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046Y1 - 발열체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발열체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046Y1
KR200206046Y1 KR2019980008348U KR19980008348U KR200206046Y1 KR 200206046 Y1 KR200206046 Y1 KR 200206046Y1 KR 2019980008348 U KR2019980008348 U KR 2019980008348U KR 19980008348 U KR19980008348 U KR 19980008348U KR 200206046 Y1 KR200206046 Y1 KR 200206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welding
fastening
heating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479U (ko
Inventor
이칠상
Original Assignee
이칠상
상도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칠상, 상도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칠상
Priority to KR2019980008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0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046Y1/ko

Link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조내의 물을 가열할때에 가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수조몸체의 후렌지에 간단하고 밀폐가능한 체결이 이루워 질수 있도록한 발열체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온수기, 보일러, 가습기등 수조내의 물을 가열시키는 구성에서 온수조내의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 발열체(시즈히터,Heater)와 후렌지의 체결수단은 일반적으로 액체 가열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발열체와 후렌지를 용접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용접수단에서는 용접부분애서 세공(細孔, Pin hole)이나 균열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일이 흔히 발생되고 있다.
상기 세공이 발생되는 원인으로는 용접이 불균일하게 될 때, 용접중 이물질이 흡입되는 경우등이 있고 균열이 발생되는 원인으로는 티그(Tig) 용접을 할 때 전극과 모재와의 간격이 균일하지 않으면 용접 전류가 불균일하게 됨으로 히터 파이프의 벽이 과용해 되는 부분이 생기며 그 부분의 벽 두께가 얇아지게 되므로서 가벼운 열충격베도 균열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발열체에 브레킷을 삽입함과 함께 내측으로 밀폐 폐킹을 압착고정하여 후렌지의 정해진 위치에 천공된 체결공에 관통시켜 압착고정한 다음 후렌지의 외측으로 관통되어 돌출된 발열체 단부측으로 고정와셔를 압착시켜 밀폐 폐킹이 압착되어 밀폐되도록 가압시켜 체결하게 된다.
이에의해 체결공은 폐킹의 밀착으로 밀봉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브래킷과 폐킹 및 와셔의 간단한 체결구성에 의해 간단히 체결시킬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발열체의 체결구조
본 고안은 온수조 내의 물을 가열할 때에 가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수조 몸체의 후렌지에 간단하고 밀폐가능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열체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온수기, 보일러, 가습기 등 수조 내의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 발열체(시즈히터, Heater)와 후렌지의 체결수단은 일반적으로 발열체와 후렌지를 용접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용접수단은 용접부분에서 세공(細孔 Pin hole)이나 균열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일이 흔히 발생되고 있다.
상기 세공이 발생되는 원인으로는 용접이 불균일하게 될 때, 용접중 이물질이 혼입되는 경우 등이 있고 균열이 발생되는 원인으로는 티그(Tig) 용접을 할 때 전극과 모재와의 간격이 균일하지 않으면 용접 전류가 불균일하게 됨으로 히터 파이프의 벽이 과용해지는 부분이 생기며 그 부분의 벽 두께가 얇아지게 됨으로서 가벼운 열충격에도 쉽게 균열될 수 있다.
그리고 티그 용접을 할 때 용접선에는 열경화 현상으로 인한 응력이 생기게되고 이 부분에 무리한 충격(열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균열이 발생된다.
또는 땜(은땜 또는 황동땜)의 경우는 용접재와 모재와의 경도가 다르고 열팽창 계수가 다르면 열충격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되며 또한 완전용접이 못되고 가용접 상태로 되는 경우도 있어 쉽게 박리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후렌지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이에 발열체를 관통시킨 후 양자를 용접 또는 땜으로서 고정하는 방법에서는 용접불량과 항께 용접에 의한 폐단이 있으면서 견고성이 결여되는 단점과 함께 작업 여건이 좋지 않아 작업 기피 내지는 용접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많은 폐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용접에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97-6653호에서는 본체의 체결공에 관통되는 체결나관으로 나사체결하고 있다.
이러한 나사체결은 상기한 용접에 비하여 그 작업이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밀폐효과가 매우 적고 사용중 누수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어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폐킹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나 폐킹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완전밀폐가 불가능하고 또한 재질의 특성에 따라 열에 매우 약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선 고안은 나사체결수단과 함께 끼워마춤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끼워마춤 구성은 교합되는 돌턱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때에 밀폐패킹을 가압한 상태에서의 교합과 함께 회전으로 체결하여야 된다.
이러한 체결은 작업자가 간단히 실시할 수 없는 단점과 함께 밀폐효과가 극히 나쁜 문제로 대다수의 히터분야에서는 이용하고 있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발열체와 후렌지와의 결합을 용접방식이 아닌 조립식방법으로 결합함으로써 용접으로 인한 폐단과 끼워마춤 및 나사체결의 단점을 간단히 개선한 고안이다.
제1도는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열체 20 : 브래킷
21 : 삽입공 22 : 절곡부
30 : 폐킹 31 : 환돌기
40 : 체결공 41 : 후렌지
50 : 고정와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사용상태의 결합단면도이며, 제3도는 사용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 외벽 후렌지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발열체를 관통시켜 그 연접부를 용접시켜 발열체를 고정하는 공지에 있어서, 내향된 절곡부(22)를 형성하는 브래킷(20)에 삽입공(21)을 형성하여 공지의 ‘∪’자형으로 절곡된 발열체(10)를 관통시켜 환돌기(31)를 형성한 밀폐 폐킹(30)을 적층함과 함께 발열체(10)를 후렌지(41)의 정해진 위치에 천공된 체결공(40)으로 단부를 관통하여 후렌지(41) 외측으로 돌출된 발열체(10)에 고정와셔(50)를 삽입 압착시켜 밀폐폐킹(30)이 압착 밀폐되도록 가압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42는 후렌지에 형성된 체결공(40)의 확장공으로 여기에 폐킹(30)의 환돌기(31)가 삽입되어 발열체(10)와 후렌지(41)의 밀폐효과를 증대하도록 한 확장공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사용상태의 결합단면도이며, 제3도는 사용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22)를 형성하여 캡형구성된 브래킷(20)의 삽입공(21)에 공지의 ‘∪’자형으로 절곡된 발열체(10)를 관통함과 함께 상기 발열체(10)에 환돌기(31)를 형성한 밀폐 폐킹(30)을 적층하여 다시 상기 발열체(10)를 후렌지(41)의 정해진 위치에 천공된 체결공(40)으로 단부를 관통한다.
이와 같이 적층되어 후렌지(41) 외측으로 돌출된 발열체(10)에 고정와셔(50)를 삽입 상기 적층된 구조물을 강하게 압착시키면 상기 밀폐폐킹(30)이 압착되면서 그 밀림부가 후렌지의 체결공(40)과 그 밑면에 형성된 확장공(41)으로 밀림되면서 압착된다.
이에 따라 체결공(40)은 완전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발열체(10)에 브래킷(20)과 밀폐폐킹(30)을 적층하여 후렌지(41)의 체결공(40)에 끼워마춤한 상태에서 돌출된 발열체(10)에 고정와셔(50)만을 가압시키므로 극히 간단한 조립체결이 이루어지는 간편성이 있으며 또한 상기 폐킹(30)은 가압으로 밀림된 밀림부가 체결공(40)과 확장공(41)에 밀착압착되어 견고한 밀폐성을 유지하게 됨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간단히 개선하고 후렌지(41)에 뚫린 체결공(40)에 폐킹(30)과 브래킷(20)으로 발열체(10)를 지지하고 후렌지(41) 외측에서 고정와셔(50)를 압착 고정하여 폐킹(30)에 의한 밀착 체결로서 체결 작업이 간단한 장점과 밀폐폐킹(30)의 압착밀폐로 밀폐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후렌지에 뚫린 체결공으로 발열체를 관통하되 폐킹과 고정와셔로 가압고정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체결작업이 용이함과 함께 폐킹과 그 환돌기 및 확장공에 의한 밀폐효과를 증대한 유익한 고안이다.

