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924Y1 - 곡물 분쇄기 - Google Patents

곡물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924Y1
KR200203924Y1 KR2020000007942U KR20000007942U KR200203924Y1 KR 200203924 Y1 KR200203924 Y1 KR 200203924Y1 KR 2020000007942 U KR2020000007942 U KR 2020000007942U KR 20000007942 U KR20000007942 U KR 20000007942U KR 200203924 Y1 KR200203924 Y1 KR 200203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sprocket
gear
roller
rotat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길
Original Assignee
구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길 filed Critical 구정길
Priority to KR2020000007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9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mill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286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곡물 분쇄기(1)는 본체(2) 상부 양내측에 대향되게 입설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되고, 외경에 다수의 교반기(13)가 구비된 교반축(14)으로 이루어진 공급부(10); 상기 본체(2) 상부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된 제 1,2롤러(21)(22)로 이루어진 제 1분쇄부(20); 상기 제 1,2롤러(21)(22)와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본체(2)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된 제 3,4롤러(31)(32)로 이루어진 제 2분쇄부(30); 및 상기 제 1,2분쇄부(20)(30) 및 상기 공급부(1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제 1구동부(40) 및 제 2구동부(5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곡물을 거칠게 분쇄하는 제 1,2롤러와 제 1,2롤러에서 거칠게 분쇄된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제 3,4롤러가 구비된 분쇄기를 제공함으로써 단 한번의 투입으로 완전 분쇄가 가능하도록 하여 곡물의 분쇄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곡물 분쇄기{CEREAL PULVERATOR}
본 고안은 각종 곡물을 분쇄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곡물을 한번의 투입으로 완전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2중의 분쇄롤러가 구비된 분쇄기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분쇄력을 향상시키는 곡물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분쇄기는 고추 및 쌀, 보리 등의 각종 곡물을 분쇄하는 기구로서, 이는 주로 내부에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한쌍의 회전롤러가 구비되어 이 회전롤러의 회전력으로써 곡물을 분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곡물 분쇄기는 한쌍의 회전롤러 회전력으로써 곡물을 완전하게 분쇄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한번의 분쇄작업 후, 이를 여러번에 거쳐반복적으로 분쇄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2중으로 분쇄롤러를 구성하게 됨으로써 한번의 투입으로 완전한 분쇄작업을 하게 되는 곡물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본체 상부 양내측에 대향되게 입설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되고, 외경에 다수의 교반기가 구비된 교반축으로 이루어진 공급부; 상기 본체 상부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된 제 1,2롤러로 이루어진 제 1분쇄부; 상기 제 1,2롤러오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본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된 제 3,4롤러로 이루어진 제 2분쇄부; 상기 제 1,2분쇄부 및 상기 공급부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제 1구동부 및 제 2구동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구동부는 상기 제 1롤러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1기어와, 상기 제 1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 2롤러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일면에 제 1스프로켓이 축설된 제 2기어 및 상기 제 2롤러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2스프로켓과, 상기 제 2스프로켓과 체인으로써 연결되고, 상기 본체 후면에 구비된 기어박스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 3스프로켓과, 상기 기어박스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주풀리와, 상기 주풀리와 벨트로써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 2기어의 제 1스프로켓과 상기 교반축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체인으로써 연결되어 상기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제 4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구동부는 상기 공구박스 타면에 축설된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 일단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5스프로켓과, 상기 제 5스프로켓과 체인으로써 연결되고, 제 4롤러 일단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6스프로켓 및 상기 제 4롤러 타단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3기어와, 상기 제 3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 3롤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출설된 제 4기어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3,4롤러 외경에는 다수의 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롤러의 배출홈은 그 간격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 3,4롤러의 배출홈은 그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10 : 공급부
11 : 고정판 12 : 호퍼
13 : 교반기 14 : 교반축
20,30 : 제 1,2분쇄부 21,22,31,32 : 제 1,2,3,4롤러
26,36 : 배출홈 40,50 : 제 1,2구동부
41,43,54,55 : 제 1,2,3,4기어 42,44,46,47,52,53 : 제 1,2,3,4,5,6스프로켓
48 : 주풀리 48a : 벨트
49 : 구동모터 51 : 연결축
60 : 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분쇄기의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곡물 분쇄기(1)는 적정량의 곡물을 분쇄기의 본체(2) 내부로 공급시키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에서 공급된 곡물을 분쇄시키는 제 1,2분쇄부(20)(30)와, 제 1,2분쇄부(20)(30)와 공급부(1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제 1,2구동부(40)로 이루어진다.
공급부(10)는 본체(2) 상부 양내측에 대향되게 입설된 고정판(11)과, 고정판(11) 사이에 삽입되어 본체(2) 내부로 공급되는 곡물이 채워지는 호퍼(12)와, 고정판(1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되고, 외경에 호퍼(12) 내부의 곡물을 본체(2) 내부로 공급시키는 다수의 교반기(13)가 구비된 교반축(14)으로 이루어진다.
제 1분쇄부(20)는 본체(2) 상부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된 제 1,2롤러(21)(22)로 이루어진다.
