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933Y1 - 전화기, pc 및 인터넷망을 활용한 양방향 인터넷음성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 pc 및 인터넷망을 활용한 양방향 인터넷음성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933Y1
KR200204933Y1 KR2020000002078U KR20000002078U KR200204933Y1 KR 200204933 Y1 KR200204933 Y1 KR 200204933Y1 KR 2020000002078 U KR2020000002078 U KR 2020000002078U KR 20000002078 U KR20000002078 U KR 20000002078U KR 200204933 Y1 KR200204933 Y1 KR 200204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terminal
internet
voice communic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씽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씽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씽크텍
Priority to KR2020000002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8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non-voice services, e.g. email,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전화기 및 PC를 활용해 양방향 인터넷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로서, 좀더 상세하게 말하면 일반전화기에 PC와 연결되는 장치를 전화기를 변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장치로 PC와 전화기를 연결시켜 일반전화기를 사용한 인터넷 음성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부가해 본 장치의 양방향 음성통신이 최적의 음질상태로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대역폭 제어용 소프트웨어 등 전화기 기반의 인터넷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통신용 소프트웨어가 본 발명품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품에는 기능선택 버튼을 부착, 사용자가 일반전화 사용, 인터넷전화 사용, 외부 스피커를 사용한 음악감상 등을 쉽고 편리하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Description

전화기, PC 및 인터넷망을 활용한 양방향 인터넷 음성통신 장치{Two way voic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elephone and PC through the internet.}
본 고안 모델의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전화국으로부터 들어오는 전화선은 1 단자에 연결되고 2단자는 컴퓨터의 모뎀과 연결시킨다.
2. 3단자는 컴퓨터의 스피커 출력단자와 연결하고, 4단자는 컴퓨터의 마이크 단자, 5단자는 외부스피커, 6단자는 외부마이크와 연결시킨다.
3. 7단자는 전화기의 PSTN 전화라인단자와 연결하고, 8단자는 전화기의 송수화기 단자와 연결하고, 9단자는 송수화기와 연결한다.
도 2a, 도 2b, 도 2c에서의 회로 연결선은 모두 2가닥의 선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1선으로 표시했다.
모드 전환 스위치의 내부 구조는 도 2a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도 2b는 전화기를 일반 유선전화기 기능으로 사용할 때의 회로도이다.
전화국으로부터 들어오는 전화선(1)은 전화기의 PSTN 전화라인 단자(7)와 연결되고, 전화기로부터의 송수화기 단자(8)는 직접 송수화기(9)로 연결되도록 하여 일반 전화 사용 시와 같은 연결고리를 갖도록 한다. 또한 컴퓨터로부터 나오는 스피커신호(3)와 마이크신호(4)는 바로 외부 스피커(5)와 외부 마이크(6)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모뎀으로 외부전화선이 항상 연결되도록 하여 PC 통신이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c는 송수화기를 인터넷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할 때의 회로도이다. 전화기를 일반 통화용으로 사용하다가 인터넷 음성 통신이 필요할 때는 모드 전환스위치(10)를 On 시킨다.
이때 전화기의 PSTN 전화라인으로의 연결선(7)을 단절시키고, 컴퓨터와 연결된 스피커 출력선(3)과 마이크선(4)을 송수화기(9)와 연결시켜 송수화기를 인터넷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외부 스피커 단자(5)와 외부 마이크 단자(6)로는 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전화기 송수화기를 일반 전화기로 또는 인터넷 음성 통신용으로 병행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 음성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일발전화기와 PC 사이에 통신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치하여 일반전화기를 사용한 인터넷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륵 하는 것이다.
PC를 이용한 음성통신 분야는 PC에 마이크와 스피커를 별도로 직접 연결시켜 사용하거나 마이크와 스피커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헤드셋 제품을 사용하고 있고 전화기 자체를 인터넷 통신용 마이크와 스피커로 이용하고 있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기나 PC를 변형시키거나 별도의 부품을 장착하지 않고 전화기와 PC를 연결시키는 연결 장치(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음성통신이 이루어진다는 데 특징이 있다.
따라서 오랫동안 헤드셋을 사용함으로써 오는 불편함과 별도의 인터넷 전용 전화기를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편의성과 경제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해 일반전화, 인터넷 전화, 외부 스피커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쉽고 편리하고 일반전화 사용, 인터넷전화 사용, 음악감상 등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일반전화기나 PC에 아무런 변형을 주지 않고 일반전화기와 PC 사이에 인터페이스 장치의 부착만으로 인터넷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PC의 사운드 카드와 전화기 간의 음성대역폭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음성제어용 소프트웨어를 내장, 제어시킴으로써 생생한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을 전화기의 받침으로 사용했을 때의 구성도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전화기를 장착했을 시의 모습이다.
도 2a는 10(스위치)의 회로도이다.
도 2b는 스위치를 off상태로 했을 때의 회로도이다.
도 2c는 스위치를 0n상태로 했을 때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상세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RJ45 단자 5개와 스테레오 단자 4개 그리고 모드 전환스위치로 구성된다. 보통 시는 수화기의 연결이 전화기에 연결되도록 하여 일반전화로 사용한다.
만약 인터넷 음성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를 On 시켜 수화기의 연결선이 컴퓨터로부터의 마이크 선과 스피커 선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99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인터넷 인구는 약700만명에 이르고 있고 2001년 말에는 1,100만명, 2002년에는 전체인구의 절반이 인터넷 사용자로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는 등 연평균 40%씩 증가, 중계기 수요 폭증으로 2025년까지 11개의 통신위성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21세기는 모든 통신이 인터넷 중심으로 이동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현재의 전화 상으로 이루어지는 음성통신을 하드웨어적으로는 인정하면서도 회선은 인터넷 회선으로 전환시켜주는 의미를 지님으로써 사용자들에게 통신수단을 자연스럽게 전화에서 인터넷으로 변환시켜 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인터넷 전용회선이 들어와 있는 가정이나 직장에서는 인터넷 회선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전화사용료 부담없이 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4)

