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892Y1 - 백 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백 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892Y1
KR200206892Y1 KR2020000021456U KR20000021456U KR200206892Y1 KR 200206892 Y1 KR200206892 Y1 KR 200206892Y1 KR 2020000021456 U KR2020000021456 U KR 2020000021456U KR 20000021456 U KR20000021456 U KR 20000021456U KR 200206892 Y1 KR200206892 Y1 KR 200206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
light guide
guid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선
Original Assignee
황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선 filed Critical 황준선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4332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55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3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moving light sources, e.g. rotating luminous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04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5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electroluminescent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백 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램프를 직경이 16㎜이하의 열음극관을 사용하고, 반사판에 접하는 도광판의 표면에 다수의 홈이“∧”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홈과 홈의 종방향 간격은 램프로 부터 멀어질 수 록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고물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빛의 휘도와 균일도를 향상시키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반사판의 전방과 후방에 도광판을 형성하고, 반사판의 양측에는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빛의 휘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물의 정보를 양측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얇은 두께로 양면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백 라이트 장치{A DEVICE FOR BACK LIGHT}
본 고안은 백 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고물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빛의 휘도와 균일도를 향상시키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켜 광고물의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며, 광고화면을 대형화 및 양면화 할 수 있도록 한 백 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 라이트 장치는 화면 후방에 램프를 설치하여 직접 빛을 화면의 전방으로 투과하여 조명시켜주는 직하방식과, 화면의 측면에 램프를 설치하여 도광판을 통해 전방으로 투과 조명시켜주는 측면 조사방식이 있고, 상기 측면 조사방식은 빛의 균일도와 얇은두께로 화면을 대형화 할 수 있는등 사용용도가 다양하여 직하방식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측면 조사방식에 사용되는 광원은 냉음극관, 열음극관, 형광등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광고물은 사진, 그림, 필름, 아크릴 인쇄그림, 렌티큘라 등이다.
이러한 종래 백 라이트 장치는 도 1a 또는 도 1b와 같다.
도 1a은 종래 기술에서 직하방식을 이용한 백 라이트 장치의 단면도로써, 후면에 빛을 반사할 수 있게 설치된 반사판(A)과, 상기 반사판(A)에 대응되고 광고물(D)이 안착되는 확산판(B)과, 상기 반사판(A)과 확산판(B)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형광등(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광원인 형광등(C)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직접 확산판(B)에 수직으로 통과하여 광고물(D)을 투과하거나, 또는 형광등(C)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반사판(A)에 전달되고, 상기 반사판(A)에 전달된 빛은 다시 확산판(B)을 통해 광고물(D)의 정보를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해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형광등(C)과 광고물(D), 형광등(C)과 형광등(C)의 간격을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형광등(C)과 형광등(C)의 거리를 멀게 설치하거나 형광등(C)과 광고물(D)의 거리를 가깝게 설치하면 빛이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고, 빛을 균일하게 분포하기 위해서는 확산판(B)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는데, 그럴 경우 빛의 휘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형광등(C)과 형광등(C)간의 배열 간격에 따라 빛의 휘도와 균일도가 결정되는데, 상기 형광등(C)과 형광등(C)간의 배열간격을 멀게 설치하면 빛의 휘도가 저하되고, 형광등(C)과 