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506Y1 -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 Google Patents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506Y1
KR200202506Y1 KR2020000015407U KR20000015407U KR200202506Y1 KR 200202506 Y1 KR200202506 Y1 KR 200202506Y1 KR 2020000015407 U KR2020000015407 U KR 2020000015407U KR 20000015407 U KR20000015407 U KR 20000015407U KR 200202506 Y1 KR200202506 Y1 KR 200202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ubber sheet
plate body
dam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611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105561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일기연
Priority to KR2020000015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Landscapes

  • Barrag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 물 등의 유체를 밀폐하여 팽창 및 이완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가요성 고무판체에 의하면, 적어도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상, 하층 고무시이트 사이에 상, 하층 편직물포와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가 적층·접착되어 형성되는 고무판체에 있어서, 상기 상, 하층 고무시이트 중에서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고무시이트에, 상기 고무판체가 팽창 또는 이완상태 하에서 유석, 유목 및 날카로운 칼등의 유해로부터 상기 고무판체를 보호해 주도록 우레탄 또는 세라믹 또는 운모가루 등과 같은 보강제를 적층하여 성형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고무판체를 대형 댐에 설치하여 사용 시 유목, 구르는 암석 또는 날카로운 칼 등의 유해로부터의 충분한 강도를 지니고 있어 가요성 고무판체가 파손되지 않고, 또 판체 제조 시에 소망하는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제작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Flexible Plate Body of Rubber Dam}
본 고안은 소수력 발전용 상단보, 농업 및 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건천방지 및 위락용 담수보, 폭풍 해일용 방조제 등에 사용되는 고무댐(Rubber Dam)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댐에서 공기, 물 등의 유체를 밀폐하여 팽창 및 이완하는 가요성 고무판체(flexible Rubber plate body)의 강도를 보다 개선하여 외부의 충격 또는 유해로부터 판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또는 농업/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또는 하구의 해수댐의 수위조절용 울타리로서 철제의 자동 전도식 울타리가 주지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철제 울타리는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 작동되므로 정비 조작이 대단히 곤란하며 약한 기초위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최근에는 공기, 물 등과 같은 유체의 직접적인 공급에 의해서 운전되며 설비나 정비가 용이한 각기 고무시이트로 구성된 소위 조립식 고무댐이라는 수위 조절용 댐들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들은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 물 등의 유체의 공급 조절로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울타리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들의 가요성 고무판체는 대부분 댐의 폭 또는 길이에 따라 탄력성을 갖는 고무시이트 재료를 중첩·접착한 후 이 고무 시이트 사이에 얇은 편직물포(布)를 매설·접착하여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가요성 고무판체는 팽창 및 이완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가요성 고무판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및 송풍기, 수위조절을 위한 프로트 밸브를 갖는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고무댐들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댐 내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속중공체(3)(4)는 고무호스로 되어 있다. 이 고무호스로된 연속중공체(3)(4)는 고무판 브라킷트(3a)(4a)를 이용하여 고무댐 본체(1)에 접착시킨다. 연속중공체(3)(4)가 공기 입, 배출구(9)에 모여 있으므로 최종적인 공기의 배출까지 연속중공체(3)(4)는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며, 특히 고무댐 본체(1)의 폭방향으로 설치하는 연속 중공체(3)는 고무댐 본체(1)가 팽창되는 곡선을 따라 자유로이 굽혀지므로써 고무댐 본체(1)의 팽창, 이완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균일한 공기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연속중공체(3)(4)가 고무호스로 제조되므로서 자체의 탄력이 있어 하상에 구르는 암석이나 유목에 의하여 고무댐 본체(1) 표면이 충격을 받는 것을 완화시키는 것이며, 연속중공체(3)의 내부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기대하기 보다는 양쪽 가요성 고무판체(2)의 사이에 끼어 있어서 생기는 공간으로 공기가 유통되면서 탄력을 가지고 있어 항상 일정한 원형 단면 상태를 유지하여 주도록 하는 것이다.
가요성 고무판체(2)는 탄성고무로 제조되고 내부에 보강용 편직물포와 보충고무를 넣어서 충분한 인장을 갖도록 가황프레스의 가황온도 하에서 가압 가열하여 접착·제작되어진다.