제 2분쇄부(30)는 제 1,2롤러(21)(22)와 간격을 유지하여 본체(2)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된 제 3,4롤러(31)(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2,3,4롤러(21)(22)(31)(32) 외경에는 다수의 배출홈(26)(36)이 형성된다. 이때, 제 1,2롤러(21)(22)의 배출홈(26)은 그 간격이 넓게 형성되어 곡물을 거칠게 분쇄하게 되고, 제 3,4롤러(31)(32)의 배출홈(36)은 그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거칠게 분쇄된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하게 된다.
또한, 본체(2) 전면 양측에는 제 1,2분쇄부(20)(30)의 제 1,2,3,4롤러(21)(22)(31)(32)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구(28)(38)가 각각 구비된다.
제 1구동부(40)는 제 1롤러(21)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1기어(41)와, 제 1기어(41)에 치합되고, 제 2롤러(22)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일면에 제 1스프로켓(42)이 축설된 제 2기어(43)와, 제 2롤러(22)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2스프로켓(44)과, 제 2스프로켓(44)과 체인(60)으로써 연결되고, 본체(2) 후면에 구비된 기어박스(45)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 3스프로켓(46)과, 기어박스(45)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주풀리(48)와, 주풀리(48)에 벨트(48a)로써 연결되는 구동모터(49)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2기어(43)의 제 1스프로켓(42)과 교반축(14)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4스프로켓(47)을 체인(60)으로써 연결하여 교반축(14)을 회전시키게 된다.
제 2구동부(50)는 기어박스(45) 타면에 축설된 연결축(51)과, 연결축(51) 일단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5스프로켓(52)과, 제 5스프로켓(52)과 체인(60)으로써 연결되고, 제 4롤러(32) 일단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6스프로켓(53) 및 제 4롤러(32) 타단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3기어(54)와, 제 3기어(54)에 치합되고, 제 3롤러(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출설된 제 4기어(55)로 이루어진다.
한편, 기어박스(45)는 구동모터(49)의 회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기어(미도시)가 내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곡물 분쇄기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체(2) 상부 양내측의 고정판(12) 사이에 삽입된 호퍼(14) 내부로 각종 곡물(고추,쌀,보리 등)을 채운 다음, 구동부(4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49)가 동작되어 회전하게 되고, 구동모터(49)와 벨트(48)로써 연결되고, 기어박스(45)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주풀리(47)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49)의 회전력이 기어박스(45) 내부로 전달되어 기어박스(45)에 내장된 기어로써 구동모터(49)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고, 제 1,2분쇄부(20)(30)의 제 1,2,3,4롤러(21)(22)(31)(32)와 공급부(10)의 교반축(14)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즉, 기어박스(45) 일면의 제 3스프로켓(46)이 회전하게 되고, 제 3스프로켓(46)과 체인(60)으로써 연결되고, 제 2롤러(22)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2스프로켓(44)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롤러(22)가 회전하게 되고, 제 2롤러(22) 일단에 축설된 제 2기어(43)와 그 일면의 제 1스프로켓(42)이 회전하게 되며, 제 2기어(43)에 치합되고, 제 1롤러(21) 일단에 축설된 제 1기어(41)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1롤러(21)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1,2롤러(21)(2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2기어(43)의 제 1스프로켓(42)과 체일(60)으로써 연결되고, 교반축(14)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4스프로켓(47)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교반축(14)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교반축(14) 외경의 교반기(13)가 회전하게 되어 호퍼(12) 내부에 채워진 곡물을 제 1분쇄부(20)의 제 1,2롤러(21)(22)로 공급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곡물은 제 1분쇄부(20)의 제 1,2롤러(21)(22)의 회전력으로써 분쇄되어 제 3,4롤러(31)(32)로 공급된다. 이때 제 1,2롤러(21)(22) 외경에는 형성된 배출홈(26)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곡물이 거칠게 분쇄된다.
한편, 기어박스(45) 타면에 축설된 연결축(51)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연결축(51) 일단의 제 5스프로켓(52)이 회전하게 되고, 제 5스프로켓(52)과 체인(60)으로써 연결되고, 제 4롤러(32) 일단 외경의 제 6스프로켓(53)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4롤러(32)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4롤러(32) 타단 외경의 제 3기어(54)가 회전하게 되고, 제 3기어(54)에 치합되며, 제 3롤러(31)의 타단에 출설된 제 4기어(55)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4롤러(55)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3,4롤러(31)(3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 1,2롤러(21)(22)의 회전력으로써 거칠게 분쇄된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제 3,4롤러(31)(32) 외경에는 형성된 배출홈(66)의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거친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하게 된다.