Claims (1)

  1. 수조 외벽 후렌지에 형성되는 체결공으로 발열체를 관통시켜 그 연접부를 용접하여 발열체를 고정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내향된 절곡부(22)를 형성하는 브래킷(20)에 삽입공(21)을 형성하여 발열체(10)를 관통함과 함께 환돌기(31)를 형성한 밀폐 폐킹(30)을 적층하여 발열체(10)를 후렌지(41)의 체결공(40)으로 단부를 관통 돌출된 발열체(10)에 고정와셔(50)를 삽입 압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의 체결구조.
KR2019980008348U 1998-05-20 1998-05-20 발열체의 체결구조 KR200206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48U KR200206046Y1 (ko) 1998-05-20 1998-05-20 발열체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48U KR200206046Y1 (ko) 1998-05-20 1998-05-20 발열체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79U KR19990041479U (ko) 1999-12-15
KR200206046Y1 true KR200206046Y1 (ko) 2001-01-15

Family

ID=6950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348U KR200206046Y1 (ko) 1998-05-20 1998-05-20 발열체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0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79U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363B1 (ko) 연료 탱크용의 용접가능한 통기 밸브
KR200206046Y1 (ko) 발열체의 체결구조
KR200172037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단부의 밀폐장치
KR101076852B1 (ko) 전기융착을 이용한 관 연결구
KR101268787B1 (ko) 세탁기의 히터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200171725Y1 (ko) 온수가열용 히터
KR200191825Y1 (ko) 보일러용 마그네슘봉의 결합구조
KR100786669B1 (ko)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204572Y1 (ko) 정수기의 냉·온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KR900002814Y1 (ko) 축열식 전기 난방관의 열선 연결장치
KR200170280Y1 (ko) 관 이음 구조
KR100323808B1 (ko) 히터 체결방법
KR200157192Y1 (ko) 연통 이음용 밀봉부재
KR200236722Y1 (ko) 액체 투입용 히터
KR200441286Y1 (ko) 내부도장용 개구가 폐쇄된 온수탱크
KR200158042Y1 (ko) 동관 접속장치
KR930003670Y1 (ko) 오수 배수관의 연결장치
KR200206360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164730Y1 (ko) 보일러용온수분배기
KR19990041480U (ko) 이중관 구조로된 발열체.
KR200233568Y1 (ko) 보일러의 축열조
KR200169821Y1 (ko) 상수도용 분수전의 누수방지구조
KR101257953B1 (ko) 세탁기의 히터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JPH01245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