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426Y1 - 침구 커버 - Google Patents
침구 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6426Y1 KR200206426Y1 KR2020000018230U KR20000018230U KR200206426Y1 KR 200206426 Y1 KR200206426 Y1 KR 200206426Y1 KR 2020000018230 U KR2020000018230 U KR 2020000018230U KR 20000018230 U KR20000018230 U KR 20000018230U KR 200206426 Y1 KR200206426 Y1 KR 20020642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ding
- cover
- pillow
- mat
- sew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침대커버에 관한 것으로,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간단하게 씌우거나 벗겨낼 수 있도록 재봉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장식프릴이 없이 단순하고 침구(매트 베개)의 상단과 측면에만 감싸지도록 재봉된 침구 커버는 깔끔하고 깨끗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어 위생적인 관리를 요구하는 곳에서 많이 선호하고 있으나, 침구의 형상과 규격에 따라 재단, 봉재되어 침구의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되어 있고, 침구에 씌우거나 벗기기가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커버 천의 가장자리부에만 신축성 있는 주름부를 형성시켜 상하좌우의 구분이 없도록 함으로서, 어떠한 형태와 규격의 침구(매트 또는 베개)에도 적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용도
침구(매트 또는 베개)
Description
본 고안은 침대용 매트 또는 베개에 씌우는 침구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좌우 구분이 없도록 만들어져 모든 침구(매트 또는 베개)에의 사용이 가능토록 되면서 씌움과 벗김이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콘도, 호텔 등과 같이 이용자가 거의 매일 교체되어지는 곳에서는 침구(매트 또는 베개) 커버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특히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병원에서는 적어도 하루에도 몇 회 이상의 침구(매트 또는 베개) 커버를 교체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곳에서는 주로 장식프릴이 없이 단순하고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상단과 측면에만 감싸지도록 재봉되어 깔끔하고 깨끗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는 침구(매트 또는 베개) 커버를 선호하고 있으나,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규격에 따라 상면과 측면을 갖는 직상형으로 재봉되어 적합한 커버를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되어 있고, 침구(매트 또는 베개)에 씌우거나 벗기기가 용이치 않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상단에서부터 측면까지 씌울 수 있는 크기로 재단된 커버 천의 가장자리부에 탄성띠를 덧대어 봉재토록 하여 가장자리의 신축범위를 크게 함으로서, 상하좌우 구분 없이 다양한 형태와 규격의 침구(매트 또는 베개)에의 사용이 가능하면서 용이하게 씌울 수 있고 벗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침구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침구 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종래 침구(매트 또는 베개) 커버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커버 천 2: 탄성띠
3: 주름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고,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명칭 및 부호가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침구(매트 또는 베개) 커버는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상단에서부터 측면까지 씌울 수 있는 크기로 재단된 커버 천(1)의 가장자리부 4군데에 탄성띠(2)를 덧대여 봉재토록 함으로서 가장자리에 신축성 있는 주름부(3)를 형성시켜 상하좌우 구분 없이 만든 것이다.
이때 상기한 주름부(3)는 침구(매트 또는 베개) 커버가 씌워졌을 때 주로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모서리부에 걸쳐지는 것으로, 주름부(3)가 많을수록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사용범위를 더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침구(매트 또는 베개) 커버는 상하좌우 구분이 없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커버의 한쪽 주름부(3)를 기준으로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일 측 모서리부에 걸친 후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상단부가 감싸지도록 펼쳐서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다른 모서리부에 커버의 나머지 주름부를 끼우면 주름부의 신축성으로 거의 모든 침구(매트 또는 베개)(매트 또는 베개)의 형태와 규격으로 조절되어 씌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침구(매트 또는 베개) 커버에 씌워진 커버는 한쪽의 주름부만 빼어도 나머지 주름부의 복원력으로 커버가 오므려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벗겨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침구(매트 또는 베개)의 일정한 형태에 따라 재봉된 것이 아니고 가장자리에만 신축력이 있도록 되어 상하좌우 구분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형태의 침구(매트 또는 베개)에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규격에 따른 침구의 사용범위가 넓고, 침구에 씌우거나 벗겨내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 커버 천(1)의 펼친상태에서 모서리에만 탄성띠(2)를 덧대어 봉재토록 함으로서 모서리에만 신축성 있는 주름부(3)를 형성시켜 상하좌우 구분 없이 만들어진 침대 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8230U KR200206426Y1 (ko) | 2000-06-27 | 2000-06-27 | 침구 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8230U KR200206426Y1 (ko) | 2000-06-27 | 2000-06-27 | 침구 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6426Y1 true KR200206426Y1 (ko) | 2000-12-01 |
Family
ID=1966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8230U KR200206426Y1 (ko) | 2000-06-27 | 2000-06-27 | 침구 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6426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8752B1 (ko) * | 2020-05-29 | 2021-10-28 |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 착석 환경에서의 비침습 생체신호 검출 및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의자 |
KR102322137B1 (ko) * | 2021-04-07 | 2021-11-03 | 염선자 | 주름 방지용 매트리스 커버 |
KR102556326B1 (ko) * | 2023-01-04 | 2023-07-14 | 김영래 | 유아용 뒤집기 방지 쿠션 |
-
2000
- 2000-06-27 KR KR2020000018230U patent/KR20020642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8752B1 (ko) * | 2020-05-29 | 2021-10-28 |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 착석 환경에서의 비침습 생체신호 검출 및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의자 |
KR102322137B1 (ko) * | 2021-04-07 | 2021-11-03 | 염선자 | 주름 방지용 매트리스 커버 |
KR102556326B1 (ko) * | 2023-01-04 | 2023-07-14 | 김영래 | 유아용 뒤집기 방지 쿠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62546A (en) | Mattress pad with stretch-wall construction | |
US5321862A (en) | Bed making method and bedclothes to accomodate same | |
US5809593A (en) | Mattress cover with wide elastic strip | |
US10624475B2 (en) | Bedding sheet system | |
US4723331A (en) | Fitted sheet with tapered bottom width panels | |
KR200206426Y1 (ko) | 침구 커버 | |
US2810921A (en) | Combined sheet and blanket unit | |
USD450970S1 (en) | Lounge chair tanning towel | |
US6156410A (en) | Hooded towel covering | |
WO1997040726A1 (en) | Bedclothes | |
US3286284A (en) | Mattress protector assembly | |
US20080045114A1 (en) | Linen cover extension device and method of use | |
JP3227972U (ja) | マスク包装紙 | |
CN215650326U (zh) | 口袋被单 | |
CA2351209A1 (en) | Modular household fabric product with a cover mounted removably on a side surface of a bag | |
USD509089S1 (en) | Window treatment panel | |
CN202664981U (zh) | 防滑动复式床单 | |
KR200195308Y1 (ko) | 쇼파커버 | |
JP3155577U (ja) | 寝具類カバー | |
CN210961306U (zh) | 枕套 | |
KR200318346Y1 (ko) | 베갯잇 | |
JP2505555Y2 (ja) | 寝具用布団の衿カバ― | |
JP3011442U (ja) | 美粧用タオル | |
CN2265129Y (zh) | 一次性使用的卫生席 | |
CN2175220Y (zh) | 床单式褥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