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83Y1 -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한 방향 램프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한 방향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83Y1
KR200206283Y1 KR2020000018939U KR20000018939U KR200206283Y1 KR 200206283 Y1 KR200206283 Y1 KR 200206283Y1 KR 2020000018939 U KR2020000018939 U KR 2020000018939U KR 20000018939 U KR20000018939 U KR 20000018939U KR 200206283 Y1 KR200206283 Y1 KR 200206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amp
fragrance
blow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동식
Original Assignee
대륙 P.T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륙 P.T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륙 P.T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8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은은한 조명과 함께 상쾌한 향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는 방향 램프가 개시된다. 상기 램프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기, 송풍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발광부, 그리고 방향제를 수용하기 위한 방향제 저장부를 구비한다. 방향제 저장부를 통하여 전구로부터 방사되는 은은한 조명과 함께 상쾌한 향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고, 송풍기를 통하여 방향제 저장부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를 멀리까지 단시간 내에 퍼지게 할 수 있으므로 방향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램프의 본체에 충격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므로 모터 및 조명의 온/오프 및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램프는 본체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원목으로 우아하게 디자인되어 있는 소뿔 형태의 기둥이어서 그 자체로도 미려한 실내 장식용 복합 가구이며, 돌출부의 단부에 천을 연결하고 모터와 팬에 의해 바람을 공급하면 천을 낙하산 형태로 펼칠 수 있으므로 보는 이에게 생동감과 상쾌함이 주어져 램프의 시각적인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한 방향 램프{AROMATIC LAMP WITH AIR CLEANING FILTER}
본 고안은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 방향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제 저장부 및 송풍기를 구비함으로써 은은한 조명과 함께 상쾌한 향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는 방향 램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아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식용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식용 램프는 통상 램프 둘레에 반투명한 갓을 설치함으로써 전구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여 은은한 조명을 제공하거나 불투명한 갓을 설치하여 조명광의 방향을 조절하고 있다. 또한, 갓에 무늬 또는 색상 등을 추가함으로써 옅은 음영이 있는 그림자에 의한 효과를 야기하거나 유색 조명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갓이나 램프 받침대 자체의 외양을 미적으로 꾸밈으로써, 램프 자체가 갖는 미적 효과와 램프를 켰을 때의 부분적인 조도 차이에 의한 음영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장식용 램프가 공지된 문헌으로는 '무드 램프 겸 조화 장식물'이라는 명칭의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00-9105호를 들 수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에 제시된 램프는 조화와 같은 장식물에 의해 자체의 외관이 미려해 질뿐만 아니라 전구가 채색된 조화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방사되는 빛이 은은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전술한 문헌에서는 단지 시각적인 효과만이 기재되어 있고 그 외의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방향제 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은은한 조명과 함께 상쾌한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송풍기를 구비함으로써 발산되는 향기가 멀리까지 퍼질 수 있는 방향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기 및 램프의 상부에 천의 가장자리를 연결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천을 송풍기에 의해 낙하산 형태로 펼침으로써 더욱 미려한 외양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생동감에 의해 보는 이에게 상쾌한 기분을 줄 수 있는 방향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해지는 충격이나 낮은 임피던스의 전기적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송풍기의 동작 및 램프의 조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향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에 공기 청정용 필터를 부착하여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보다 상쾌하게 하는 방향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램프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램프에 천을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램프에 필터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 2 : 본체
4 : 돌출부 5 : 터치 센서
6 : 모터 7 : 팬
9 : 전구 13 : 방향제 저장부
21 : 천 30 : 필터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발광부 및 방향제를 수용하기 위한 방향제 저장부를 포함하는 방향 램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내부에 송풍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 및 상기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센서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본체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 및 상기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센서는 임피던스의 전기적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판금,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에는 상기 방향제 저장부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들의 단부에는 각기 구멍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멍들에 실을 연결하여 낙하산 형태의 천을 상기 램프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램프는 방향제 저장부를 구비하여 전구로부터 방사되는 은은한 조명과 함께 상쾌한 향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송풍기를 통하여 방향제 저장부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를 멀리까지 단시간 내에 퍼지게 할 수 있으므로 방향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램프의 본체에 충격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므로 모터 및 전구의 온/오프(ON/OFF) 및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방향 램프의 본체로부터 연장된 돌출부에 천을 연결하고 모터와 팬에 의해 바람을 공급하면 천을 낙하산 형태로 펼칠 수 있으므로 램프의 시각적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램프는 본체 내부에 부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송풍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켜 보다 상쾌한 실내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는 본체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판금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체 하측에서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필터는 본체가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체의 기부 상에 평탄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 램프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 램프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램프(1)는 기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본체(2)를 구비한다. 이러한 원통형 본체(2)는 다수의 구멍이 뚫린 판금으로 제작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후술되는 전구(9)에 의해 방사되는 빛을 부분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실내에 은은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2)는 그 외주면 및 하단에 형성된 4개의 다리(3)에 의해 지지되며, 이들 다리(3)는 본체(2)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4개의 후크형 돌출부(4)와 연결된다. 이 돌출부(4)는 소뿔 형태의 기둥으로 원목으로 제조되며, 본체(2)의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4개의 돌출부(4)의 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작은 구멍(19)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멍(19)에 대해서는 추후 도 3과 연계하여 후술한다.