형광등(C)간의 배열을 가깝게 설치하면 빛의 휘도가 향상되는 반면 형광등(C)의 수가 증가하여 소비 전력이 증가 되었고, 이로 인하여 유지비가 많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1b는 측면 조사방식을 이용한 백 라이트 장치의 단면도로써, 후면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0)과, 상기 반사판(10) 상부에 형성된 아크릴판의 도광판(20)과, 상기 도광판(20)의 상부에 형성되고 광고물(50)이 안착되는 확산판(30)과, 상기 도광판(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광원으로 사용되는 램프(40)와, 상기 램프(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램프반사판(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광원인 램프(40)에서 나온 빛은 상기 램프(40)를 둘러싸고 있는 램프반사판(42)에 반사되어 도광판(20)으로 입사되거나 직접 도광판(20)으로 빛이 입사되고, 상기 도광판(20)으로 입사된 빛은 일부는 직접 확산판(30)을 거쳐 광고물(50)에 전달되어 상기 광고물(5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주고, 일부 빛은 상기 반사판(10)으로 전달되고, 상기 반사판(10)으로 전달된 빛은 굴절된 다음 확산판(30)으로 전달되며, 상기 확산판(30)을 통해 확산된 빛은 상기 확산판(30)에 안착된 광고물(50), 예컨데 광고문구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광원인 램프(40)에서 방출된 빛이 도광판(20)과 확산판(30)을 거치거나, 도광판(20)에서 나온 빛이 반사판(10)에서 반사되어 다시 도광판(20)으로 반사되고 확산판(30)으로 전달되는 동안 도광판(20)과 확산판(30), 반사판(10)과 도광판(20) 사이의 간격 및 불규칙한 빛의 굴절과 반사각에 의해 빛 전달효율이 낮아지게 되어 광고물(50)의 선명도가 저하되었고,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고물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빛의 휘도와 균일도를 향상시키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켜 광고물의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며, 광고화면을 대형화 및 양면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광원으로 사용되고 그 둘레에는 램프반사판이 형성된 램프; 상기 램프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후방 표면에는 다수의 홈이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상기 홈과 홈의 종방향 간격은 상기 램프로 부터 멀어질 수 록 좁아지게 형성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후면과 타측면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광고물이 안착되는 확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타측면에도 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는 직경이 16㎜이하의 열음극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후방에 후면 도광판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 도광판의 전방에는 광고물이 안착되는 후면 확산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의 후방에 접하는 후면 도광판의 표면에 다수의 홈이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상기 홈과 홈의 종방향 간격은 상기 램프로 부터 멀어질 수 록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과 홈 사이에는 도트페인트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서 직하방식을 이용한 백 라이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서 측면 조사방식을 이용한 백 라이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빛의 전달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빛의 전달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a : 램프 101 : 램프반사판
110 : 도광판 110a : 후면 도광판
112,112a : 홈 120 : 반사판
130 : 확산판 130a : 후면 확산판
140 : 광고물 150 : 도트 페인트
155 : 컬러관 156 : 페인트
160 : 모터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빛의 전달경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본 고안 백 라이트 장치는 램프(100), 아크릴판의 도광판(110), 반사판(120), 확산판(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램프(100)는 광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둘레에는 빛이 유출되지 않도록 반원형의 램프반사판(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램프(100)는 직경이 16㎜이하의 열음극관을 사용하는데, 이는 백 라이트 장치의 두께를 약 36㎜이하로 얇게 하고, 전력 소모를 적게하면서 휘도를 높이며, 대형 화면화(약 1200∼3600㎜)를 위해서 이다.
상기 도광판(110)은 재질이 투명한 아크릴판으로 상기 램프(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 표면에 다수의 홈(112)이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112)과 홈(112)의 횡방향 간격은 일정하고 종방향 간격은 상기 램프(100)로부터 멀어질 수 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도광판(110)의 후면과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100)로 부터 발산된 빛을 반사해 준다.
