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312Y1 -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 - Google Patents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312Y1
KR200203312Y1 KR2020000010745U KR20000010745U KR200203312Y1 KR 200203312 Y1 KR200203312 Y1 KR 200203312Y1 KR 2020000010745 U KR2020000010745 U KR 2020000010745U KR 20000010745 U KR20000010745 U KR 20000010745U KR 200203312 Y1 KR200203312 Y1 KR 200203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ase
winding machine
winding shaft
peripher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훈
이종곤
김명현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조병훈
이승철
이종곤
김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훈, 이승철, 이종곤, 김명현 filed Critical 조병훈
Priority to KR2020000010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3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덕터, 트랜스포머, 리액터등을 제작하기 위해 각종 코어에 코일을 감는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선기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권선축에 일체로 설치되면서 내부에 장치공간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베어링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장치공간에 설치되는 제동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부근에 위치하고 권선축에 차례로 설치되는 자속센서 및 풀리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가공기계와 작업공간을 축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립과정과 점검시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A coil winder assembled peripheral device}
본 고안은 인덕터, 트랜스포머, 리액터등을 제작하기 위해 각종 코어에 코일을 감는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선기에 사용되는 주요 주변장치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가공기계와 작업공간을 축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립과정과 점검시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터, 트랜스포머, 리액터등을 제작하기 위해 각종 코어에 코일이 감기게 하기 위해서는 권선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권선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도1에서와 같이 크게 권선기는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되는 전동기(직류전동기 또는 유도전동기)(1)와, 상기 전동기(1)가 구동되면 권선축(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풀리(3)와 풀리(3a)를 연결하는 벨트(4)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5)와, 상기 동력전달장치(5)의 구동전달력에 의해 권선축(2)이 회전하면 코일이 감기게 하는 권선재료 및 권선축(2)의 회전수 정보를 검출하여 기준위치에 도달하는 지를 감지하여 권선축(2)의 정지할 위치를 설정하는 회전센서(6)와, 상기 권선축(2)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동장치(7)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각 전동기(1), 제동장치(7), 회전센서(6)는 권선기구동회로, 제동장치구동회로, 카운터회로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회로등에 의해 제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권선기를 이용하여 인덕터, 트랜스포머, 리액터등을 제작하기 위한 각종 코어에 코일을 권선할수 있으나, 종래 권선기는 권선축(2)을 지지하는 지지용 베어링(8,8a)이 지지대(9,9a)의 양 끝에 부착되어 있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권선축(2)의 수평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간격이 멀리 떨어진 지지대(9,9a) 전체를 감안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대형 가공기계와 정밀한 가공이 요구 되었다.
또한, 회전수 정보를 검출하여 기준위치에 도달하는지를 감지하여 권선축(2)의 정지할 위치를 결정하는 회전센서(6)는 광 결합소자를 이용한 엔코더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센서 사이에 먼지나 진분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권선기에 사용되는 주요 주변장치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가공기계와 작업공간을 축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립과정과 점검시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권선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권선기의 요부 확대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권선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대 200 ; 권선축 300 ; 케이스