이와 같은 가요성 고무판체(2)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균일하고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하상 구조체(10)를 설치하고 앵커볼트(8)를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하여 둔다.
하상 구조체(10)에 가요성 고무판체(2)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하여 단부에 걸림턱(7)과 보강살(6)이 형성된 고정금구(5)를 사용한다.
가요성 고무판체(2)를 고정하는 방법은 가요성 고무판체(2)를 공장에서 공급된 상태 그대로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구조체(10) 위에 올려 놓은 다음 고정금구(5)를 덮어놓고 앵커볼트(8)에 너트를 조여주는 것으로 고정이 쉽게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요성 고무판체(2)의 일단이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되고 양단이 제방 경사부에 매설된 하상 구조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를 통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면 그 공기는 입,배출구(9)를 통해 가요성 고무판체(2)에 유입되어 고무댐 본체(1)가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되어 저수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고무댐에 있어서, 고무댐 본체(1)의 가요성 고무판체(2)는 설치하고자 하는 하천의 폭에 따라 충분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생산된다.
도 1과 같은 가요성 고무판체(2)를 성형 제작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먼저 두께가 두꺼운 한 매의 하층 고무시이트(21)의 표면에 얇은 하층 편직물포(23)를 적층하고, 그 위에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24)를 적층한다. 그리고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24)의 상부 표면에는 얇은 상층 편직물포(22)와 두께가 두꺼운 상층 고무시이트(20)를 차례로 적층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하여 된 고무재질의 조립체를 가황프레스에서 가압·가열하게 되면,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24)의 접착력에 의해 상층 고무시이트(20)와 하층 고무시이트(21)가 접착되어 가요성 고무판체(2)가 성형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가요성 고무판체(2)는 상, 하층 고무시이트(20)(21) 사이에 매설된 얇은 상, 하층 편직물포(22)(23)에 의해서 소망의 보강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가요성 고무판체(2)는 소정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제조 가능하므로 각기 다른 폭을 가진 하천, 소수력 발전용 상단보, 농업 및 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건천방지 및 위락용 담수보, 폭풍 해일용 방조제 등의 고무댐으로서 적합하다.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상, 하층 고무시이트의 사이에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를 개재시키고 또 상, 하층 고무시이트와 상기 미가황 고무시이트의 사이에 소망의 보강층을 얻도록 얇은 상, 하층 편직물포를 매설한 후 가황 프레스로 가압·가열하여 접착 제조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는 두 매의 상, 하층 고무시이트와 한 매의 미가황 고무시이트 및 상, 하층의 얇은 편직물포를 적층시켜 제조하게 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할 뿐 아니라 날카로운 유목, 구르는 암석 등의 영향으로 피해가 유발되며, 특히 날카로운 칼 등의 이물질로 특정부위를 유해하여 절단 또는 파손시킬 경우에 팽창된 고무댐이 붕괴되며, 이것에 의해 담수된 방대한 물이 순간적으로 방류되어 하류쪽에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치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상, 하층 고무시이트 및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두꺼운 고무 시이트는 작업성의 관점에서 사용하기가 어렵고, 또한 작업 능률의 저하와 제작상의 어려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치유하면서도 작업성 면에서는 보다 간편하게 제조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그리고 안전성 면에서는 가요성 고무판체의 강도를 보다 보강시켜 댐에서 유체의 이완 또는 날카로운 유목, 암석 또는 유해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강제로 처리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가요성 고무판체는 팽창 때 외부에 노출되는 고무시이트의 표면 또는 내부 또는 이들의 모두에 우레탄 또는 운모가루 또는 세라믹을 선택적으로 증착시켜 전체적으로 고무판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요성 고무판체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그의 내구성을 증가시켜 설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고무판체는 어느 하나의 고무시이트와 이에 접한 어느 하나의 편직물포 사이에 소망의 보강층을 얻도록 우레탄과 세라믹 및 우레탄을 차례로 증착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팽창상태하의 고무 시이트로 구성된 일반적인 고무댐의 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나타내어 보인 제1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나타내어 보인 제2 실시 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나타내어 보인 제3 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상층 고무시이트 21 : 하층 고무시이트