상기 확산판(130)은 상기 도광판(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전면에는 광고문구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광고물(140)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백 라이트 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원인 램프(100)에서 발산된 빛이 직접 도광판(110)으로 입사되거나 램프반사판(101)에 반사되어 도광판(110)으로 입사되는데, 상기 도광판(110)으로 입사된 일부의 빛은 상기 램프(100)에서 가까운 홈(112)으로부터 먼 홈(112)으로 부딪힌 다음 확산판(130)으로 전달되고, 일부는 반사판(120)에 반사된 다음 확산판(130)으로 전달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램프(100)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램프(100)에서 가까운 홈(112)으로부터 제일 먼 쪽의 홈(112)에 부딪히게 되는데, 상기 홈(112)에 부딪힌 빛은 상기 홈(112)에서 수직방향 즉, 확산판(130)방향으로 굴절되어 전달되고, 상기 확산판(130)으로 전달된 빛은 다시 광고물(140)의 배면을 투과하여 광고물(140)의 정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켜주게 되며, 또한 상기 홈(112)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도광판(110)의 후면으로 굴절된 일부의 빛은 상기 반사판(120)에 부딪히게 되고, 상기 반사판(120)에 부딪힌 빛은 확산판(130)으로 수직되게 굴절되어 전달되며, 상기 확산판(130)으로 전달된 빛은 다시 광고물(140)의 배면을 투과하여 광고물(140)의 정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홈(112)과 반사판(120)에 전달되지 않은 일부의 빛 즉, 상기 램프(100)에서 횡방향으로 수평되게 전달된 빛은 상기 도광판(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반사판(121)에 부딪히게 되고, 상기 측면 반사판(121)에 부딪힌 빛은 다시 상기 램프(100)로 되돌아오거나 홈(112)의 반대편에 부딪힌 다음 굴절되어 확산판(130)으로 전달되고, 또한 상기 반사판(120)에 부딪힌 다음 굴절되어 확산판(130)으로 전달되어 광고물(14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켜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램프(100)에서 발산되는 빛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고물(140)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며,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켜 광고물(140)의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단면도로써, 이는 일측에 램프(100)가 설치된 도광판(110)의 타측에도 직경이 16㎜이하의 열음극관 램프(100a)가 설치된 구성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도광판(110)의 양측면에 직경이 16㎜이하의 열음극관 램프(100)(100a)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100)(100a)의 둘레에는 반원형의 램프반사판(101)(101a)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110)의 후방 표면에 다수의 홈(112)이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도광판(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112)과 홈(112)의 종방향 간격은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램프(100)(100a)에 가까울 수 록 홈(112)과 홈(112)의 종방향 간격은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상기 도광판(110)의 양측면에 설치된 광원인 램프(100)(100a)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도광판(110)에 입사되고, 상기 도광판(110)에 입사된 빛의 일부는 홈(112)에 부딪힌 다음 굴절되어 확산판(130)으로 전달되고, 또한 일부의 빛은 반사판(120)으로 부딪힌 다음 굴절되어 확산판(130)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110)의 양측면에 설치된 램프(100)(100a)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램프(100)(100a)에서 가까운 홈(112)에서부터 중앙부에 형성된 홈(112)으로 부딪힌 다음 굴절되어 확산판(130)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이는 휘도를 향상시키고, 이로 인하여 광고물(140)에 투과된 빛의 산란을 방지할 수 있어 광고물(140)의 정보를 선명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빛의 전달경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상기 광고물(140)을 양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은 반사판(120)의 전방에 전면 도광판(110)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 도광판(110)의 전방에는 광고물(140)이 안착되는 전면 확산판(130)이 설치되며, 상기 반사판(120)의 후방에는 후면 도광판(110a)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 도광판(110a)의 전방에는 광고물(140)이 안착되는 후면 확산판(130a)이 설치되며, 상기 전면 도광판(110)과 후면 도광판(110a)의 양측에는 둘레에 램프반사판(101)(101a)이 형성된 직경이 16㎜이하의 열음극관인 램프(100)(100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120)의 전방과 후방에 접하는 전면 도광판(110)과 후면 도광판(110a)의 표면에는 다수의 홈(112)(112a)이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홈(112)(112a)과 홈(112)(112a)의 종방향 간격은 상기 램프(100)(100a)로 부터 멀어질 수 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면 도광판(110)과 후면 도광판(110a)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112)(112a)과 