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393Y1 - Apparatus for safety of escalator passeng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afety of escalator passe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393Y1
KR200206393Y1 KR2020000009314U KR20000009314U KR200206393Y1 KR 200206393 Y1 KR200206393 Y1 KR 200206393Y1 KR 2020000009314 U KR2020000009314 U KR 2020000009314U KR 20000009314 U KR20000009314 U KR 20000009314U KR 200206393 Y1 KR200206393 Y1 KR 200206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safety device
safety
intersec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3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기
김재경
Original Assignee
김성기
김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기, 김재경 filed Critical 김성기
Priority to KR2020000009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3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393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행중인 에스컬레이터에서 고개를 난간 밖으로 내밀거나 승객이 소지한 물건이 에스컬레이터 난간 밖으로 노출되었을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층과 층사이에 형성되는 에스컬레이터 교차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safety device, which can occur at escalator intersections formed between floors of escalators, especially when the escalator is in motion while the head is pushed out of the railings or when a passenger's belongings are exposed outside the escalator rail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of an occupant in advance.

이를 위하여 에스컬레이터 교차부에서 멀어질 수록 에스컬레이터 난간에서 멀어지고, 에스컬레이터 교차부에 가까워질 수록 에스컬레이터 난간과 가까워지는 경사면의 구조를 가진 안전장치를 에스컬레이터 교차부에 설치함으로서 에스컬레이터 난간 밖으로 노출된 승객의 머리나 물건은 에스컬레이터의 진행에 따라 안전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난간 안쪽으로 밀려들어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safety device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is closer to the escalator rail as the distance from the escalator cross-section is closer to the escalator rail is closer to the escalator rail. As the escalator progresses, the object can be pushed into the escalator rail by the slope of the safety device to escape the danger.

따라서 에스컬레이터 교차부에 설치된 안전장치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에 승차한 승객 및 물건이 에스컬레이터 교차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에스컬레이터 이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두 개의 에스컬레이터 사이를 충분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었으나, 상기 안전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기 위하여 충분한 거리를 둘 필요가 없어, 에스컬레이터 설치를 위한 공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Therefore, the safety device installed at the escalator intersection prevents the risk that passengers and objects boarding the escalator may occur at the escalator intersection.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scalator is installed at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two escalators for the safety of the user, but by installing the safety device does not need to provide a sufficient distance to install the escalator, reducing the waste of space for installing the escalator Can be.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승객 안전장치 {APPARATUS FOR SAFETY OF ESCALATOR PASSENGER}Escalator Passenger Safety Device {APPARATUS FOR SAFETY OF ESCALATOR PASSENGER}

본 고안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층과 층사이를 교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교차부에서 에스컬레이터가 진행함에 따라 승객의 머리 등 신체의 일부분이 끼거나 소지한 물건이 끼게 되는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교차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calator installed in a building, and in particular, a safety accident in which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passenger's head or other objects are caught as the escalator proceeds at the intersection of the escalator crossing between the floors of the building. It is about the cross-safety device of the escalator which can prevent the problem in advan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공공건물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는 층과 층사이를 교차하여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건물의 공간활용이 매우 좋기 때문이다.In general, escalators installed in department stores or public buildings, as shown in Figure 1 is most often installed to cross between floors. This is becau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building is very good.