22 : 상층 편직물포 23 : 하층 편직물포
24 :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 200 : 가요성 고무판체
201 : 보강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는, 적어도 상, 하층 고무시이트 사이에 상, 하층 편직물포와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가 적층·접착되어 성형된 고무판체에 있어서:
상기 두 매의 상, 하층 고무시이트 중에서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고무시이트에 증착되어 팽창 상태하에서 유석 및 유목 등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고무시이트를 보호해 주는 소정의 보강제를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보강제는 상기 상, 하층 고무시이트의 기복에 따라 신축 및 신장하는 신축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소정의 보강제를 상기 고무시이트의 표면 또는 내부 중 어느 한 부위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소정의 보강제를 상기 고무시이트의 표면과 내부에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무시이트에 증착되어 있는 소정의 보강제는 우레탄 또는 세라믹 또는 운모가루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무시이트에 증착되어 있는 소정의 보강제는 세라믹 또는 우레탄이 코팅된 그물 형상의 가는 케브라코트망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두 매의 상,하층 고무시이트와 상기 상, 하층 편직물포 중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고무시이트와 이에 접한 상기 어느 하나의 편직물포 사이에, 상기 소정의 소강제를 적층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고무시이트와 상기 편직물포 사이에 개재된 신축성 재질의 보강제는 우레탄, 세라믹,우레탄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성 재질의 우레탄과 세라믹 및 우레탄이 상기 고무시이트와 상기 편직물포 사이에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 하층 고무시이트의 표면과 내부 또는 상, 하층 고무시이트와 상, 하층 면직물포 사이에 신축성 재질인 보강제를 적층하여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작함으로써, 소망하는 보강층을 얻을 수가 있고, 또한 판체의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본 고안의 고무댐을 대형 댐에 설치하여 사용 시 유목, 구르는 암석 또는 날카로운 칼 등의 유해로부터의 충분한 강도를 지니고 있어 가요성 고무판체가 파손되지 않고, 또 판체 제조 시에 소망하는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제작할 수가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은 고무댐의 크기에 무관하고 여러 종류의 고무댐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200)를 나타내어 보인 제1 실시 예의 단면도로서, 상층 고무시이트(20)의 표면에 보강제(201)가 적층되어 접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의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2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하층 고무시이트(21)의 표면에 보강층을 얻도록 얇은 하층 편직물포(23)를 적층하고, 그 위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접착재질인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24)를 적층한다. 그리고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24)의 상부 표면에는 보강용 얇은 상층 편직물포(22), 그리고 일정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상층 고무시이트(20)를 차례로 적층시킨다.
이후 상기 두 매의 상, 하층 고무시이트(20)(21)들 중에서 댐으로서 사용 때 그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의 고무시이트의 표면에,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 고무시이트(20)의 표면에, 유목 또는 암석 및 날카로운 칼등의 유해로부터 상층 고무시이트(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신축성을 갖는 보강제(201)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준다.
여기서, 상층 고무시이트(20)의 표면에 적층되는 보강제(201)로서는 신축성 재질인 세라믹 또는 우레탄과 비 신축성재질인 운모가루 등으로 하고, 상기 세라믹 또는 우레탄 또는 운모가루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층 고무시이트(20)의 표면에 적층하거나 또는 이들의 모두를 차례로 적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세라믹 또는 운모가루 대신에 세라믹 또는 우레탄이 코팅된 각각의 가는 케브라코트 그물망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층하여 소망의 보강층을 얻을 수도 있다.
계속해서, 이후 상기와 같이 조립된 고무재질의 조립체를 가황프레스에서 가압·가열하게 되면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24)의 접착력에 의해 상층 고무시이트(20)와 하층 고무시이트(21)가 접착되어 가요성 고무판체(200)가 성형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가요성 고무판체(200)는 소정의 길이에 따라 제조 가능하므로 각기 다른 폭을 가진 하천, 소수력 발전용 상단보, 농업 및 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건천방지 및 위락용 담수보, 폭풍 해일용 방조제 등의 고무댐으로서 적합하다.