홈(112)(112a)의 종방향 간격은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램프(100)(100a)에 가까울 수 록 홈(112)(112a)과 홈(112)(112a)의 종방향 간격은 넓게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상기 반사판(120)의 양측에 설치된 광원인 램프(100)(100a)에서 발산된 빛이 직접 전면 도광판(110)과 후면 도광판(110a)으로 입사되거나 램프반사판(101)(101a)에 반사되어 전면 도광판(110)과 후면 도광판(110a)으로 입사되는데, 상기 전면 도광판(110)으로 입사된 일부의 빛은 상기 램프(100)(100a)에서 가까운 홈(112)으로부터 중앙부에 형성된 홈(112)으로 부딪힌 다음 전면 확산판(130)으로 전달되고, 일부는 반사판(120)의 전방에 반사된 다음 전면 확산판(130)으로 전달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램프(100)(100a)에서 발산되어 상기 램프(100)(100a)에서 가까운 홈(112)으로부터 제일 먼 쪽 즉, 중앙부의 홈(112)에 부딪히게 되는데, 상기 홈(112)에 부딪힌 빛은 상기 홈(112)에서 수직방향 즉, 전면 확산판(130)방향으로 굴절되어 전달되고, 상기 전면 확산판(130)으로 전달된 빛은 다시 광고물(140)의 배면을 투과하여 광고물(140)의 정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켜주게 되고, 또한 상기 홈(112)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전면 도광판(110)의 후면으로 굴절된 일부의 빛은 상기 반사판(120)의 전방에 부딪히게 되고, 상기 반사판(120)의 전방에 부딪힌 빛은 전면 확산판(130)으로 수직되게 굴절되어 전달되며, 상기 전면 확산판(130)으로 전달된 빛은 다시 광고물(140)의 배면을 투과하여 광고물(140)의 정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면 도광판(110a)으로 입사된 일부의 빛은 상기 램프(100)(100a)에서 가까운 홈(112a)으로부터 중앙부에 형성된 홈(112a)으로 부딪힌 다음 후면 확산판(130a)으로 전달되고, 일부는 반사판(120)의 후방에 반사된 다음 후면 확산판(130a)으로 전달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램프(100)(100a)에서 발산되어 상기 램프(100)(100a)에서 가까운 홈(112a)으로부터 제일 먼 쪽 즉, 중앙부의 홈(112a)에 부딪히게 되는데, 상기 홈(112a)에 부딪힌 빛은 상기 홈(112a)에서 수직방향 즉, 후면 확산판(130a)방향으로 굴절되어 전달되고, 상기 후면 확산판(130a)으로 전달된 빛은 다시 광고물(140)의 배면을 투과하여 광고물(140)의 정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켜주게 되고, 또한 상기 홈(112a)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후면 도광판(110a)의 후면으로 굴절된 일부의 빛은 상기 반사판(120)의 후방에 부딪히게 되고, 상기 반사판(120)의 후방에 부딪힌 빛은 후면 확산판(130a)으로 수직되게 굴절되어 전달되며, 상기 후면 확산판(130a)으로 전달된 빛은 다시 광고물(140)의 배면을 투과하여 광고물(140)의 정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켜주게 되는 것으로, 광고물(140)을 전면과 후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광고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10)에 형성된 홈(112)과 홈(112) 사이에 적절한 크기에 반사력이 뛰어난 도트페인트(150)가 도포된 것으로, 이는 램프(100)에서 발산된 빛의 일부가 홈(112)에 부딪히지 않고, 상기 도광판(110)의 후면으로 굴절될 때 빛의 휘도가 낮아지는 것을 보상해주는 것으로, 보다 빛의 휘도와 균일도를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단면도로써,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100)와 램프반사판(101) 사이에 외주면에 다색의 페인트(156)가 도포된 환형의 컬러관(155)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컬러관(155)의 일측에는 상기 컬러관(155)을 회전시킬 수 있게 모터(160)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모터(160)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160)에 의해 컬러관(155)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컬러관(155)이 회전하면서 도광판(110)과 램프(100)사이에 위치하는 페이트(156)의 색이 도광판(110)에 전달되며, 상기 도광판(110)에 전달된 색은 다시 반사판(120)이나 확산판(130)을 통해 광고물(140)에 투과되면서 광고물(14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것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느끼게 하여 보다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장치의 단면도로써, 이는 램프(100)(100a)를 도광판(110)의 후면에 설치한 것으로, 백 라이트 장치의 측면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백 라이트 장치에 따르면 램프를 직경이 16㎜이하의 열음극관을 사용하고, 반사판에 접하는 도광판의 표면에 다수의 홈이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홈과 홈의 종방향 간격은 램프로 부터 멀어질 수 록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광고물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빛의 휘도와 균일도를 향상시키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반사판의 전방과 후방에 도광판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반사판의 양측에는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빛의 휘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물의 정보를 양측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얇은 두께로 양면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본 고안은 백 라이트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 조명 또는 선 조명 및 면 조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광원으로 사용되고 그 둘레에는 램프반사판(101)이 형성된 램프(100);