터치 센서(5)는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본체(2)에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을 감지하여 송풍기와 전구(9)의 동작을 제어한다.
터치 센서(5)의 위쪽에는 모터(6)와 팬(7)을 구비하는 송풍기가 설치된다. 팬(7)의 위쪽에는 둘레에 갓(10)이 설치된 전구(9)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전구(9)는 프레임(8)에 의해 지지된다. 프레임(8)은 모터(6)의 상측에 고정되어 팬(7)을 접촉하도록 둘러싼다. 프레임(8)은 본체(2)의 내벽과 맞물림으로써 모터(6), 팬(7) 및 전구(9)를 본체(2) 내부의 공간에 고정시킨다.
상기 터치 센서(5), 모터(6) 및 전구(9)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6)와 전구(9)는 터치 센서(5)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ON/OFF) 작동되거나 그 정도가 조절된다. 예컨대, 본체(2)를 한번 건드리면 전구(9)가 켜지고 두 번 건드리면 모터(6)가 작동되도록 터치 센서(5)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본체(2)를 연속으로 건드리는 횟수에 의해 전구(9)의 밝기가 3단으로 조절되도록 터치 센서(5)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전선(16)에는 플러그(18)와 로커 스위치(17)가 부착되어 있다.
전구(9)의 위쪽에는 전체적으로는 볼록한 원형이고 가장자리는 환상인 덮개(11)가 도시되어 있다. 이 덮개(11)의 가장자리에는 전술한 돌출부(4)가 끼워질 수 있는 4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11)는 대체로 불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덮개(11)에 형성되는 이들 구멍은 송풍기(6, 7)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상방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며, 아울러 본체(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구(9)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부분적으로 통과시켜 은은한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덮개(11)의 중앙에는 사각형의 만입부(12)가 형성되며, 만입부(12) 내에는 방향제 저장부(13)가 배치된다. 방향제 저장부(13)는 스펀지와 같이 액체 방향제를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는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기공이 형성된 작은 플라스틱 용기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방향제 저장부(13) 상방에는 마개(14)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마개(14)는 만입부(12)에 삽입된 방향제 저장부(13)가 만입부(12)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마개(14)는 만입부(12)와 대응하는 4각형을 가지며 상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꼭지(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램프(1)는 본체(2) 하측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는데, 이 절개부를 통해 본체(2)의 기부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 센서(5)를 볼 수 있다. 터치 센서(5)는 이와 같이 본체(2)에 부착되므로 본체(2)에 가해지는 충격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상태로 결합된 램프(1)에 천(21)을 부착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도면으로서, 도 2의 램프(1)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1) 상부에 배치되는 천(21)은 각각의 돌출부(4)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19)에 묶인 실(20)을 통하여 돌출부(4)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2) 내에 배치된 모터(6)와 팬(7)을 구비하는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화살표 B와 같이 송풍기로부터 바람이 불면 위쪽으로 팽창된다. 이렇게 되면 램프(1)는 마치 낙하산에 매달린 것과 같은 시각적으로 미려한 효과를 내게 된다. 또한, 천(21)을 채색하면 전구(9)의 빛에 의해 천(21)은 유색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돌출부(4)는 소뿔 형태의 원목으로 제작되었지만 다른 원뿔 형태나 다각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램프(1)에 공기 청정용 필터(30)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공기 청정용 필터(30)는 얇은 부직포 또는 천연 펄프로 제조될 수 있다. 필터(30)는 본체(2)의 내측을 따라 원통형으로 배치되며, 본체의 기부로부터 본체(2) 전체 높이의 대략 1/3 높이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이 필터(30)를 부착함으로써 팬(7)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상쾌한 실내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서, 본체(2)의 기부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필터(30)를 원판형으로 하여 본체(2)의 기부에 설치하여도 전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술한 램프(1)에 있어서는 본체(2)가 원통형인 것에 대해 기재하였으나, 본체(2)는 삼각기둥 내지 사각기둥과 같이 그 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다리(3) 및 돌출부(4)의 수는 4개로 기재하였으나, 램프(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램프(1)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5)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2)의 내부에 설치하였지만, 본체(2)의 외측에 터치 센서(5)를 부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센서로는 충격 감지용 터치 센서(5)가 채용되었지만 인체에 의한 낮은 임피던스의 전기적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도 역시 채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센서는 본체(2)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램프는 방향제 저장부를 구비하므로 전구로부터 방사되는 은은한 조명과 함께 상쾌한 향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램프는 송풍기를 구비함으로써 방향제 저장부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를 멀리까지 단시간 내에 퍼지게 할 수 있으므로 방향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램프의 본체에 충격 또는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므로 모터 및 전구의 온/오프(ON/OFF) 및 조절이 용이하다.