그러나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의 설치구조에 의하여 상층의 에스컬레이터와 하층의 에스컬레이터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가 형성되게 되어 에스컬레이터 탑승객을 다치게 하거나 소지품이 손상될 위험성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한 안전 대책으로 교차부 부근에 삼각형상의 안전장치(10)를 설치하는 정도이다. 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에 승차한 승객이 고개를 밖으로 내밀게 되면 교차부에 이르러 안전장치(10)에 부딪히게 되고, 승객은 이를 감지하여 고개를 난간 안쪽으로 이동 시켜 안전 사고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이에 대처하는 속도가 느려 그대로 사고의 위험에 노출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설치된 삼각 안전장치는 교차부와 매우 가깝게 설치되어 오히려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스컬레이터 교차부에 에어커튼을 사용하는 방법(출원번호 10-1997-0068933)이 있으나 이 방법은 승객을 놀라게 할 여지가 있고, 또 다른 방법은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 노출된 물건을 인식하고 경고음을 발생 시켜 경고를 하고, 이후에 위험 요소가 해제되지 아니하면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장치등이 있으나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에스컬레이터가 갑자기 정지하면 승객들에게 위험 상황을 유발 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escalator, the intersection where the upper escalator and the lower escalator cross each other is formed, which may injure the escalator occupant or damage the belongings. As a safety measure against this, a triangular safety device 10 is installed near the intersection. Accordingly, when the passenger who boarded the escalator pushes his head out, he reaches an intersection and hits the safety device 10, and the passenger senses this and moves his head inside the railing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However, children and the elderly are slow to cope with it and are exposed to the risk of accidents. In addition, the installed triangular safety device is installed very close to the intersection has a problem that causes a safety accident.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using an air curtain at the intersection of the escalator (Application No. 10-1997-0068933) in order to prevent this risk, but this method may surprise passengers, another method is to use a camera or the like There is a device that stops the escalator if it recognizes the exposed object and raises a warning sound, and if the danger is not released afterwards, but it costs a lot of installation cost. It can be done, and even more dangerous by the children's mischief.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에스컬레이터의 교차부에 상기 안전장치(20)를 설치함으로서 에스컬레이터 난간 밖으로 노출된 물건은 안전장치에 의해 밀려 교차부에서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교차부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exposed outside the escalator rail by installing the safety device 20 at the intersection of the escalator is pushed by the safety device to prevent accidents at the intersec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rsecting safety device for escalators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건물의 층과 층사이에 교차부가 형성되는 에스컬레이터에 있어서, 교차부에서 거리가 먼 곳은 에스컬레이터 난간에서 거리가 멀고, 교차부 가까운 곳은 에스컬레이터 난간과 가까워지는 완만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는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에스컬레이터에 승차한 승객이 고개를 내밀거나, 소지한 물건이 난간 밖으로 노출되어 운송될 때, 상기 안전장치에 의해 안전한 지대인 에스컬레이터 난간 안쪽으로 밀려들게 되어 위험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scalator in which an intersection is formed between floors and floors of a building, where a distance from an intersection is far from an escalator railing, and an area near an intersection is closer to an escalator railing. When a passenger who rides on the escalator reaches his head or the belongings are transported out of the railing by transporting the safety device with a slanted slope of a gentle angle, the safety device is pushed into the escalator rail, which is a safe zone. It can be released from the risk,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risk of passengers using the escalator in advance.

제1도는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장치를 설치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device of a typical escalator installed.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3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4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5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설치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 도면.Figure 7 is an auxiliary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주요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the major symbols

10: 삼각안전장치10: tripod safety device

12: 에스컬레이터 계단12: escalator stairs

13: 에스컬레이터 안전 손잡이13: escalator safety handle

14: 상층 에스컬레이터 벽면14: upper escalator wall

20: 안전장치20: safety device

21,23,24: 안전장치 고정 구멍21,23,24: Safety lock holes

60: 안전장치60: safety device

61: 에스컬레이터 안전 손잡이61: escalator safety handle

62: 에스컬레이터 계단62: escalator stairs

63: 안전장치 고정핀63: safety lock pin

70: 안전장치 경사면70: slope of safety device

71: 에스컬레이터 계단71: escalator stairs

72: 에스컬레이터 밖의 물건72: stuff outside the escalator

77: 에스컬레이터77: escalator

78: 에스컬레이터 진행 방향78: escalator direction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교차부에 설치된 삼각형의 안전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이고, 도 6은 에스컬레이터의 교차부에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를 설치한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iangular safety device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a typical escalator,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the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intersection of the escalator.

도 3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정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Figure 5 is a front view.

도 2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 난간 밖으로 노출된 물체가 에스컬레이터의 진행방향으로 평행 이동함에 따라 에스컬레이터 난간 안쪽으로 밀려들게 하는 경사면(20)과 상층 에스컬레이터 벽면에 고정 시키기 위한 고정구멍(21), 하층 에스컬레이터 벽면에 고정 시키기 위한 고정구멍(24), 에스컬레이터 교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멍(23) 및 교차부 고정판(22)으로 구성 되어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20) and the fixing hole (21) for fixing to the upper escalator wall as the object exposed outside the escalator rail is pushed into the escalator rail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scalator in parallel move. It consists of a fixing hole 24 for fixing, a fixing hole 23 for fixing to the escalator intersection portion and the intersection fixing plate 22.

이하에서 본 고안의 동작 원리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를 설치한 에스컬레이터의 상부에서 본 모양이다. 에스컬레이터(77)에서 물체(72)가 난간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가 진행(78) 할 경우 이 물체도 마찬가지로 에스컬레이터 난간 밖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진행방향과 평행(79)으로 진행 하다가 결국 안전장치의 경사면(70)에 닿게(73) 된다.7 is a view seen from the top of the escalator is installed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scalator proceeds 78 while the object 72 protrudes out of the railing on the escalator 77, the object also proceed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escalator outside the escalator railing, and then inclined surface 70 of the safety device. (73).