    상기 램프(100)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후방 표면에는 다수의 홈(112)이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상기 홈(112)과 홈(112)의 종방향 간격은 상기 램프(100)로 부터 멀어질 수 록 좁아지게 형성된 도광판(110);
    상기 도광판(110)의 후면과 타측면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20)(121); 및
    상기 도광판(110)의 전면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광고물(140)이 안착되는 확산판(13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110)의 타측면에도 램프(100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100)(100a)는 직경이 16㎜이하의 열음극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20)의 후방에 후면 도광판(110a)이 설치되고, 상기 후면 도광판(110a)의 전방에는 광고물(140)이 안착되는 후면 확산판(130a)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120)의 후방에 접하는 후면 도광판(110a)의 표면에 다수의 홈(112a)이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며, 상기 홈(112a)과 홈(112a)의 종방향 간격은 상기 램프(100)(100a)로 부터 멀어질 수 록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112)과 홈(112) 사이에는 도트페인트(150)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100)와 램프반사판(101) 사이에는 외주연에 다색의 페인트(156)가 도포된 환형의 컬러관(155)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컬러관(155)의 일측에는 상기 컬러관(155)을 회전시킬 수 있게 모터(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장치.
KR2020000021456U 2000-07-27 2000-07-27 백 라이트 장치 KR2002068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327A KR100355305B1 (ko) 1999-08-31 2000-07-27 백 라이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327A Division KR100355305B1 (ko) 1999-08-31 2000-07-27 백 라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892Y1 true KR200206892Y1 (ko) 2000-12-15

Family

ID=196802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457U KR200206893Y1 (ko) 2000-07-27 2000-07-27 백 라이트 장치
KR2020000021456U KR200206892Y1 (ko) 2000-07-27 2000-07-27 백 라이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457U KR200206893Y1 (ko) 2000-07-27 2000-07-27 백 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68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64B1 (ko) * 2002-02-08 2004-06-23 태산엘시디 주식회사 복합가변패턴이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
KR100983923B1 (ko) 2008-04-22 2010-09-28 버스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893Y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9296B (en)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40228109A1 (en) Light guide module having uniform light diffus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70147089A1 (en) Backlight module and lcd having same
JP4165579B2 (ja) 光源装置、表示装置
EP0411065A1 (en) Illuminating system
CN212341647U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0206892Y1 (ko) 백 라이트 장치
KR100355305B1 (ko) 백 라이트 장치
KR20070017839A (ko)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의 반사판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
KR20180103774A (ko) 조명 간판
JP4426260B2 (ja) 照明ユニット
KR20150034933A (ko) 바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9980023174A (ko) 광 균일성을 위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구조
JPH08220344A (ja) 平面光源及び非発光型表示装置
KR200173691Y1 (ko) 백 라이트 장치
JP4031735B2 (ja) 発光表示装置
JP5202227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KR20070006364A (ko) 액정 표시 소자의 백라이트 장치 및 광원
KR19980082474A (ko) 광고 표시판
US11164488B2 (en) Information display board with improved performance by light-extending light source having reflective panel above light-emitting diode
CN210051921U (zh) 一种无边框的侧入式背光模组
KR20040060541A (ko) 액정표시장치용 백 라이트
KR20030056529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70006359A (ko) 액정 표시 소자의 백라이트 장치 및 광원
KR20060118111A (ko) 액정 표시 소자의 백라이트 장치 및 홀로그램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