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077Y1 -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077Y1
KR200206077Y1 KR2020000016147U KR20000016147U KR200206077Y1 KR 200206077 Y1 KR200206077 Y1 KR 200206077Y1 KR 2020000016147 U KR2020000016147 U KR 2020000016147U KR 20000016147 U KR20000016147 U KR 20000016147U KR 200206077 Y1 KR200206077 Y1 KR 200206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wind
hair
operato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이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3093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71987A/ko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2020000016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의 에어분출구를 시술자의 손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보다 다양한 시술작업을 할 수 있게 하고, 헤어드라이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시켜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며, 전자파에 의한 피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헤어드라이어는 시술자가 한 손으로 헤어드라이어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빗 또는 브러시 등과 같은 미용기구 들고 젖은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거나 헤어스타일을 연출시킬 수밖에 없어 고도로 숙련된 시술자가 아니면 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장치(1)와, 바람을 토출시키는 에어분출구(3)를 별개의 몸체로 이격 형성시키고, 바람발생장치(1)와 에어분출구(3)를 이송관(2)으로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전자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시켜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음에 의한 피해를 억제시키며, 헤어드라이어의 에어분출구를 시술자의 손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손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시술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a hair drier}
본 고안은 젖은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고,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시킬 수 있게 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어드라이어의 에어분출구를 시술자의 손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보다 다양한 시술작업을 할 수 있게 하고, 헤어드라이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시켜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며, 전자파에 의한 피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헤어드라이어는 모터의 회전동작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의 전면에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가 설치되어 분출구를 통하여 고온의 열풍을 토출시켜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거나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 있어서의 헤어드라이어는 시술자가 한 손으로 헤어드라이어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빗 또는 브러시 등과 같은 미용기구 들고 젖은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거나 헤어스타일을 연출시킬 수밖에 없어 고도로 숙련된 시술자가 아니면 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고도의 숙련자라 하더라도 장시간 헤어드라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시술을 하게 되면 팔 관절에 무리가 가게 되어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헤어드라이어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으로써 열풍을 발생시킴에 따라 그 작동에 따른 심한 소음이 발생되어 시술자는 물론이고 고객에게도 심한 소음피해를 전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헤어드라이어는 전기의 통전에 의해 모터가 회전되고, 전열히터가 열을 발생시키는 구조로써 불가피하게 전자파가 발생될 수밖에 없으며, 특히 드라이어를 신체의 가장 중요부위인 머리에 근접시켜 사용함에 따라 전자파에 의한 피해가 심각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자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시켜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음에 의한 피해를 억제시키며, 헤어드라이어의 에어분출구를 시술자의 손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손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시술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장치와 바람을 토출시키는 에어분출구를 별개의 몸체로 이격 형성시키고, 바람발생장치와 에어분출구를 이송관으로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분출구의 장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에어분출구의 다른 장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의 에어분출구의 또 다른 장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람발생장치 2. 이송관
3. 에어분출구 4. 장착수단
10. 컴프레서 11. 히터부
30. 관체 31. 분사공
40. 장갑 43. 링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분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장치(1)와, 바람을 토출시키는 에어분출구(3)를 별개의 몸체로 이격 형성시키고, 바람발생장치(1)와 에어분출구(3)를 이송관(2)으로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분출구(3)에는 에어분출구(3)를 시술자의 손에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장착수단(4)을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수단(4)으로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면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에어분출구(3)를 장갑(40)의 상면에 결합시켜 구성하였다.
에어분출구(3)를 장갑(40)에 설치시키는 경우 에어분출구(3)는 굴신이 자유로운 플렉시블한 관체(30)로 형성시키고, 관체(30)에 다수의 분사공(31)을 형성시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기가 분출되는 에어분출구(3)를 장갑(40)의 상면에 결합시켜 구성하게 되면 시술자가 손에 장갑(40)을 착용하는 것만으로 에어분출구(3)를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시술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시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분출구(3)를 고정판(41)에 결합시키고, 고정판(41)의 일단에 결합밴드(42)를 설치시켜 시술자의 손목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분출구(3)를 다수의 링(43)에 결합시켜 링(43)을 시술자의 손가락에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람발생장치(1)는 종래와 동일하게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으로 구성시킬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날개차나 로터의 회전운동 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기체를 압축하는 컴프레서(compressor)장치(10)로 구성하였으며, 이와 같은 컴프레서(10) 장치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무소음 컴프레서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람발생장치(1)에 발생된 바람을 가열시키는 히터부(11)를 설치시켜 에어분출구(3)를 통하여 고온의 온풍을 분사시킬 수 있게 구성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배제시켜 전자파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소음에 의한 피해를 억제시키며, 헤어드라이어의 에어분출구를 시술자의 손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손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시술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헤어드라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장치(1)와, 바람을 토출시키는 에어분출구(3)를 별개의 몸체로 이격 형성시키고, 바람발생장치(1)와 에어분출구(3)를 이송관(2)으로 연결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발생장치(1)가 기체를 압축하는 컴프레서(compressor)장치(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발생장치(1)에 발생된 바람을 가열시키는 히터부(11)를 설치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4)이 장갑(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에어분출구(3)를 굴신이 자유로운 플렉시블한 관체(30)로 형성시키고, 관체(30)에 다수의 분사공(31)을 형성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KR2020000016147U 2000-06-05 2000-06-07 헤어드라이어 KR200206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147U KR200206077Y1 (ko) 2000-06-05 2000-06-07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32A KR20000071987A (ko) 2000-06-05 2000-06-05 헤어드라이어
KR2020000016147U KR200206077Y1 (ko) 2000-06-05 2000-06-07 헤어드라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32A Division KR20000071987A (ko) 2000-06-05 2000-06-05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077Y1 true KR200206077Y1 (ko) 2000-12-01

Family

ID=2663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147U KR200206077Y1 (ko) 2000-06-05 2000-06-07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0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975B2 (en) Hot air hair styling device attachment
CA2620197C (en) Hairstyling device
KR101065441B1 (ko) 회전식 실린더를 갖는 헤어 스타일링 기구
CN108471875B (zh) 用于头皮护理的多功能梳子
JPH08182532A (ja) ヘアスタイリング用ブラシおよび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LV14229B (lv) Kombinēta ierīce matu apstrādei
JP3193804U (ja) ヘアードライヤー
US5944031A (en) Hair style device
KR200206077Y1 (ko) 헤어드라이어
KR102321237B1 (ko) 다용도 헤어 스타일러
US20070220774A1 (en) Hair dryer
KR20000071987A (ko) 헤어드라이어
KR100838560B1 (ko) 긴머리용 헤어드라이장치
CN210696421U (zh) 柔性造型吹风机
RU27142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и завивки волос
KR200197508Y1 (ko) 브러쉬 겸용 헤어드라이기
KR19990036306U (ko) 모발가습용 빗
CN2935935Y (zh) 美发电吹风手套
CN202456971U (zh) 梳头电吹风
KR20210050069A (ko) 머리손질용 기능성 헤어 드라이기
JP2001519705A (ja) 毛髪乾燥および整髪用具
JPH0880215A (ja) ヘアーセッター
JPH0719367Y2 (ja) 洗面化粧台用送風装置
KR200378343Y1 (ko) 건조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발세척장치
CA2083086A1 (en) Air-blower/vacuum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