400 ; 제동장치 500 ; 자속센서 600 ; 풀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권선기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권선축에 일체로 설치되면서 내부에 장치공간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베어링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장치공간에 설치되는 제동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부근에 위치하고 권선축에 차례로 설치되는 자속센서 및 풀리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권선기의 요부 확대도 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권선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권선기의 기계적인 구조도 종래 권선기에 포함된 기구적인 부품 들은 대부분 일치하며 작용되는 효과도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권선기에 사용되는 주변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과정과 점검시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2와 도3에서와 같이 권선기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100)를 사이에 두고 권선축(200)에 일체로 설치되면서 내부에 장치공간(31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베어링(320,321)이 형성되는 케이스(300)와, 상기 케이스(300) 내부에 형성된 장치공간(310)에 설치되는 제동장치(400)와, 상기 케이스(300)의 부근에 위치하고 권선축(200)에 차례로 설치되는 자속센서(500)가 부착된 인쇄회로기판 및 풀리(600)가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풀리(600)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여기에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부착하여 부수적인 센서회로의 설치공간을 축소시켰다. 또한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권선기의 경우 광 결합소자를 이용한 엔코더를 주로 이용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자속센서(500)가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였으며 영구자석은 풀리 측면에 부착하고 자속센서(500)가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에 부착하여 부가하므로서 주위 환경에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제동장치(400)인 브레이크 회전자(410)는 베어링 사이에 설치하여 제동시 제동력이 양쪽으로 분산되어 전달되게 하고, 고정자(420)는 지지대(100)에서 떨어진 케이스(300)의 후면에 설치하여 제동력이 케이스(300) 전체면에 분산되면서 지지대(100)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동력의 베어링(320,321)과 케이스(300)에 의한 분산 효과로 인하여 각 접합면의 이탈이 방지되고 기계적인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권선기에 사용되는 주요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화 되어 대량 자동화 가공 공정이 용이하고 작업공간이 축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조립과 성능확인이 쉬워 점검시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인덕터, 트랜스포머 및 리액터등을 제작하기 위해 각종 코어에 코일을 감는 권선기에 있어서, 상기 권선기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대(100)를 사이에 두고 권선축(200)에 일체로 설치되면서 내부에 장치공간(310)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베어링(320,321)이 형성되는 케이스(300)와, 상기 케이스(300) 내부에 형성된 장치공간(310)에 설치되는 제동장치(400)와, 상기 케이스(300)의 부근에 위치하고 권선축(200)에 차례로 설치되는 자속센서(500) 및 풀리(600)가 일체로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
KR2020000010745U 2000-04-17 2000-04-17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 KR200203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45U KR200203312Y1 (ko) 2000-04-17 2000-04-17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45U KR200203312Y1 (ko) 2000-04-17 2000-04-17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312Y1 true KR200203312Y1 (ko) 2000-11-15

Family

ID=1965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745U KR200203312Y1 (ko) 2000-04-17 2000-04-17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3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8590A (zh) * 2019-04-23 2019-06-14 攀枝花学院 手持扭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8590A (zh) * 2019-04-23 2019-06-14 攀枝花学院 手持扭线器
CN109888590B (zh) * 2019-04-23 2024-01-30 攀枝花学院 手持扭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538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EP4239864A1 (en) Driving motor equipped with bldc motor, and actuator using same
KR20160139824A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102130563A (zh) 一种绕组为印刷电路板结构的盘式永磁电机
CN102648566A (zh) 电动机组件
EP3567704B1 (en) Motor and transmission
US8587172B2 (en) Sensor fastening method and sensor fastening frame for use therewith
KR102185388B1 (ko) 인히비터 통합형 액추에이터 변속제어장치
US20010013732A1 (en) Anti-vibration electric motor having outer rotor stably supported at two ends
KR200203312Y1 (ko) 주변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권선기
JP2008228367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CN115987030A (zh) 无刷电机和无刷电机转子位置检测方法
JP4437031B2 (ja) モ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洗濯機
CN208656612U (zh) 一种无源自制动频繁启停的无刷直流电动机
CN100364215C (zh) 一种横向磁场永磁电机
KR100942437B1 (ko) 브러시리스 모터
CN218472870U (zh) 滚筒电机结构以及自动化设备
JP2021513312A (ja) ロータおよびこれを具備するモータ
KR20180068014A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210669834U (zh) 一种小型无刷直流Hall电机结构
KR20190093354A (ko) 모터
KR20140141858A (ko) 센싱모듈
JP7345161B2 (ja) ギヤードモータの駆動制御機構
CN218387217U (zh) 结构简单的微型无刷电机
KR200392005Y1 (ko) 선형전동기를 이용한 자동회전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