 설치되며, 상기 주철근(3)의 일측 선단에 후크(4)를 구비한 연결부재(5)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주철근(3)의 외측에 주철근(3)을 따라 감겨지는 곡선 커플러(6)가 연결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기둥 철근(1)의 특징은 상기 주철근(3)과 곡선 커플러(6)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선조립하는 것에 있고, 또한 상기 연결부재(5)를 통해 크레인(7)으로 원형 교각의 설치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있는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교각용 기둥 철근(1)은 기초가 되는 지그(2)와 주철근(3) 및, 이를 연결하는 곡선 커플러(6)가 설치되고, 상기 주철근(3)의 일측에 후크(4)를 구비한 연결부재(5)가 설치됨으로써 크레인(7)을 통해 원형 교각이 시공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기둥 철근(1)의 조립과정은 우선 지상에서 기둥 철근(1)의 뼈대를 이루는 지그(2)를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에 의해 제작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지그(2)의 외측에 다수의 주철근(3)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됨으로써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주철근(3)이 이루는 원통형의 공간 외측에 주철근(3)을 견고히 잡아줄 수 있도록 된 곡선 커플러(6)가 나선형으로 연결설치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곡선 커플러(6)를 기계로 연결설치함으로써 상기 기둥 철근(1)의 이음부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기둥 철근(1)의 내구성 및 구조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형 교각의 기둥 철근(1)을 지상에서 철근이음 곡선 커플러(6)를 이용하여 조립제작한 후, 크레인(7)에 의하여 일괄처리함으로써 철근 작업공의 고공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작업성 향상에 따른 인건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에 의하면, 원형 교각의 기둥 철근이 지상에서 선조립되어 크레인으로 일괄 거치되기 때문에 고공 철근조립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이 빨라지기 때문에 인건비 등과 같은 시공경비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 기둥 철근을 조립하기 때문에 철근조립의 철저한 확인작업이 가능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앙과 상하부의 뼈대를 이루는 지그(2)가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되고, 상기 지그(2)를 중심으로 내부에 원통형의 공간을 갖도록 다수의 주철근(3)이 설치되며, 상기 주철근(3)의 일측 선단에 후크(4)를 구비한 연결부재(5)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주철근(3)의 외측에 주철근(3)을 따라 감겨지는 곡선 커플러(6)가 연결설치된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
KR2020000022381U 2000-08-05 2000-08-05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 KR200207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81U KR200207380Y1 (ko) 2000-08-05 2000-08-05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81U KR200207380Y1 (ko) 2000-08-05 2000-08-05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380Y1 true KR200207380Y1 (ko) 2000-12-15

Family

ID=1966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381U KR200207380Y1 (ko) 2000-08-05 2000-08-05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38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951A (ko) * 2002-10-08 2002-12-05 강윤기 철골로된 교각고빙에 철근조립 시공방법
KR20030025673A (ko) * 2001-09-22 2003-03-29 (주)신성엔지니어링 고강도 케이블을 이용한 교각의 내진 보강공법
KR100781675B1 (ko) * 2006-07-31 2007-12-03 송기용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철근
KR101062592B1 (ko) 2009-12-15 2011-09-07 이창남 철근 선조립기둥의 상호 이음방법
KR101195119B1 (ko) 2011-04-06 2012-10-29 삼성물산 주식회사 물량감축을 위한 중공교각의 철근 배근구조와 이를 적용한 중공교각의 시공방법
KR101600719B1 (ko) * 2014-12-15 2016-03-08 기언관 철근 선조립용 지그
KR102490532B1 (ko) * 2021-07-20 2023-01-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로봇 기반 교각 원격시공용 선조립 철근망 및 이를 이용한 로봇 기반 교각 원격시공방법
KR20230014507A (ko) 2021-07-21 2023-01-3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수평근 적재모듈,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구조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673A (ko) * 2001-09-22 2003-03-29 (주)신성엔지니어링 고강도 케이블을 이용한 교각의 내진 보강공법
KR20020090951A (ko) * 2002-10-08 2002-12-05 강윤기 철골로된 교각고빙에 철근조립 시공방법
KR100781675B1 (ko) * 2006-07-31 2007-12-03 송기용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철근
KR101062592B1 (ko) 2009-12-15 2011-09-07 이창남 철근 선조립기둥의 상호 이음방법
KR101195119B1 (ko) 2011-04-06 2012-10-29 삼성물산 주식회사 물량감축을 위한 중공교각의 철근 배근구조와 이를 적용한 중공교각의 시공방법
KR101600719B1 (ko) * 2014-12-15 2016-03-08 기언관 철근 선조립용 지그
KR102490532B1 (ko) * 2021-07-20 2023-01-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로봇 기반 교각 원격시공용 선조립 철근망 및 이를 이용한 로봇 기반 교각 원격시공방법
KR20230014507A (ko) 2021-07-21 2023-01-3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수평근 적재모듈,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482B1 (ko) 교량용 브라켓을 이용한 반단면데크 및 그 시공방법
CN109372129A (zh) 一种新型全装配式混凝土框架节点及其施工方法
CN112922231A (zh) 一种装配式混凝土梁柱节点及其施工方法
KR200207380Y1 (ko) 원형 교각용 기둥 철근
KR100911148B1 (ko) 교량의 경량화된 코핑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200407092Y1 (ko) 캔틸레버부의 피씨 패널 지지구조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406615Y1 (ko)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JP2924626B2 (ja) 自昇式型枠工法による橋脚施工方法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CN112922234A (zh) 一种等效型钢混凝土预制柱及其施工方法
JP4314712B2 (ja) 橋脚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CN217204610U (zh) 低多层免支撑装配式超高性能混凝土框架结构及建筑物
JP2005188102A (ja) 建物の構造および施工方法
KR20050088628A (ko) 파형 중공관을 이용한 중공 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0233599Y1 (ko) 교각의 철근 설치구조
KR100377868B1 (ko) 교각용 틀비계를 이용한 교각 시공 방법
CN211286279U (zh) 一种预制型钢混凝土柱
KR200395572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CN111764505A (zh) 混凝土预制梁与现浇柱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50444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CN110528686A (zh) 装配式建筑及其施工方法
KR19980022311A (ko) 건축물용 복합보 및 그를 이용한 수평구조체의 시공방법.
CN215888962U (zh) 一种薄底槽型预应力混凝土叠合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