경사면과 밀착되어 에스컬레이터 진행방향과(78) 같이 운동을 하게 되면 에스컬레이터 밖으로 노출된 물체(72)는 안전장치의 경사면(70)을 따라 운동하게 되고, 에스컬레이터 난간 안쪽으로 밀리는 힘(74)을 받게 된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교차부에 도착하였을 때 에스컬레이터의 안쪽으로 완전히 밀려들어(76) 에스컬레이터의 교차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해방된다. 결국 안전장치의 경사면은 에스컬레이터 난간 밖에서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는 물체를 에스컬레이터의 난간 안쪽 방향으로 물체의 운동 방향을 전환 시키게 된다.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escalator 78, the object 72 exposed out of the escalator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70 of the safety device and receives a force 74 that is pushed into the escalator railing. . Thus, when it arrives at the intersection of the escalator, it is completely pushed into the interior of the escalator (76) to free it from the danger that may occur at the intersection of the escalator. Eventuall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afety device converts an object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scalator outside the escalator rail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bject toward the inside of the escalator railing.

상기 고안된 에스컬레이터 안전장치는 상층 에스컬레이터와 하층 에스컬레이터 사이의 교차부에 설치하거나, 계단의 교차부와 같은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The designed escalator safety device may be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upper escalator and the lower escalator, or may be installed at the same place as the intersection of the stairs.

한편 상기 안전장치는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어 시야를 가리지 않고도 충분한 안전 효과를 누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afety device can use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crylic can enjoy a sufficient safety effect without covering the field of view.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의 승차시 고개를 밖으로 내밀 경우 에스컬레이터가 진행함에 따라 안전장치의 경사면에 의해 승객의 머리가 에스컬레이터 안쪽으로 밀려들어 교차부에서 승객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에스컬레이터의 교차부를 없애기 위해 인접한 에스컬레이터와 많은 거리를 두고 설치되었으나, 상기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에스컬레이터는 이러한 공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어 건물의 공간활용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assenger's safety accident at the intersection by pushing the passenger's head to the inside of the escalator b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afety device when the escalator is pushed out when the escalator is taken out. Will b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scalator has been installed at a large distance from the adjacent escalator to eliminate the intersection of the escalator, the escalator to install the safety device does not have to dedicate such a space can help a lot in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building.

Claims (1)

에스컬레이터 교차부 안전장치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 난간 밖으로 노출된 물체가 에스컬레이터가 진행함에 따라 에스컬레이터 난간 안쪽으로 밀려들게 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가 특징인 에스컬레이터 교차부 안전장치Escalator crossing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at allows the object exposed outside the escalator rail to be pushed into the escalator rail as the escalator proceeds.
KR2020000009314U 2000-04-01 2000-04-01 Apparatus for safety of escalator passenger KR2002063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14U KR200206393Y1 (en) 2000-04-01 2000-04-01 Apparatus for safety of escalator passe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14U KR200206393Y1 (en) 2000-04-01 2000-04-01 Apparatus for safety of escalator passe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393Y1 true KR200206393Y1 (en) 2000-12-01

Family

ID=1964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314U KR200206393Y1 (en) 2000-04-01 2000-04-01 Apparatus for safety of escalator passe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39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155B1 (en) Escalator and skirt end structure
KR200206393Y1 (en) Apparatus for safety of escalator passenger
JP2555108B2 (en) Passenger conveyor safety equipment
JP4567951B2 (en) Moving walkway
JPH0245271Y2 (en)
JP3961798B2 (en) Moving walkway
JPH02204295A (en) Safety device for escalator
KR960002499Y1 (en) Safety device for opening slabs
JPS6111184Y2 (en)
JPH0593411A (en) Walking guidance device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KR200243923Y1 (en) Cart guidance apparatus of moving walk
JPH0313509Y2 (en)
KR19990027980A (en) Child protection device of moving sidewalk
JPS583814Y2 (en) Man conveyor railing
JPH1036053A (en) Safety facility of passenger conveyor
JP3595717B2 (en) Passage equipment
KR20050113399A (en) Jam prevention apparatus of escalator
JP2009190895A (en) Protecting facility for passenger conveyor
JPH09301665A (en) Safety device for passenger conveyer
JP5101663B2 (en) Moving walkway
JP5027048B2 (en) Escalator
JP2004217416A (en) Safety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JPS63212690A (en) Safety device for escalator or moving walk
KR20020012350A (en) A safety structure of escalator steps
JPH1087256A (en) Safety equipment for passenger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