그리고 보강제(201)에 의해서 가요성 고무판체(200)가 제조되므로 판체의 두께, 즉 상, 하층 고무시이트 및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의 두께는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고무댐은 고무댐을 형성하는 상층 또는 하층 고무시이트의 표면에 보강제(201)를 입혀 줌으로써, 가요성 고무판체(200)의 두께를 보다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고무댐이 팽창 또는 이완상태 하에서 상층 고무시이트 또는 하층 고무시이트가 유석, 구르는 암석 또는 날카로운 칼 등에 의해 파손되는 피해를 거의 입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200)를 나타내어 보인 제2 실시 예의 단면도로서, 상층 고무시이트(20)의 내부에 제1 실시 예와 같은 재질의 보강제(201)가 적층되어 접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즉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상층 고무시이트(20)를 제조할 때 그 상층 고무시이트(20)의 표면 바로 아래에 상기와 같은 보강제(201)로서의 우레탄 또는 세라믹 또는 운모가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적층하거나 또는 이들의 모두를 차례로 적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대신에 상기 세라믹 또는 우레탄이 코팅된 가는 케브라코트 그물망을 적층하여 소망의 보강층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층 고무시이트(20)를 도 3과 동일하게 상층 편직물포(22)에 적층하여 가황 프레스에서 가압 가열함으로써 제1 실시 예와 같은 소망의 보강층을 갖는 가요성 고무판체(200)가 성형 제조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200)를 나타내어 보인 제3 실시 예의 단면도로서, 상층 고무시이트(20)와 상층 편직물포(22) 사이에 보강제(201)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즉 제3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의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20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하층 고무시이트(21)의 표면에 보강층을 얻도록 얇은 하층 편직물포(23)를 적층하고, 그 위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접착재질인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24)와 보강용 얇은 상층 편직물포(22)를 차례로 적층시킨다.
이후 상층 편직물포(22)의 표면에, 유석 또는 유목 및 날카로운 칼등의 유해로부터 고무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을 갖는 세라믹 또는 우레탄 또는 운모가루 등과 같은 보강제(201)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적층하고 그 위에 상층 고무시이트(20)를 적층한 다음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황 프레스에서 가압 가열하여 접착함으로써, 소망의 보강층을 갖는 가요성 고무판체(200)가 성형 제조된다.
제3 실시 예에서, 상층 고무시이트(20)와 상층 편직물포(22)의 사이에 적층되는 보강제(201)로서는 제1, 제2 실시 예와 동일한 신축성 재질인 세라믹 또는 우레탄과 비 신축성재질인 운모가루 등으로 하고, 상기 세라믹 또는 우레탄 또는 운모가루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층 고무시이트(20)와 상층 편직물포(22) 사이에 적층하거나 또는 이들의 모두를 차례로 적층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또는 우레탄이 코팅된 각각의 가는 케브라코트 그물망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층하여 소망의 보강층을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서 보강제(201)를 상층 고무시이트(20)의 표면 또는 내부 또는 상층 고무시이트(20)와 상층 편직물포(22) 사이에 적층하여 제조한 것을 하나의 예로 하였으나, 고무댐의 설치에 따라서, 하층 고무시이트(21)의 표면 또는 내부에, 또는 하층 고무시이트(21)와 하층 편직물포(23) 사이에 보강제(201)를 적층하여 주어 유목, 구르는 암석 및 날카로운 칼 등에 의해 가요성 고무판체(200)가 파손되는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두께가 두꺼운 상, 하층 고무시이트 사이에 미가황 고무시이트 및 상, 하층의 얇은 편직물포를 차례로 적층시켜 제조함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와 유목, 암석 및 날카로운 칼 등의 유해로부터의 고무판체 보호가 미비한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고무댐을 형성하는 상, 하층 고무시이트의 표면과 내부 또는 상, 하층 고무시이트와 상, 하층 편직물포 사이에 우레탄 또는 세라믹 또는 운모가루 등과 같은 보강제를 적층하여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작함으로써, 소망하는 보강층을 얻을 수가 있고, 또한 고무판체의 두께 및 길이를 하천의 폭에 따라 최소한 자유롭게 선택할 수가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고무댐을 대형 댐에 설치하여 사용 시 유목, 구르는 암석 또는 날카로운 칼 등의 유해로부터의 충분한 강도를 지니고 있어 가요성 고무판체가 파손되지 않고, 또 판체 제조 시에 소망하는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제작할 수가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에 의하면, 상, 하층 고무시이트의 표면 또는 그의 내부 또는 상, 하층 고무시이트와 상, 하층 편직물포 사이에 보강제를 입혀 줌으로써, 가요성 고무판체의 두께를 보다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고무댐이 팽창 또는 이완상태 하에서 상층 고무시이트 또는 하층 고무시이트가 유석, 구르는 암석 또는 날카로운 칼 등에 의해 파손되는 피해를 거의 입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적어도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상, 하층 고무시이트 사이에 상, 하층 편직물포와 미가황 보충고무 시이트가 적층·접착되어 형성되는 고무판체에 있어서;