  1. (1) 전화국으로부터 들어오는 전화선은 1 단자에 연결되고,
    (2) 2단자는 컴퓨터의 모뎀과 연결시키며,
    (3) 3단자는 컴퓨터의 스피커 출력단자와 연결하고,
    (4) 4단자는 컴퓨터의 마이크 단자와 연결하고,
    (5) 5단자는 외부스피커에 연결시키며,
    (6) 6단자는 외부마이크와 연결시키며,
    (7) 7단자는 전화기의 PSTN 전화라인단자와 연결하고,
    (8) 8단자는 전화기의 송수화기 단자와 연결하고,
    (9) 9단자는 송수화기와 연결시키는 인터넷 음성장치.
  2. 1항의 방법으로 제작된 장치를 일반전화기에 부착시키는 인터넷 음성통신 장치.
  3. 1항의 방법으로 제작된 장치를 PC와 연결시키는 인터넷 음성통신 장치.
  4. 1항의 방법으로 제작된 장치를 일반전화기와 PC 간을 연결시키는 인터페이스 장치.
KR2020000002078U 2000-01-25 2000-01-25 전화기, pc 및 인터넷망을 활용한 양방향 인터넷음성통신 장치 KR200204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078U KR200204933Y1 (ko) 2000-01-25 2000-01-25 전화기, pc 및 인터넷망을 활용한 양방향 인터넷음성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078U KR200204933Y1 (ko) 2000-01-25 2000-01-25 전화기, pc 및 인터넷망을 활용한 양방향 인터넷음성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933Y1 true KR200204933Y1 (ko) 2000-12-01

Family

ID=1963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078U KR200204933Y1 (ko) 2000-01-25 2000-01-25 전화기, pc 및 인터넷망을 활용한 양방향 인터넷음성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9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4771A1 (en) Headset adapter for IP or digital phone
KR200204933Y1 (ko) 전화기, pc 및 인터넷망을 활용한 양방향 인터넷음성통신 장치
KR100327976B1 (ko) 체인접속형 이어마이크 장치
KR20010068347A (ko) 전화기, pc 및 인터넷망을 활용한 양방향 인터넷음성통신 장치
KR1006171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장치
KR200189835Y1 (ko) 다용도 음성신호 입출력 보조장치
KR200267247Y1 (ko) 전화기에 부속된 핸즈프리 장치
KR100640409B1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KR100392063B1 (ko)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KR200287141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CN2814822Y (zh) 一种网络电话机
KR200210641Y1 (ko) 일반전화기를 사용한 인터넷전화 절환기
KR200193536Y1 (ko) 인터넷 전화를 위한 컴퓨터와 전화기간의 연결장치
KR20030913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되고 컴퓨터와 USB Port로연결되는 헤드폰세트
JPH11341143A (ja) 携帯電話用ペ―ジングアンプ
JP3086521U (ja) 電話用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300096Y1 (ko) 이동형 음향기기 및 휴대전화 공용 이어폰 세트
KR200218614Y1 (ko) 오디오 입출력장치
KR200245218Y1 (ko) 인터넷폰스피커
KR200295605Y1 (ko) 통화수단이 구비된 이어마이크
KR200189577Y1 (ko) 사운드 단자가 전면에 구비된 컴퓨터본체구조
US6757387B2 (en) Supplementary hand free transceiver of a fixing network wired telephone
KR200183281Y1 (ko)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2수화기)
CN101127795A (zh) Usb电话、usb电话机座及usb电话机座组
CN2757457Y (zh) 一种计算机网络电话及市话电话用切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