한편, 분쇄기의 본체(2) 전면 양측에 구비된 조절구(28)(38)로써 제 1,2분쇄부(20)(30)의 제 1,2,3,4롤러(21)(22)(31)(32)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의 곡물 분쇄기에 의하면, 곡물을 거칠게 분쇄하는 제 1,2롤러와 제 1,2롤러에서 거칠게 분쇄된 곡물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제 3,4롤러가 구비된 분쇄기를 제공함으로써 단 한번의 투입으로 완전 분쇄가 가능하도록 하여 곡물의 분쇄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본체(2) 상부 양내측에 대향되게 입설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되고, 외경에 다수의 교반기(13)가 구비된 교반축(14)으로 이루어진 공급부(10);
    상기 본체(2) 상부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된 제 1,2롤러(21)(22)로 이루어진 제 1분쇄부(20);
    상기 제 1,2롤러(21)(22)와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본체(2)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축설된 제 3,4롤러(31)(32)로 이루어진 제 2분쇄부(30); 및
    상기 제 1,2분쇄부(20)(30) 및 상기 공급부(1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제 1구동부(40) 및 제 2구동부(5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부(40)는
    상기 제 1롤러(21)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1기어(41)와,
    상기 제 1기어(41)에 치합되고, 상기 제 2롤러(22)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일면에 제 1스프로켓(42)이 축설된 제 2기어(43) 및 상기 제 2롤러(22)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2스프로켓(44)과,
    상기 제 2스프로켓(44)과 체인(60)으로써 연결되고, 상기 본체(2) 후면에 구비된 기어박스(45)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제 3스프로켓(46)과,
    상기 기어박스(45)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주풀리(48)와, 상기 주풀리(48)와 벨트(48a)로써 연결되는 구동모터(49)와,
    상기 제 2기어(43)의 제 1스프로켓(42)과 상기 교반축(14)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체인(60)으로써 연결되어 상기 교반축(14)을 회전시키는 제 4스프로켓(4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동부(50)는
    상기 기어박스(45) 타면에 축설된 연결축(51)과,
    상기 연결축(51) 일단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5스프로켓(52)과,
    상기 제 5스프로켓(52)과 체인(60)으로써 연결되고, 제 4롤러(32) 일단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6스프로켓(53) 및 상기 제 4롤러(32) 타단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제 3기어(54)와,
    상기 제 3기어(54)에 치합되고, 상기 제 3롤러(3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출설된 제 4기어(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4롤러(21)(22)(31)(32) 외경에는 다수의 배출홈(26)(3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롤러(21)(22)의 배출홈(26)은 그 간격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 3,4롤러(31)(32)의 배출홈(36)은 그 간격이 미세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분쇄기.
KR2020000007942U 2000-03-21 2000-03-21 곡물 분쇄기 KR200203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942U KR200203924Y1 (ko) 2000-03-21 2000-03-21 곡물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942U KR200203924Y1 (ko) 2000-03-21 2000-03-21 곡물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924Y1 true KR200203924Y1 (ko) 2000-11-15

Family

ID=1964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942U KR200203924Y1 (ko) 2000-03-21 2000-03-21 곡물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9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287A (ko) * 2001-11-01 2003-05-14 박현경 곡물류 분쇄장치
WO2006135198A1 (en) * 2005-06-17 2006-12-21 Moo-Kyum Kim Roller mill type pulverizing method and apparatus
CN108579882A (zh) * 2018-05-04 2018-09-28 石台县莘田粮油有限公司 一种富硒米加工用多辊粉碎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287A (ko) * 2001-11-01 2003-05-14 박현경 곡물류 분쇄장치
WO2006135198A1 (en) * 2005-06-17 2006-12-21 Moo-Kyum Kim Roller mill type pulverizing method and apparatus
CN108579882A (zh) * 2018-05-04 2018-09-28 石台县莘田粮油有限公司 一种富硒米加工用多辊粉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3924Y1 (ko) 곡물 분쇄기
CA2255365C (en) Comminuting apparatus
KR200193202Y1 (ko) 곡물 분쇄기
KR200379509Y1 (ko) 고추분쇄기
KR200209433Y1 (ko) 곡물 분쇄기
KR20220021959A (ko) 해태 분쇄기
CN214051938U (zh) 一种杏鲍菇生产用粉碎装置
KR101012766B1 (ko) 곡물 분쇄기
KR100718486B1 (ko) 고추 분쇄기
KR100401212B1 (ko) 패각류 분쇄기
KR200158704Y1 (ko) 고추분쇄기
KR200193138Y1 (ko) 분쇄기
KR200384254Y1 (ko) 고추분쇄기
KR102653925B1 (ko) 폐목재 파쇄분쇄기
KR200204228Y1 (ko) 고추 분쇄기
CN215464679U (zh) 一种大米研磨粉碎装置
KR100444145B1 (ko) 고추분쇄장치
KR200219282Y1 (ko) 곡물 분쇄장치
KR200206268Y1 (ko) 다단 곡물 분쇄장치
CN218281866U (zh) 一种可切换功能的碾米粉碎一体机
KR200252173Y1 (ko) 고추분쇄기
KR200186086Y1 (ko) 고추분쇄기용 분쇄장치
KR200319938Y1 (ko) 고추씨앗 분쇄기능이 구비된 고추 분쇄기
KR200219303Y1 (ko) 고추 분쇄기
KR20000027945A (ko) 고추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