    상기 두 매의 상, 하층 고무시이트 중에서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고무시이트에, 상기 고무판체가 팽창 상태하에서 유목 및 암석 등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고무판체를 보호해 주는 소정의 보강제를 구비하며, 상기 소정의 보강제는 상기 상, 하층 고무시이트의 기복에 따라 신축 및 신장하는 신축성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보강제가 상기 고무시이트의 표면 또는 내부 중 어느 한 부위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증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보강제가 상기 고무시이트의 표면과 내부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증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무시이트에 증착되어 있는 소정의 보강제는 우레탄 또는 세라믹 또는 운모가루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무시이트에 증착되어 있는 소정의 보강제는 세라믹 또는 우레탄 또는 운모가루가 각각 코팅된 그물형상의 케브라코트망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매의 상,하층 고무시이트와 상기 상, 하층 편직물포 중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고무시이트와 이에 접한 상기 어느 하나의 편직물포 사이에 상기 소정의 보강제를 적층하여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무시이트와 상기 편직물포 사이에 개재된 신축성 재질의 보강제는 우레탄, 세라믹,우레탄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성 재질의 우레탄과 세라믹 및 우레탄은 상기 고무시이트와 상기 편직물포 사이에 차례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무시이트와 상기 편직물포 사이에 적층되는 소정의 보강제는 세라믹이 코팅된 그물형상의 케브라코트망 또는 우레탄이 코팅된 케브라코트망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KR2020000015407U 2000-05-16 2000-05-31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KR200202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07U KR200202506Y1 (ko) 2000-05-16 2000-05-31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11A KR20010105561A (ko) 2000-05-16 2000-05-16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KR2020000015407U KR200202506Y1 (ko) 2000-05-16 2000-05-31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111A Division KR20010105561A (ko) 2000-05-16 2000-05-16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506Y1 true KR200202506Y1 (ko) 2000-11-15

Family

ID=2663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407U KR200202506Y1 (ko) 2000-05-16 2000-05-31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5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779B1 (ko) 가요성 고무댐
WO2011019873A1 (en) Tidal responsive barrier
KR100761550B1 (ko) 가요성 댐 및 그 제조방법
EP1809815B1 (en) Scour protection system for water-courses using artificial blocks with an appearance similar to the surrounding area
KR200202506Y1 (ko)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KR20010105561A (ko)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Rane et al. Rubber dam—An introduction
CN101538838A (zh) 橡胶坝在围堰挡水中的应用
KR200421282Y1 (ko) 가요성 고무댐
KR100339313B1 (ko)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및 그 가요성 고무판체의제조방법
KR200413712Y1 (ko) 파손방지 가요성 고무댐의 보강구조
KR102195447B1 (ko) 공기틈을 구비하는 가동보용 에어백 제조방법
CN215442042U (zh) 海上风电单桩基础防冲刷装置
KR100886826B1 (ko) 호안용 섬유대
KR100883897B1 (ko) 하천변 식물성장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KR200187341Y1 (ko)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KR200367430Y1 (ko) 단계적 수위조절이 용이한 고무댐
CN110512568B (zh) 一种柔性生态驳岸构建方法
CN211228371U (zh) 一种水利工程上的防渗水结构
KR100737839B1 (ko) 고무댐용 고무판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75004A (zh) 海上风电单桩基础防冲刷装置及方法
KR200195534Y1 (ko)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KR200323126Y1 (ko)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WO2019094335A1 (en) Cementitious composite constituent relationships
CN106988272B (zh) 一种防渗土工膜垫层中混凝土与土石回填区的过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