더욱이, 본체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원목으로 우아하게 디자인되어 있는 소뿔 형태의 4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므로, 전술한 램프는 그 자체로 미려한 실내 장식용 복합 가구이며, 돌출부의 단부에 천을 연결하고 모터와 팬에 의해 바람을 공급하면 천을 낙하산 형태로 펼칠 수 있으므로 보는 이에게 생동감과 상쾌함이 주어져서 램프의 시각적인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또한, 본체 내부에 공기 청정용 필터를 부착하여 실내 공기를 항상 쾌적하게 걸러 공급하므로 사용자의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상부가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발광부; 그리고
    방향제를 수용하기 위한 방향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기 및 상기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송풍기 및 상기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낮은 임피던스의 전기적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판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에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기부에 부착되는 평탄한 필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기부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들의 단부에는 각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의 구멍을 통하여 연결실을 구비하는 낙하산 형태의 천이 상기 방향 램프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방향제 저장부를 수납하기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램프.
KR2020000018939U 2000-07-03 2000-07-03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한 방향 램프 KR200206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39U KR200206283Y1 (ko) 2000-07-03 2000-07-03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한 방향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39U KR200206283Y1 (ko) 2000-07-03 2000-07-03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한 방향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83Y1 true KR200206283Y1 (ko) 2000-12-01

Family

ID=1966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939U KR200206283Y1 (ko) 2000-07-03 2000-07-03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한 방향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507A (ko) 2015-05-11 2016-11-21 유수진 Led 방향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507A (ko) 2015-05-11 2016-11-21 유수진 Led 방향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858B1 (en) Illumination device with an outer tube encasing a transparent center rod
AU2020404865B2 (en) Scented electronic candle
US6364501B1 (en) Illuminative vase-type scented ornamental decoration structure
US4120248A (en) Illuminated decorative tables
KR200206283Y1 (ko) 공기 청정 필터를 구비한 방향 램프
CA1325265C (en) Dimmer for table lamps
JP4031655B2 (ja) 装飾用照明装置
US5613757A (en) Canopy for creating night sky image
KR200191504Y1 (ko) 장식탁자
KR200203546Y1 (ko) 장식용 조명등
KR200482515Y1 (ko) 조명지지체를 갖는 램프
US7025478B1 (en) Illuminable apparatus
KR101841720B1 (ko) 조명장치
KR200236706Y1 (ko) 향기 발산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200188786Y1 (ko) 발향기능을 갖는 스탠드
KR200305576Y1 (ko) 난조사각을 갖는 조명램프 케이스
JP3175002U (ja) 照明飾り装置
KR200262552Y1 (ko) 가정 및 외식업소용 테이블
KR20090006869U (ko) 방향제 기능을 갖는 장식용 조명구
KR200280629Y1 (ko) 조명 및 분수장치가 구비된 조화용 화분
KR200223483Y1 (ko) 방향제와 실내 조명등 음성정보시스템이 내장된 스탠드형시계
KR200304791Y1 (ko) 전등갓
KR200312655Y1 (ko) 장식부재를 갖는 방향제
KR200356236Y1 (ko) 방염직물지를 이용한 천장용 조명등
KR200270769Y1 (ko) 장식용 조명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